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vga패스쓰루는 왜 하는건가요 ?

캔위드   
   조회 9989   추천 0    

raid 컨트롤러 같은건 rdm 사용하지 않고 직접 nas vm 에서 컨트롤 하려나 보다로 생각하고 있었고

usb등도 같은 맥락으로 보고 있었는데요.


도대체 vga는 뭐하러 패스쓰루 하는걸까 ? 의문이 있었는데

혹시 esxi를 설치한 (물리)서버를 데스크탑으로도 사용하는 건가요 ?


얼핏생각해 봐도 윈도우+vm웍스보다 esxi+패스쓰루vga,usb가

메인콘솔(?)은 cpu만 조금 딸리는 대신 vm들의 성능이 당연히 뛰어날 것 같은데..

갑자기 해보고 싶은 충동이 마구 드네요.


아무튼 질문의 요지는 이렇습니다

vga패스쓰루는 왜 하는건가요 ?

(딥러닝 이런거 말고)


그리고 그렇게 사용한다면

vga랑 usb컨트롤러 한세트를 하나 더 달아서 본체 하나에 투컴(하나는 윈도우, 하나는 OSX)도 가능한거 같은데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시는 분들 있나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EdH 2017-04
vga 패스스루를 하면 해당 가상머신에서 실제 그래픽카드 리소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더 간단하게, 해당 가상머신의 화면을 모니터로 직접 뽑아서 볼 수 있어요. 당연히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는 각종 가속기능들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요. 심지어 게임도 종종 스터터링이 생기는 것 말고는 무지 잘 돌아갑니다.
     
캔위드 2017-04
전자는 사실 개인적으로 의미가 없다라고 생각하고 있던 이유가
그래봐야 vSphere Client 또는 RDP 일텐데 네트웍을 통한 연결이라서 무슨 그래픽 작업 같은거 아니면 의미가 없을 것 같고
그래픽 작업을 하는 경우는 vm이 아니라 리얼머신 바로 쓸꺼라 봤기에 전자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아무튼 그래픽카드 리소스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어떤 경우일까요 ?
(딥러닝 같은거 말고는 전혀 떠오르는게 없어서요)

그리고 제가 문득 의미가 있겠구나 라고 생각한게 후자의 경우인데
실제로 그렇게 쓰시는 분들이 있나 싶어서요.
          
이규섭 2017-04
후자의 방법을 쓰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웍스에서 다수의 가상머신을 돌려야 하는데, 클라이언트PC가 허접한 경우
그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출력을 빼서 사용하게 되면 게임등에 문제가 없어지죠.
그리고 패스스루가 반드시 필요한 Mac OS 같은걸 구동시킨다면 가상머신을 거의 리얼맥처럼 사용이 가능하거든요.
               
캔위드 2017-04
오호..꽤 많군요~
사실 esxi는 서버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어서 전혀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였습니다. ㅎㅎ
조만간 꼭 한번 해봐야겠네요~
황혼을향해 2017-04
얼마전에 내장그래픽을 패스쓰루 하려다가 실패했는데,
그렇게 하려고 했던 이유가 요즘 내장그래픽이 저전력에 4k 60Hz 까지 지원해주기 떄문이었습니다.
어차피 가상머신은 계속 돌아가면서 최소전기를 먹는데, 내장그래픽을 패스쓰루 해놓으면 전기도 엄청 적게
먹으면서 동영상까지 매끄럽게 돌아가니 웹서핑같은 일반적인 목적은 항상켜져있는
VM으로 돌리고 게임은 따로 구성된 머신을 켜서 돌리면 좋겠다 싶어서였죠.
다시 말해서, 놀고있는 가상화서버가 보기 싫으니 좀 굴린다고나 할까요?
효율적으로 써보려고 했는데 실패하는 바람에 지금은 다른생각이나 하고 있습니다. 하하핫... ^_^);;
     
캔위드 2017-04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군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Revione 2017-04
VGA Passthrough 하면 요즘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꽤 괜찮아서... VM 이 사실상 물리PC랑 별반 다를 게 없기 때문입니다.
KVM + 그래픽카드 패스스루 후에 오버워치, 디아, 스타, 와우 등등.. 원없이 굴리고 있습니다.
메인 os 안에 이것저것 깔기 싫어하는 저 같은 사람은 하이퍼바이저 안에서 필요한 서비스는 컨테이너나 vm 올리는 식으로 다 해결보고 있습니다.
( 자체 내장그래픽 칩이 달린 서버용 보드 쓰면 모니터 하나로 바이저와 패스스루된 VM 화면 제어가 둘 다 가능합니다. )

그리고 하이퍼바이저+패스스루에선 물리머신에 비해 지연현상이 존재하는 건 맞습니다. ( 아무래도 인터럽트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 )
세팅에 별 문제가 없을 경우 수백um 정도...?  즉.. 60 주파수 정도의 FPS 게임에서도 문제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Revione 2017-04
그리고 실제로 그래픽카드 4개 달아서 ( 일반급 머신이라면 lane 제한 때문에 모든 카드는 4X 로 동작하겠지만.. 사실상 별 문제 없죠 ) 물리머신 4대처럼 한 대를 운용하는 분도 생각보다 제법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문제가 발생시 스스로 튜닝해야 하고, 참고자료가 거의 없다는 점 제외하고선 꽤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usb 3.0 4port 브릿지(PCI-E 1x) 와 그래픽카드를 패스스루하여 윈10 vm 을 메인 데탑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KVM 하이퍼바이저 )


QnA
제목Page 2029/5730
2014-05   5266283   정은준1
2015-12   1791200   백메가
2014-09   5977   박진영임니돠
2016-01   3803   전설속의미…
2014-09   5042   박청명
2016-12   3810   리오
2013-03   18403   이현석1
2019-04   3510   1CPU지창훈
2021-11   4871   AMD빌런
2021-11   1641   전설속의미…
2010-03   8570   우우씨씨씨
2020-07   2830   nelson1945
2016-12   4886   정의석
2019-04   5852   김효수
2020-07   9556   그린욘두
2013-04   11761   미수맨
2020-07   3561   박중석
2013-04   14099   예관신규식
2020-07   4170   전진
2020-07   2920   오이꼭지
2021-12   2386   TLaJ3KtYGr
2018-03   3960   박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