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몇도까지를 데드라인으로 보시나요?

PiPPuuP   
   조회 23189   추천 0    

IDC나 별도 자동공조설비가 되어있는 곳이야 아무 문제 없지만...

사무실 구역 옆에 간이로 칸을 짜서 만든 전산실 같은 경우 문제가 되죠.
특히 전기가 아까워서 에어컨을 잘 안 키는 경우 더욱 그러한듯 합니다.

보통 HDD 몇도까지를 데드라인으로 보시나요?

30도

40도

50도

60도

70도

80도

90도

100도(...)?


시원할 수록 좋다는 건 알고 있습니다만... 뭔가 기준을 정해서 담당자에게 에어컨 키기를 요구해야 할 듯 합니다.

해당 전산실에는 스위치, 라우터, 하드디스크 6개짜리 나스랑, 하드디스크 8개짜리 슈마깡통이 있습니다.

당신과의 거리 0.1m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04
하드 태크니컬 메뉴얼에 보통 적혀 있는데..

50도나 55도 이상이면 제조사에서 데이터 책임 못진다고 적혀 있습니다..

45도 이하가 좋겠죠..
     
PiPPuuP 2017-04
답변 감사드립니다.
HDD가 45도 일때 실내온도 기준으로 지침을 정하면 되겠군요.
엠브리오 2017-04
랙마운트 서버 컴퓨터들의 쿨링팬이 요란한 소리를 내면서 도는게 그냥 심심해서 만든건 아니죠.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RAID-5로 묶고 그냥 놔두었더니 60도 까지 올라가고 HDD가 에러 뿜으면서 뻣더군요.
조그마한 전산실은 굳이 에어콘까지는 아니더라도 풍량이 넉넉한 선풍기를 돌려서 환기 시켜주는게 좋습니다.
     
PiPPuuP 2017-04
답변 감사드립니다.
소음때문에 문을 닫고 쓰지 않을까 한데, 에어컨 킬것을 요구해야겠습니다.
김윤술 2017-04
예전에 히타치 6테라 하드 4개 10으로 쓰고 있었는데 60도까지 올라가서 만져봤더니 손 디는줄 알았습니다. 그래도 뻗지는 않더라구요. 고장날거 같아서 120미리쿨러 전면에 달아줬는데 30도로 떨어지더라구요. 120미리 클러 3만원짜리던데 3000-4000RPM 짜리들은 이건 선풍기가 아니라 강풍기더라구요.
     
PiPPuuP 2017-04
답변 감사드립니다.
어레이 앞 강풍은 좀 위험하지 않나요?
뒤에서 빨아내는거라면 괜찬터라도...
쿨러를 구해봐야겠습니다.
사무실기준으로 개인적인 마지노선은 권장치보다 높은 60도입니다.
더 올라가면 소음따윈 무시합니다.
     
PiPPuuP 2017-04
답변 감사드립니다.
여름엔 전산실 에어컨 키라고 해야겠습니다.
GEUN 2017-04
무조건 40'C 아래로 떨구려고 노력합니다.

온도관리안된하드는 얼마못씁니다. 보통 샷시전면에 위치할텐데 앞에서든 뒤에서든 공기흐름만 만들어주면 여름에도 45'C 내외유지가됩니다.
     
PiPPuuP 2017-04
40도...

노력이 많이 필요하겠군요...
연구좀 많이 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선호 2017-04
구글 리포트를 보면 40도 환경에서도 수명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는 하는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여름철에 하드가 더 잘 죽었습니다. 물론 이 결과도 불량률 높던 ST3000DM001-1CH166 구매시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ST3000DM001-1ER166, ST4000DM001 변경 이후 6개월간 아직까지 죽은 HDD는 없습니다. 요즘 스토리지 통합한다고 정확하게는 안세어봤는데 사용중인 HDD가 대충 80개 정도 될겁니다.)
     
