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방전 후 부팅에 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이하나   
   조회 5642   추천 0    

완전 방전한 컴퓨터는 전원 버튼 누르면 바로는 안켜지고 한 3~5초 정도는 있다가 켜지잖아요...?


물론 방전 상태에서 체크하는 시간도 있다고 보지만 아예 전원이 안들어오니 전 콘덴서 충전(전압)도 영향이 있다고 보는데요...


그 외에 어떤 영향으로 일반 부팅보다 느린 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우앙뿌앙 2017-04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 머신 (일반 PC) 에서도

시스템 초기 가동시 자체적으로 헬스체크 하는 기능이 들어있습니다.

PC 부팅시에도 뭔가 문제가 있으면 비프음과 함께 메시지가 출력되는 그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ASUS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부품 납품하는 국내 모회사 차장 엔지니어님께 친절하게 강의 받은 내용이죠
     
이하나 2017-04
예 그건 일반 부팅에서도 해당하는 이야기니...
제가 궁금한 부분은 코드를 뽑아 완전 방전(베터리 방전은 아닌) 후에 부팅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이 있는 상태의 부팅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는 점입니다.
바로 전원 버튼 누르면 안켜지는 경우도 있구요.
          
무아 2017-04
그건 아마도 PSU 에서 그렇게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좋은 PSU 이거나
좋은 메인 보드라서 그런 것 같은데요. 난 소중하니까 하면서...

비싼 오디오 파워 앰프는 전원 넣고 바로 소리 안납니다. 심한놈은 몇십초 지나야.. 이제 일좀 해볼까 하고 소리가 나도록 프로텍트가 걸립니다.
               
이하나 2017-04
흠.. 콘덴서 충전이나 전압 수준에 의한 영향은 어느정도일까요
                    
무아 2017-04
1초도 안될 겁니다. 콘덴서가 UPS도 아니고.. 어느정도 순단을 견딜 정도만의 용량일 것이고, 그 무지막지한 파워 소모량을 충분히 몇초동안 전하를 잡아두려면 무지무지 큰 콘덴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전압 안정화 부분은 콘덴서의 충전쪽 보다는 반도체 장치가 안정적으로 성능을 내도록 예열(?)되는 시간이 더 크지않을까 싶습니다.
차넷컴퓨터 2017-04
경험상 OEM 메인보드나 워크스테이션에 들어가는 보드의 경우 완전 방전후에 전원이 입력되면은 파워와 팬들이 몇초 구동되다가 꺼집니다.

이 현상은 지극히 정상이고 제가 알기로는 시스템 구동전 하나의 점검과정 (?) 이라고 보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메인보드 ㅡ 파워가 그런 기능이 있는것 같습니다 메인보드쪽이 비중이 크겠지만요
     
이하나 2017-04
저도 동일하게 생각합니다.


QnA
제목Page 3323/5704
2014-05   5121506   정은준1
2015-12   1656842   백메가
2006-04   5628   원낙연
2005-08   5628   안창준
2015-08   5628   노성호
2012-08   5628   미수맨
2015-01   5628   송주환
2016-09   5628   겨울나무
2008-05   5628   송재훈
2008-12   5628   장현모
2013-10   5628   파커스
2015-01   5628   개왕초보
2016-12   5628   황진우
2018-05   5628   Ansyncic
2006-05   5628   박준규
2015-09   5628   안성현
2005-11   5629   방효문
2006-01   5629   김도헌
2006-02   5629   안창준
2012-09   5629   차평석
2016-11   5629   마초김문영
2006-07   5629   안창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