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081 |
25 |
2015-12
176508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641 |
0 |
2014-05
5239641
1 정은준1
|
8278 |
스위치허브 사용시 속도저하현상.... (9) |
양재혁 |
2011-03 |
29258 |
0 |
2011-03
29258
1 양재혁
|
8277 |
시스코 카탈리스트 4506에 무선 공유기를 물려두었는데요.. (4) |
스카이 |
2011-03 |
8461 |
0 |
2011-03
8461
1 스카이
|
8276 |
홈서버2011인데요..Port_#0002.Hub_#0001라는게 알수없는 장치로 잡히네요 (3) |
김건우 |
2015-03 |
13555 |
0 |
2015-03
13555
1 김건우
|
8275 |
컴퓨터에 설치된 os를 가상화시킬수 있나요? (4) |
지한결J |
2016-05 |
4141 |
0 |
2016-05
4141
1 지한결J
|
8274 |
스카시 케이블 규격이 궁금합니다. (1) |
소주한병 |
2011-04 |
7060 |
0 |
2011-04
7060
1 소주한병
|
8273 |
_다음_이 이상하군요 (7) |
헬로우 |
2019-09 |
2453 |
0 |
2019-09
2453
1 헬로우
|
8272 |
오큘러스2 pc사양 질문 (5) |
캔위드 |
2020-12 |
5731 |
0 |
2020-12
5731
1 캔위드
|
8271 |
intel atom D410 ddr2 가성비 있게 쓰려면 어떤 용도로 써야 할까요? (17) |
민경열 |
2024-02 |
1674 |
0 |
2024-02
1674
1 민경열
|
8270 |
인터넷TV(MBC,SBS) 피크타임에 잘 끊기나요? (6) |
박 |
2013-11 |
10391 |
0 |
2013-11
10391
1 박
|
8269 |
이 하드 상태가 어떤가요? (7) |
푸른하늘아래 |
2015-03 |
4039 |
0 |
2015-03
4039
1 푸른하늘아래
|
8268 |
시게이트 RMA 방법좀 소상히 알려주세요^^ (1) |
2CPU최주희 |
2011-04 |
8052 |
0 |
2011-04
8052
1 2CPU최주희
|
8267 |
HDD 를 레이드 하지않고 각각 쓰기를 동시에 하면 레이드 효과가 날까요? (대역폭의 … (8) |
무아 |
2013-11 |
9328 |
0 |
2013-11
9328
1 무아
|
8266 |
IBM S시리즈와 X86서버 성능 비교 문의 드립니다. (6) |
배고프시죠 |
2016-05 |
8501 |
0 |
2016-05
8501
1 배고프시죠
|
8265 |
[질문]삼성 4GB 2RX4 PC2-4200F-444-10-d0 메모리는 어디에 사용하는 메모리인가요? (4) |
둥이엄마 |
2011-05 |
6125 |
0 |
2011-05
6125
1 둥이엄마
|
8264 |
[질문] SUN RACK 900-38에 Dell R220 Rail 장착 문의 (1) |
여리 |
2015-03 |
4784 |
0 |
2015-03
4784
1 여리
|
8263 |
Raid / 레이드구성 어떤게 낫을까요 ? (NAS Server) (10) |
제온프로 |
2019-09 |
3663 |
0 |
2019-09
3663
1 제온프로
|
8262 |
조립 질문입니다 1주일째 보다가 너무 힘들어서 고백함니다 ㅜㅜ (21) |
순사랑 |
2016-05 |
5723 |
0 |
2016-05
5723
1 순사랑
|
8261 |
EP45T-UD3R 바이오스 질문 드립니다^^ (1) |
adam2430 |
2018-07 |
3699 |
0 |
2018-07
3699
1 adam2430
|
8260 |
하드돌연사 문의드립니다 (4) |
송현우 |
2013-11 |
5378 |
0 |
2013-11
5378
1 송현우
|
8259 |
혹시 이 쿨러 팬 커넥터 규격 아시는분 계실까요? (9) |
빛나래 |
2024-02 |
1582 |
0 |
2024-02
1582
1 빛나래
|
전체 총괄하는 엔지니어가 얼마나 많은 경험과 노가다 기술이 있느냐 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요즘 PC와 서버는 옛날 OS들을 다 커버 하지 못하고 지원하는 영역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가끔씩 버그가 나타납니다..
그런 버그를 얼마나 잘 잡느냐 잘 콘트롤하냐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시간과 돈 그리고 노가다가 필요한 일이라 쉬운건 아닙니다..
개방성과 범용성은 하드웨어 퍼포먼스와 소프트웨어 하위 호환성이 충족될때 이룩할 수 있는 목표입니다.
안드로이드와 IOS는 OS 및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주기가 매우 빠르고 주 시장이 모바일이기 때문에 하드웨어 퍼포먼스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사용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하드웨어 퍼포먼스 또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정도의 제한적인 성능이기 때문에
서버와 데스크탑을 주 시장으로 하는 윈도우에 비해 개방성과 범용성이 떨어집니다.
CISC와 RISC 방식의 차이 또한 OS의 환경에 그대로 투영된다고 생각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작성된 간단한 프로그램이 아직도 Windows 10 에서 작동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 대목이겠습니다.
IOS와 윈도우는 개발자에게 매우 관용적인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발환경의 개방성 자체를 놓고 보면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변의 길이가 같은 환경에서
변의 수만 다르다고 가정했을때
윈도우는 100개의 변을 가진 백각형이고
IOS와 안드로이드는 10개의 변을 가진 십각형이라고 가정해보면 좋겠습니다.
모든 OS가 동일한 하드웨어(또는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비례하는 하드웨어)를 가진다고 생각할때,
소프트웨어 자체가 가진 가용범위는 윈도우가 압도적으로 넓지만 가용범위에 비해 하드웨어는 제한적이기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부하를 높게 줄 경우 다른 가용범위에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은 점점 줄거나 거의 없어질 것입니다.
단순 비교뿐만 아니라
각변을 어플리케이션이나 기타 구현으로 생각할 경우 그 자체가 가진 호환성과 최적화에 따라 성능 또한 천차만별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같은 컨텐츠라고 해도 ios 게임이 상당히 부드러운 편인데 출시는 안드로이드 쪽이 먼저 나오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