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820 |
0 |
2014-05
514382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964 |
25 |
2015-12
1677964
1 백메가
|
86415 |
무선인터넷에 대한 궁금증 입니다. (2) |
evoker |
2015-12 |
3732 |
0 |
2015-12
3732
1 evoker
|
86414 |
회의 메모용 테블릿 (8) |
무아 |
2019-01 |
3732 |
0 |
2019-01
3732
1 무아
|
86413 |
sas 드라이버 설치할려고 합니다. (1) |
머라카는데 |
2016-01 |
3732 |
0 |
2016-01
3732
1 머라카는데
|
86412 |
아수스 윈도우 테블릿 |
나파이강승훈 |
2016-02 |
3732 |
0 |
2016-02
3732
1 나파이강승훈
|
86411 |
회사에서 30명 규모에 NAS 추천 좀 해주세요~ (1) |
하노김상고 |
2017-05 |
3732 |
0 |
2017-05
3732
1 하노김상고
|
86410 |
괜찮은 10 pci 슬롯지원 rack mount case 가 있을까요? (5) |
황유식 |
2014-04 |
3732 |
0 |
2014-04
3732
1 황유식
|
86409 |
델 워런티 홀딩? |
Dreamer |
2016-09 |
3733 |
0 |
2016-09
3733
1 Dreamer
|
86408 |
사이트 접속오류 (1) |
무아 |
2015-06 |
3733 |
0 |
2015-06
3733
1 무아
|
86407 |
쪽지가 송/수신이 안되고 있는거 같네요 (6) |
김건우 |
2016-03 |
3733 |
0 |
2016-03
3733
1 김건우
|
86406 |
BitLocker 관리툴 (4) |
완소훈남 |
2021-04 |
3733 |
0 |
2021-04
3733
1 완소훈남
|
86405 |
어느게 빠를까요..? (4) |
균균 |
2015-01 |
3733 |
0 |
2015-01
3733
1 균균
|
86404 |
Dell 워크스테이션 T7500에 대해. (1) |
손혁준 |
2017-05 |
3733 |
0 |
2017-05
3733
1 손혁준
|
86403 |
구글드라이브에 공유문서함의 개념 (3) |
그린 |
2020-09 |
3733 |
0 |
2020-09
3733
1 그린
|
86402 |
MBC 미니나 SBS 고릴라 라디오 스트리밍 앱을 제작하는데 (2) |
냐아아아암 |
2017-11 |
3733 |
0 |
2017-11
3733
1 냐아아아암
|
86401 |
15000원이하 쿨러 (4) |
AplPEC |
2015-06 |
3733 |
0 |
2015-06
3733
1 AplPEC
|
86400 |
헤놀로지 v6.x 에서 Fusion IO-Drive 인식할 수 있나요? (3) |
이천풍 |
2021-01 |
3733 |
0 |
2021-01
3733
1 이천풍
|
86399 |
맥에서... (4) |
황진우 |
2014-04 |
3733 |
0 |
2014-04
3733
1 황진우
|
86398 |
혹시 몰라 도움 요청합니다. 남이 쓴 위키내용을 죄다 삭제하는 건 어찌 해야 하나요 (6) |
LSSAH |
2018-06 |
3734 |
0 |
2018-06
3734
1 LSSAH
|
86397 |
전원선의 변환 (1) |
차평석 |
2014-12 |
3734 |
0 |
2014-12
3734
1 차평석
|
86396 |
역시 작은 화면에 고해상도는 부담스럽네요. (2) |
차평석 |
2017-05 |
3734 |
0 |
2017-05
3734
1 차평석
|
동영상 플레이하실 때 그래픽프로세서의 가속을 지원받으실텐데 그것도 코프로세서입니다.
그리고 랜카드를 꼽아 쓰신다면 거기 달린 조그마한 프로세서도 코프로세서죠.
혹시 반디집 같은 거 쓰신다면 압축할 때 코프로세서(CUDA) 도움을 받습니다.
혹시 레이드카드나 SAS확장카드를 쓰신다면 거기 달린 프로세서도 코프로세서입니다.
이건 팬티엄 시절(플로팅 연산유닛: 요즘은 CPU에 통합)부터 주구장창 써오던 기술입니다.
그리고 스마트폰(ARM기반)의 경우 대개 비디오 하드웨어 코덱을 지니는데, 이것도 코프로세서입니다.
허접한 옛날 스마트폰들도 FHD영상을 부드럽게 재생할 수 있는 비결이지요.
요즘 CPU는 과거 실수연산유닛 먹은걸로도 모자라서 이것도 쳐묵쳐묵 하고 있습니다.
61코어 244쓰레드, 1.24Ghz turbo 1.33 Ghz , 16GB 메모리..
Coprocessor 입니다.
PiPPuuP님 말씀처럼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gpgpu가 특히 각광을 받습니다.
이는 cpu의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데 특정한 환경에서는 cpu의 10~20배 혹은 그 이상의
계산 능력을 보여줍니다. 그 특정한 환경은 병렬화라고 하는데 모든 코드를 병렬화시킬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전체 코드는 직렬 부분과 병렬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입니다.
예전에 gpgpu가 사용되기 전에는 그냥 모든 코드가 직렬화 (순차적 계산)되어 있었습니다.
gpgpu가 사용되면서 전체 코드중 특정 부분은 병렬화가 되면서 10배 이상이 가속됩니다.
이 특정 부분은 간단히 말해서 do 루프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복해서 계산하는 것을 동시에 여러 쓰레드에서 계산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하니까 시간이 절약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병렬화이지요.
이런 gpgpu중 대표 주자가 nvidia사의 비디오 카드이고 이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CUDA입니다.
amd 사의 라데온과 애플등 다른 여러 회사 비디오 카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가 openCL이라는 것이
있구요
말씀하신 xeon phi는 인텔사에서 개발한 코프로세서인데 이는 gpgpu는 아닌 코프로세서이며
openMP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http://www.openmp.org/wp-content/uploads/Rakesh_intel_cmplr_offload.pdf
4167이 생각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