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283 |
0 |
2014-05
526628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200 |
25 |
2015-12
1791200
1 백메가
|
74032 |
모니터 전원부가 타버렸습니다...ㅜㅜ 호환이나 탄IC부품을 알수있을까요?ㅜㅜ (2) |
박진영임니돠 |
2014-09 |
5977 |
0 |
2014-09
5977
1 박진영임니돠
|
74031 |
[ 미크로틱 ] vSphere GUI 및 WEB client 포트 설정외 |
전설속의미… |
2016-01 |
3803 |
0 |
2016-01
3803
1 전설속의미…
|
74030 |
슈퍼마이크로 X8DTi-F 내장 그래픽 관련 (4) |
박청명 |
2014-09 |
5042 |
0 |
2014-09
5042
1 박청명
|
74029 |
RSS와 Atom 구독해서 보는 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
리오 |
2016-12 |
3810 |
0 |
2016-12
3810
1 리오
|
74028 |
SQL2008 R2 서비스팩2 설치시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6) |
이현석1 |
2013-03 |
18403 |
0 |
2013-03
18403
1 이현석1
|
74027 |
자동벨브를 만들거나 사려고 합니다 (14) |
1CPU지창훈 |
2019-04 |
3510 |
0 |
2019-04
3510
1 1CPU지창훈
|
74026 |
BIOS에서 NVMe SSD 인식 불가던 증상... (2) |
AMD빌런 |
2021-11 |
4871 |
0 |
2021-11
4871
1 AMD빌런
|
74025 |
[ 화상회의 - 웹캠 ] 조명 추천 문의 드립니다. (1) |
전설속의미… |
2021-11 |
1641 |
0 |
2021-11
1641
1 전설속의미…
|
74024 |
[영상분배기] input (parallel), output(다중TV동축단자) 장비에 대해서 (2) |
우우씨씨씨 |
2010-03 |
8570 |
0 |
2010-03
8570
1 우우씨씨씨
|
74023 |
연산용 그래픽카드 문의 드립니다. (4) |
nelson1945 |
2020-07 |
2830 |
0 |
2020-07
2830
1 nelson1945
|
74022 |
사진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도구 추천 부탁드려요.. (2) |
정의석 |
2016-12 |
4886 |
0 |
2016-12
4886
1 정의석
|
74021 |
skb, 삼성 스마트 TV로 netflix 보기 (6) |
김효수 |
2019-04 |
5852 |
0 |
2019-04
5852
1 김효수
|
74020 |
서버개발자 pc 견적좀 도와주세요 (18) |
그린욘두 |
2020-07 |
9556 |
0 |
2020-07
9556
1 그린욘두
|
74019 |
안드로이드용 브라우전 추천및 동기화 문의드립니다 (2) |
미수맨 |
2013-04 |
11761 |
0 |
2013-04
11761
1 미수맨
|
74018 |
PC모니터 & 32인치 FHD LEDTV 백라이트(BLU)만 나간것 버리는게 나을까요? (여러대) (3) |
박중석 |
2020-07 |
3561 |
0 |
2020-07
3561
1 박중석
|
74017 |
핸드폰배터리.. 진짜 빨리 떨어집니다..; (15) |
예관신규식 |
2013-04 |
14099 |
0 |
2013-04
14099
1 예관신규식
|
74016 |
ESXI uefi 부팅 설치 질문 드립니다 |
전진 |
2020-07 |
4170 |
0 |
2020-07
4170
1 전진
|
74015 |
Z640 메모리 클럭이 내려가서 고정되어 있습니다 (4) |
오이꼭지 |
2020-07 |
2920 |
0 |
2020-07
2920
1 오이꼭지
|
74014 |
pfsense에서 openVPN peer to peer 구축시 port fowarding 질문 (7) |
TLaJ3KtYGr |
2021-12 |
2386 |
0 |
2021-12
2386
1 TLaJ3KtYGr
|
74013 |
sata케이블 부드럽게 굽어지는것과 하드에꽂는부분이 작으면서 꺾인게 있을까요? (1) |
박문형 |
2018-03 |
3960 |
0 |
2018-03
3960
1 박문형
|
그래봐야 vSphere Client 또는 RDP 일텐데 네트웍을 통한 연결이라서 무슨 그래픽 작업 같은거 아니면 의미가 없을 것 같고
그래픽 작업을 하는 경우는 vm이 아니라 리얼머신 바로 쓸꺼라 봤기에 전자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아무튼 그래픽카드 리소스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어떤 경우일까요 ?
(딥러닝 같은거 말고는 전혀 떠오르는게 없어서요)
그리고 제가 문득 의미가 있겠구나 라고 생각한게 후자의 경우인데
실제로 그렇게 쓰시는 분들이 있나 싶어서요.
웍스에서 다수의 가상머신을 돌려야 하는데, 클라이언트PC가 허접한 경우
그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출력을 빼서 사용하게 되면 게임등에 문제가 없어지죠.
그리고 패스스루가 반드시 필요한 Mac OS 같은걸 구동시킨다면 가상머신을 거의 리얼맥처럼 사용이 가능하거든요.
사실 esxi는 서버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어서 전혀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였습니다. ㅎㅎ
조만간 꼭 한번 해봐야겠네요~
그렇게 하려고 했던 이유가 요즘 내장그래픽이 저전력에 4k 60Hz 까지 지원해주기 떄문이었습니다.
어차피 가상머신은 계속 돌아가면서 최소전기를 먹는데, 내장그래픽을 패스쓰루 해놓으면 전기도 엄청 적게
먹으면서 동영상까지 매끄럽게 돌아가니 웹서핑같은 일반적인 목적은 항상켜져있는
VM으로 돌리고 게임은 따로 구성된 머신을 켜서 돌리면 좋겠다 싶어서였죠.
다시 말해서, 놀고있는 가상화서버가 보기 싫으니 좀 굴린다고나 할까요?
효율적으로 써보려고 했는데 실패하는 바람에 지금은 다른생각이나 하고 있습니다. 하하핫... ^_^);;
답변 감사합니다~
KVM + 그래픽카드 패스스루 후에 오버워치, 디아, 스타, 와우 등등.. 원없이 굴리고 있습니다.
메인 os 안에 이것저것 깔기 싫어하는 저 같은 사람은 하이퍼바이저 안에서 필요한 서비스는 컨테이너나 vm 올리는 식으로 다 해결보고 있습니다.
( 자체 내장그래픽 칩이 달린 서버용 보드 쓰면 모니터 하나로 바이저와 패스스루된 VM 화면 제어가 둘 다 가능합니다. )
그리고 하이퍼바이저+패스스루에선 물리머신에 비해 지연현상이 존재하는 건 맞습니다. ( 아무래도 인터럽트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 )
세팅에 별 문제가 없을 경우 수백um 정도...? 즉.. 60 주파수 정도의 FPS 게임에서도 문제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usb 3.0 4port 브릿지(PCI-E 1x) 와 그래픽카드를 패스스루하여 윈10 vm 을 메인 데탑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KVM 하이퍼바이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