|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21 |
0 |
2014-05
514112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70 |
25 |
2015-12
1675770
1 백메가
|
70367 |
인텔 서버보드는 시간설정으로 전원 켜는 기능 있는지요? (9) |
붉은전갈 |
2017-02 |
4552 |
0 |
2017-02
4552
1 붉은전갈
|
70366 |
노트북 배터리 관리 방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7) |
audacity |
2019-10 |
4552 |
0 |
2019-10
4552
1 audacity
|
70365 |
320-2e 컴 켠 상황에서 하드 갈아 끼워도 되나요? (2) |
노하석 |
2007-07 |
4552 |
13 |
2007-07
4552
1 노하석
|
70364 |
중고 서버랙같은거 물건 많은곳 혹시 아시나요? (6) |
이니이니 |
2016-12 |
4552 |
1 |
2016-12
4552
1 이니이니
|
70363 |
윈8 드라이버가 윈10 드라이버 호환될까요? (4) |
김건우 |
2017-09 |
4552 |
0 |
2017-09
4552
1 김건우
|
70362 |
SAS 익스팬더와 레이드 카드가 호환문제가 생길수도 있나요? (10) |
정용우 |
2014-03 |
4552 |
0 |
2014-03
4552
1 정용우
|
70361 |
3~4만원대 기계식 키보드 가성비 좋은거 없을까요 (3) |
이준용 |
2017-10 |
4552 |
0 |
2017-10
4552
1 이준용
|
70360 |
삼성컴퓨터본체메모리인식 (4) |
눈부신아침 |
2014-03 |
4553 |
0 |
2014-03
4553
1 눈부신아침
|
70359 |
dc to dc 파워 사용시, 사타/ide 포트당 와트(W) 제한이 있나요? (5) |
토나르 |
2015-02 |
4553 |
0 |
2015-02
4553
1 토나르
|
70358 |
보드랑 케이블에 관해서... (6) |
박수현 |
2007-09 |
4553 |
23 |
2007-09
4553
1 박수현
|
70357 |
델 T7810엔 어떤 메모리를 써야 하나요? (2) |
김동원1 |
2016-11 |
4553 |
0 |
2016-11
4553
1 김동원1
|
70356 |
ECC/REG 삼성 DDR4 8G 와 일반 DDR4 8기가와 혼용하면? (7) |
이지포토 |
2018-06 |
4553 |
0 |
2018-06
4553
1 이지포토
|
70355 |
루팅) 고속 충전 지원안하는 태블릿 충전 빨리 하는 방법 있을까요? (5) |
병맛폰 |
2020-07 |
4553 |
0 |
2020-07
4553
1 병맛폰
|
70354 |
이거 진짜 바이러스 인가요? (9) |
퍼싱글 |
2019-07 |
4553 |
0 |
2019-07
4553
1 퍼싱글
|
70353 |
노트북 키보드의 일부키 고장 수리 질문드립니다. (1) |
대두강아지 |
2016-01 |
4553 |
0 |
2016-01
4553
1 대두강아지
|
70352 |
애즈락이랑 유니텍 메인보드.... (5) |
김한구 |
2007-03 |
4553 |
12 |
2007-03
4553
1 김한구
|
70351 |
DDR4+E5 제온 메인보드는 (8) |
방o효o문 |
2014-04 |
4553 |
0 |
2014-04
4553
1 방o효o문
|
70350 |
연구실에서 쓸 스위칭 허브.. 선택 질문드립니다. (6) |
장현재 |
2016-08 |
4553 |
0 |
2016-08
4553
1 장현재
|
70349 |
블랙박스 메모리 선택 (6) |
김윤술 |
2015-06 |
4553 |
0 |
2015-06
4553
1 김윤술
|
70348 |
Z820 케이스에 일반 보드 장착 가능한가요? (5) |
드라코닉 |
2016-04 |
4553 |
1 |
2016-04
4553
1 드라코닉
|
사용중 어두워지는 그런... 그게 좋은 기술이라고 생각하실수 있지만....
삼성이 그 기술을 고집하는 이유는 고질적인 아몰레드 패널의 번인 때문입니다...
단적인 예로 삼성폰에서는 화면이 꺼지지 않게 계속 켜둘수있는 옵션이 아예 존재하지 않습니다...
반면 IPS 패널은 번인을 걱정할필요가 없습니다... 참고로 아몰레드패널의 원천 기술보유자는 LG입니다만 LG는 아몰레드 패널 안씁니다
제가 방치플레이하는 게임이 하나있는데... 현제까지 시분초 단위로 110일 정도 플레이중입니다
(110 일동안 게임을 안끄고 연속 플레이했다는 의미임-가동시간, 실제로 게임을 껐던적은 앱업뎃을 위해 잠시 껐다가 다시켜는 정도 밖에 없었음)
현제까지도 번인의 번자도 구경못하고있습니다...
게임 플레이를 위해서 방치 사용중인 폰은 LG 옵티머스G PRO 입니다 당연히 패널은 IPS구요
비교적 최근의 제품이라 볼수있는 노트5도 번인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방치 플레이 이런건... 꿈도 못꾸고 게임좀 한다 싶으면 여지없이 번인 생깁니다...
실제로 중고시장에 보시면 번인 있다는 노트5 매물 적지 않습니다...
한때 한창 유행했던 루팅해서 추노마크(통신사 마크) 제거하는것들... 다 아몰레드 쓰는 삼성폰을 위한것이었습니다
추노 마크에서 뿜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