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2055 |
25 |
2015-12
177205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6745 |
0 |
2014-05
5246745
1 정은준1
|
39983 |
[슈마 보드 수리] AS만료인데 사설수리나 비용이 궁금합니다 (2) |
전설속의미… |
2015-11 |
4482 |
0 |
2015-11
4482
1 전설속의미…
|
39982 |
무료로 제공되는 아이콘(?) 중 계획서 만들 때 구성도 부분 서버, 스위치, 라우터 등… (5) |
2FluF |
2016-10 |
4482 |
0 |
2016-10
4482
1 2FluF
|
39981 |
ml110 g7 부팅시 비프음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카라얀 |
2016-03 |
4482 |
0 |
2016-03
4482
1 카라얀
|
39980 |
usb atsc tv tuner 가 가끔 죽는이유가 있을까요? (4) |
이영규 |
2018-04 |
4482 |
0 |
2018-04
4482
1 이영규
|
39979 |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2개가 자꾸 생기는데...뭣때문인지 모르겠네요. (4) |
김건우 |
2018-05 |
4482 |
0 |
2018-05
4482
1 김건우
|
39978 |
[해결] HDD를 핫스왑으로 쓰는 것은 문제가 있을까요? (7) |
audacity |
2017-03 |
4482 |
0 |
2017-03
4482
1 audacity
|
39977 |
NC364T 티밍 ~ (4) |
yanku |
2016-06 |
4482 |
0 |
2016-06
4482
1 yanku
|
39976 |
기가인터넷 설치전 구형컴퓨터 모뎀 적용가능한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6) |
날아라콩벌레 |
2015-07 |
4482 |
0 |
2015-07
4482
1 날아라콩벌레
|
39975 |
2 cpu 구성방법 (2) |
토브 |
2016-07 |
4482 |
0 |
2016-07
4482
1 토브
|
39974 |
[문의_트리플 모니터 개별 송출 환경 구성] DP 포트 관련 질문 (7) |
탑헌터 |
2020-11 |
4482 |
0 |
2020-11
4482
1 탑헌터
|
39973 |
모니터의 전원을 완전차단 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3) |
최용섭 |
2015-12 |
4482 |
0 |
2015-12
4482
1 최용섭
|
39972 |
노트북으로 MSA1050을 putty - serial로 접속시 질문있습니다 (16) |
1회용 |
2021-05 |
4482 |
0 |
2021-05
4482
1 1회용
|
39971 |
RT-AC58U에서 듀얼밴드 설정 따로 해줘야하나요..? TX속도가 867이네요. (1) |
엔진엑스 |
2018-06 |
4482 |
0 |
2018-06
4482
1 엔진엑스
|
39970 |
사이트 이미지 전체 다운받는 프로그램 없나요? (10) |
어훕 |
2017-10 |
4482 |
1 |
2017-10
4482
1 어훕
|
39969 |
2cpu의 광고 배너가 구글의 adsence 광고치고는 이상하여 문의해봅니다. (2) |
만년초보 |
2016-06 |
4482 |
0 |
2016-06
4482
1 만년초보
|
39968 |
인터넷 해지할 때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18) |
배고프고가… |
2014-04 |
4482 |
0 |
2014-04
4482
1 배고프고가…
|
39967 |
E5-2670 듀얼에서 E5-2667 V2 듀얼로 업글시에 체감효과가 있을까요..? (2) |
들고양이 |
2017-09 |
4482 |
0 |
2017-09
4482
1 들고양이
|
39966 |
771-> 1366 체감 성능이 있을까요? 추천 부탁합니다 (33) |
Beastpower |
2017-09 |
4482 |
0 |
2017-09
4482
1 Beastpower
|
39965 |
e5450 두개 장착한 성능이 어느정도 되나요? (2) |
에핑 |
2015-01 |
4482 |
0 |
2015-01
4482
1 에핑
|
39964 |
레이저 타공 업체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MikroTik이진 |
2015-01 |
4482 |
0 |
2015-01
4482
1 MikroTik이진
|
옛날에는 SCSI 방식과 FC방식이 있었고요.
요즘은 SCSI방식은 죽었고 SAS방식과 FC방식이 나옵니다.
디스크는 SATA ,SAS, FC 가 쓰입니다..