PiPPuuP 2017-04
소중한 경험담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여름엔 신경써야겠군요.
조병철1 2017-04
지난 주 주터 서버실 에어컨 18도로 풀가동 중입니다
     
PiPPuuP 2017-04
대응담 감사드립니다.
18도면... 춥겠군요...
화란 2017-04
무조건 40도 언더에 한표 던집니다.
     
PiPPuuP 2017-04
소중한 한표 감사드립니다.
40언더.... 에어컨 없이 가능할련지 모르겠습니다.
drachen 2017-04
구글 리포트는, 제조사가 보증하는 온도 내에서는 수명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증 온도에서 10도인가 올라갈 때마다 수명이 반토막난다는 것 같습니다.
     
PiPPuuP 2017-04
전산실에 에어컨이 장비된게 정말 다행입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ZSNET5 2017-04
대부분 50도 까지는 별 문제 없이 동작한다고 제조사에서 보증하고 있습니다.
     
PiPPuuP 2017-04
소중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하드디스크 제조사 보증 범위를 지침 선정에 참고하겠습니다.
Lucifer 2017-04
하드 사이드에 120 미리팬 덕지덕지 붙여놨디니 24시간 가동기준 20개 모두 25도 전후 유지하네요
     
PiPPuuP 2017-04
소중한 120mm팬 적용기 감사드립니다.
여름 대비에 참고하겠습니다.
Marl보로 2023-04
여긴 6년 전의 글이군요 .. 온도가 올라갈수록 입출력 속도가 느려지던데요. 기본적으로 1차 경보를 45도로 설정하고 쓰다가 디스크 표면 온도가 기온보다 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납작한 플랫타입의 방열판을 고온용 접착제로 붙이고 2와트급 홀모터팬을 달아줍니다. 그래도 경보가 울리면 뚜껑을 열어놓고 작은 써큐레이터 바람으로 식혀줍니다.
     
인훈 2023-07
저도 오늘 본체 케이스 없는 상태에서  4테라 하드가 쿨링없이 61도 까지 찍어서 다이소usb 선풍기를 써서37 도까지 내려서 계속 유지 됩니다..
같이 있는 2테라 하드는 30 유지되는데 하드 적정온도보다도 낮은 상태더라고요...
확실히 usb선풍기를 쓰면서 하드가 더 빨라진 느낌을 받았습니다....
생각해 보니 그전에 생각보다 느린게 온도 때문이었네요...

제온용 보드라 일반케이스밖에 없어서 누드 상태로 그냥 쓰고 있는데요.
하드쿨링까지는 생각도 못해봤고 전에는 60 까지 올라간적도 없어서 그냥 썻었는데 앞으로는 어떤 경우든 하드 온도상태를 확인하려 합니다..
          
Marl보로 02-01
이제 읽었습니다. 말씀 덕분에 생각이 나서 방금  HWiNFO64.exe의 경고음 설정값을 확인했는데 최저온도 섭씨 +20도 ~ 최고온도 섭씨 +45도에 맞춰 놓았군요. 대략으로 40도에서 더 올라가면 동작상태가 불량한 기억들이 있었는데.... 혹시? 현재 생산하는 회전식 하드의 부품들은 어떠할지 모르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엠투 컨트롤러 경고음은 섭씨 +65도에 맞춰 놓았는데 하절기에는 아주 가끔 울리고 2월 1일 현재는 평균값이 섭씨 +47도입니다. 새해 건강하고 평안하소서.


QnA
제목Page 2003/5730
2015-12   1791192   백메가
2014-05   5266274   정은준1
2022-06   1891   민지파파
2015-03   4335   김건우
2013-11   8321   이지포토
2013-11   44964   김건우
2020-12   6141   호호후
2017-04   3727   나파이강승훈
2013-11   7571   서미
2018-07   6610   빡시다
2020-12   5137   Sikieiki
2018-08   4437   김건우
2011-05   8333   차평석
2011-05   9492   2CPU최주희
2016-05   4814   산적병일
2021-01   2658   뚜뚜김대원
2024-03   2153   SugarCube
2011-06   9910   마이코코
2018-08   3676   하나비
2019-10   5923   건약
2024-03   3132   여수I완스
2013-12   7985   송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