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22 |
25 |
2015-12
167402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71 |
0 |
2014-05
5139471
1 정은준1
|
79362 |
ebay 배송 타입 변경 관련 문의 (3) |
이태욱 |
2016-12 |
4081 |
0 |
2016-12
4081
1 이태욱
|
79361 |
IBM x3630 m3 M5015 레이드카드 교체시 재구성문제 (4) |
페르세우스 |
2017-12 |
4081 |
0 |
2017-12
4081
1 페르세우스
|
79360 |
[ mini PC or mini WorkStation ] 추천 부탁 드립니다 (4) |
전설속의미… |
2018-03 |
4081 |
0 |
2018-03
4081
1 전설속의미…
|
79359 |
그래픽 카드 브라켓 관련 질문 (6) |
경박한시민 |
2016-04 |
4081 |
0 |
2016-04
4081
1 경박한시민
|
79358 |
리틀루온 미니 어뎁터 사양이 어떻게 되는지요 (3) |
2CPU최주희 |
2016-02 |
4081 |
0 |
2016-02
4081
1 2CPU최주희
|
79357 |
네xx 야구중계 끊김 해결책 ? (2) |
hurricane |
2016-07 |
4082 |
0 |
2016-07
4082
1 hurricane
|
79356 |
큰일났어요 ㅠㅠ 어떡하죠 ㅠㅠ (25) |
쿵짝쿵짝 |
2020-02 |
4082 |
0 |
2020-02
4082
1 쿵짝쿵짝
|
79355 |
R710 서버 os windows 2008 server enterprise 설치방법? (3) |
진산 |
2018-07 |
4082 |
0 |
2018-07
4082
1 진산
|
79354 |
UTM5000 미크로틱 세팅 질문 (2) |
슈뢰딩거 |
2017-11 |
4082 |
0 |
2017-11
4082
1 슈뢰딩거
|
79353 |
3700x에서 3900x나 3950x로 가면 체감이 많이 될까요? (14) |
영산회상 |
2020-03 |
4082 |
0 |
2020-03
4082
1 영산회상
|
79352 |
센서등 관련 질문입니다. (10) |
isaiah |
2016-01 |
4082 |
0 |
2016-01
4082
1 isaiah
|
79351 |
Dell T20 공구 (2) |
nQ이성봉 |
2016-05 |
4082 |
0 |
2016-05
4082
1 nQ이성봉
|
79350 |
혹시 요렇게 생긴 케이블(4pin female to female) 구할수있는데가 있을까요??? (6) |
r이승원r |
2016-11 |
4082 |
0 |
2016-11
4082
1 r이승원r
|
79349 |
unix (solaris10) 쉘 명령어 수행관련 (4) |
서울사람 |
2018-05 |
4082 |
0 |
2018-05
4082
1 서울사람
|
79348 |
아이폰에 DS CAM 어플설치해도 헤놀NAS에서 인식을 못하나요? (8) |
무명인12 |
2018-07 |
4082 |
0 |
2018-07
4082
1 무명인12
|
79347 |
프로그래머가되려면 영어 잘해야되지요? |
박문형 |
2016-06 |
4082 |
2 |
2016-06
4082
1 박문형
|
79346 |
갑자기 인터넷이... (23) |
Sakura24 |
2018-04 |
4082 |
0 |
2018-04
4082
1 Sakura24
|
79345 |
sql 간단한 질문... (3) |
이건희 |
2016-04 |
4082 |
0 |
2016-04
4082
1 이건희
|
79344 |
ubuntu 15.10 인터페이스 이름 변경 문의 (1) |
2FluF |
2016-02 |
4082 |
0 |
2016-02
4082
1 2FluF
|
79343 |
삼성 Galaxy S4 mini duos (GT-I9192) 이 모델 국내 사용 가능 한가요? (4) |
김상민 |
2014-04 |
4082 |
0 |
2014-04
4082
1 김상민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8F%99%EC%86%8C%EC%88%98%EC%A0%90
어쨌든풀긴풀었는데 아마 틀린듯합니다...
이게 WORD 인지 아니면 DOUBLE WORD 인지 64bit인지 등등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Fractional Number 는 16진수의 표기방법이 완젼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뿐아니라 마이너스 숫자도 마찬가지인걸로 기억합니다. 그냥 앞에 - 라고 붙이는게 아니라 만약 4bit 숫자라고 치면 뒤에 3bit은 숫자를 나타내고 맨앞에 1bit은 +인지 -인지를 나타내는 방식 그리고 또 다른 방식도 있구요. 그냥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만...
예제를 보았을때 소수점 앞에 숫자를 그냥 16진수로 바꾸고
뒤에 숫자를 바꿀때는 어떠한 기점에서 x315 의 offset을 계산하여 변환한것 같습니다.
456 = x1C8
789 = x315
꼭 취업하여 이런 이론을 쓴다는 것보다는 기초적인 지식인거죠... 이것을 이해해야지 컴퓨터에서 숫자를 다루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BIG endian LITTLE endian 등등 으로 인하여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만든것 같은데 결과값이 말도안되는 값이 계속나오고... 분명 큰양수1 + 큰양수2 를 하였는데 답이 마이너스가 나오고 이런 결과들이 생기는 경우들이 많거든요...
이런걸로 인하여 미사일이 하늘로 올라가지 않고 땅으로 꽃혀버린 일도 있답니다...
부동소수점을 다시 표현비트수에 따라서 단정도(32비트)와 배정도(64비트)로 나눌수있습니다.
부동소수점은 정규화 과정을 거치면 부호부 지수부 가수부로 구성됩니다.
소수점 이하 부분을 다른 진법변환시
완벽하게 변환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엔 보정을 하게됩니다.
그래서 유효자리라는 개념도 도입됩니다.
예를들면 10진수 0.1을 2진수로 변환 한다면
일정부분의 수 마디가 무한 반복 됩니다.
보통 정수는 사회과학, 실수는 자연과학!
제경우엔
C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과목에서
정수와 실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해본 적이 있습니다.
정수는 메모리에 적재될 때 2진수 변환 값과 같은 순이지만
실수는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정규화 과정을 거치는데,
위에서 적은 글처럼 단정도 또는 배정도로 표현이 됩니다.
실수는 메모리에 적재될때 2진수 변환값과 같은 순으로 적재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little endian과 big endian도 참고해 보세요.
역시 2cpu 입니다!
학생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나중에 이게 나한테 유용할지 아닐지를 항상 따져가면서 공부하지는 않지요.
인간이 쌓아 놓은 지식중에 나쁜 지식은 별로 없습니다.
그걸 나중에 나쁜 방향으로 이용하는 인간들이 글러먹은 거죠.
원자핵이 가진 성질을 좋은데 쓰면 항암 방사선 치료에도 쓰이고, 비파괴 검사에도 쓰지만..
나쁘게 이용하면 원자폭탄이 됩니다.
인공 지능같은 경우 어느선을 넘어서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자는 논의가 한창입니다.
그러니까 이제는 개발하는 단계에서 자폭 혹은 넘지 못할 선 비슷한 것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자면 인간에 대항하는 터미네이터같은 전투 인공 지능 혹은 전투 로봇은 금지한다든가 하는 것 말입니다.
그게 가능하겠냐고 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못하면 인류는 멸망하는 단계로 간다는 사람도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기술을 개발하면서 용도와 한계를 예상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아니면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기고 결국 파멸이라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