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구조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이 조직에는 다수의 PC가 있고 각 PC가 157.197.xxx.xxx의 IP주소를 할당받고 있고 이 IP주소로 공유(CIFS, FTP)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공인IP를 이용하는 구조가 이상하여 whatismyip등의 사이트를 통해 공인 IP를 확인해본 결과 218.xxx.xxx.xxx등의 위의 주소와는 다른 주소가 확인되었습니다.
-- 아래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로 보입니다. 외부에서는 gateway IP 만 확인됩니다.
- (게이트웨이 ; gaetway) - 218.xxx.xxx.xxx
(NAT)
(다수의 PC)
-- 157.197.xxx.xx1
-- 157.197.xxx.xx2
...
-- 157.197.xxx.xxx
--
추가로 IPv6 주소를 할당되어있는데 이 주소는 실제로 사용은 하지 않지만 내부망처럼 네트워크 탐색하였을때 다른 IPv6를 할당받은 PC를 찾고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1. 어떻게 이러한 구조가 가능한지와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
- IPv6 는 (라우터 구분값 + 랜카드 구분값) 으로 자동 구성됩니다.
- IPv6 도 결국 IP address 입니다. 설정만 되고, 통신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당연히 통신이 됩니다.
- 자동 구성되는 이유는 IPv6 관련 문서를 찾아보시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 IPv6 라는 기술이 원래 자동 구성되도록 만들어진 기술이고, 이 표준 과 기존 표준으로 랜카드, OS 를 만들었습니다.
--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를 보통의 수준에서 유추해보면 속도, 정확성, 편리성 정도
- 구글에서 검색하면 나오는 PPT 참조 ( 검색어 ; ipv6 IP 할당 원리 )
-- 위의 문서 내에서 기술된 주소 자동설정 ;
-- LAN상의 MAC(Medium Access Control)주소와 라우터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리픽스(prefix)를 결합하여 IP 주소 자동설정
- 저도 알려드릴 수준이 이정도 네요. 나머지 궁금하신 사항은 찾아보셔야 할 듯 합니다.
2. 157.197.xxx.xxx등의 공인 IP가 위와 같이 사설 IP로 사용가능한지의 여부
- IP4 에서는 공인 IP 와 사설 IP 가 정해져 있습니다.
-- 단순히 Network (Gateway) 구분 및 장비의 네트워크 구성 설정이 다른것이지 157 대역이 사설로 쓰인건 아닙니다.
--- 사설과 비슷한 형태로 설정되어 있을뿐이며, 157 대역은 Network 가 다른 지역에서도 자체적으로 설정, 사용이 가능합니다.
--- Nat 하위 단의 IP 설정, DHCP 설정은 관리자 임의로 허용 기능 내에서 가능합니다.
--- 노트북 2 대 직접 연결 (크로스 랜선) 할 경우, Network (서브넷 Subnet) 가 동일한 어떤 IP 도 설정해서 통신할 수 있습니다.
( ex ; 100.1.1.1 <--> 100.1.1.2 )
( 169.254.0.1 <--> 169.254.0.2 이렇게 설정하셔도 2대 간 통신이 가능합니다. )
( 랜선이 꼽혀있고, 랜설정이 성립 안되는 경우 169 대역으로 할당되는데, 이 또한 IP address 이므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
--- 대전 홍길동, 서울 홍길동은 이름(IP) 이 같지만 다른 사람(단말, PC) 입니다.
--- 형제(Network) 의 이름을 굳이 동일하게 지을 필요는 없습니다. 동일하게 지어놓고 (IP설정) 하고 이름을 부르면 둘 다 동시에 대답합니다.
--- 당연히 정상적인 대화(통신)이 안됩니다. 사람의 경우 자동으로 큰 홍길동, 작은 홍길동으로 구분해서 부르겠지만,
--- 컴퓨터는 Network 구분없이 동일한 IP 를 설정하면, 간발의 차이로 먼저 설정한 PC 만 IP 가 설정됩니다.
--- 즉, Network 이 같으면, IP 충돌이,
Network 이 다르면 충돌이 나지 않습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제 능력 내에서 쉽게(?) 풀어쓴 글 입니다.)
-- https://ko.wikipedia.org/wiki/IPv4 을 통해 IP4 에 대해 어느 정도 납득하셔야 IPv6 와 비교가 가능할 듯 보입니다.
위 링크에서 "구성 단위" 중 "특수 용도 주소" 를 제외하면 공인 IP ( D, E 클래스는 별도 용도 )
-- 사설
10.0.0.0/8 사설 네트워크
172.16.0.0/12 사설 네트워크
192.168.0.0/16 사설 네트워크
3. IPv6로 사설망 생성 가능 여부와 실제로 IPv6로 사설망을 구성하는지의 여부입니다.
- IPv6 사설망 기능은 있다는걸로 검색은 됩니다. 이 건 한번 찾아보셔서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p.s
네트워크가 어려운거 라기보다 아는 만큼만 보이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얌전한 고양이님의 답변에서 제가 유일하게 걸리는 것은 공인 IP를 개인 라우터에서 NAT를 할 수 있는지입니다.
우리가 라우터에서 사설IP인 192.168.xxx.xxx를 할당해주는 것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아서요.
"조직" 이라는 단어를 봐서, 업체 또는 대단위 그룹으로 생각했습니다.
일반적인 기업단위에서 사용하는 라우터는 할당하는 IP 에 별다른 제약이 없습니다.
예로, ER (긴급복구) 환경을 만든다고 한다면, 해당 ER 환경에서의 IP 는 모두 실제로 "이미 운용"하고 있는 IP 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제가 말씀드리는것보다 한번 찾아보시는게 나을 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개인라우터 라는게 집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공유기를 뜻하시다면,
공유기 가격에 따라 될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굳이 시도해보진 않았습니다.
사실 PC 도 일종의 라우터와 동급입니다.
PC 에 NIC 카드 여러장 붙여서, 라우팅 테이블 관리해주면 어느 정도 라우터 역활을 대변합니다.
( 그래서 PC 와 라우터간 연결할 때, 스위치와 연결하는 랜선으로는 연결 안됩니다~ )
(네트워크 공부할 때, 선생님이 라우터 살 돈 없으면, 네트워카드 붙여서라도 연습해보라고 하시더군요..
하지만 오래된 라우터 크게 비싸지 않으니 직접 OS 올려보시고, 라우터끼리 연결해서 네트웍 구성해보시길 권장합니다. )
- 컴퓨터를 생계로 하면서 네트웍이 궁금해서 6개월 정도 풀타임으로 배웠습니다.
- 제가 말씀드리는게 모두 정답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말씀드렸습니다.
다른 영역들도 모르면 어렵긴 마찬가지지만,
짧게나마 네트웍 공부해본 경험으로, 딱 아는 만큼만 보이는 영역 같습니다.
제가 공부할때 사용했던 서적 입니다.
http://www.cyber.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491
부디 궁금증 해결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