사실 SATA 의 발전으로 FC는 잘 안 쓰이는 추세입니다..
DAS 장비와 PC사이에는 PC에 HBA (SCSI 카드 ,SAS카드 , FC카드)로 연결합니다.
DAS장비 자체는 OS에 독립적이며 (OS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컴퓨터에 꼽힌 HBA 카드가 얼만큼 OS를 지원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어 프로그램이 있어야 작동을 하는것입니까?
아니면 자동으로 OS에서 컨트롤 해 주는것입니까?
설치를 해야하는것이라면 또 os별로 프로그램을 설치 해야하는것인가봐요?
보통 사용되는 카드들을 지칭합니다.
랜카드
스커지카드
SAS카드
비디오카드
등등
카드들은 대략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아시죠??
스커지 카드 , sas카드 = 하드디스크의 cpu(호스트) 와 통신하기위한카드
비디오카드 = 그래픽용...
아닌가용...?
개념적으로만 본다는 컴퓨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SATA하드디스크도 DAS입니다.
다만, 컴퓨터내부에는 장착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의 갯수(로 인한 용량)가 한정되고, 또 속도향상이나 장애대응을 위한 RAID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밖에다가 하드디스크를 여러개 장착할 수 있는 장치를 둔 것입니다.
대부분 PCI-E타입의 DAS의 경우 모든 제어를 컴퓨터(운영체제)에서 합니다.
나머지 방식의 경우 대부분 DAS스토리지에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LAN을 통하여 Web Console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DAS방식으로 스토리지를 구성 한 경우 DAS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1대에서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이 컴퓨터에서 DAS스토리지를 SMB등으로 공유 해 준다면, 이 컴퓨터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가 접근할 수는 있지만, 보통 이렇게는 사용을 잘 안합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이런 DAS도 FC타입이라면 공유(SAN)할 수는 있지만, 비용이 너무 커집니다.
일반 pcie를 사용하는 das는 os에서 모든 제어를 하고
고급장비의 경우 pci버스에 또다른 cpu(das통신전용)가있고 그 cpu가 das를 통제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이런경우 메인os의 경우 리소스를 확실히 덜 먹긴 하겠지만.... ㅜㅜ
너무 어렵네요
DAS장비전용 PCI카드라는것을 위에 다른 분께서 HBA라고 하셨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 HBA가 필요합니다.
HBA카드라 하면 보통 PCI, PCI-X, PCI-E타입이지만, 개념적으로는 컴퓨터 내부에 있는 SATA, SAS도 HBA(기능을 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SATA, SAS 컨트롤러 카드를 HBA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일반적인 메인보드에는 SAS포트가 외부로 나와 있는것이 없는데 DAS장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 HBA에 달려있는 SAS포트가 외부로 나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HBA카드를 추가로 장착하는 가장 큰 이유 일겁니다.
PCI-E타입 DAS의 경우 좀 특이한 종류인데,
보통 RAID카드를 메인보드의 PCI-E슬롯에 장착을 하지만, 이 장비는 PCI-E슬롯을 PC외부에서 꽂을 수 있게 해 주는 컨버팅 카드를 장착합니다. 그리고 PCI-E타입 DAS내부에는 RAID컨트롤러가 달려 있습니다.
즉 PCI-E슬롯에 RAID카드가 꽂혀있고, 이 RAID카드에 하드디스크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RAID카드와 하드디스크)을 PC외부로 빼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보니 RAID컨트롤러가 H/W방식이라면 CPU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단, DAS에 장착되어 있는 RAID컨트롤러가 포트만 제공하고 실질적인 RAID연산기능을 CPU가 담당하는 방식이라면 PC내부의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SAS나 FC타입의 DAS라면 CPU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PC내부의 SAS타입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만큼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참고로, E-SATA방식의 DAS스토리지가 있는데, 이걸 생각하시면 좀 이해가 쉬울거 같습니다.
E-SATA는 PC내부의 SATA와 별 다를것이 없지만, PC외부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포트 모양을 조금 변화시켜 외부로 빼 놓은 것입니다. 이런 역할을 하는것이 HBA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Esata 말씀 쉽게 이헤가 되었습니다!
Das가 단순 포트확장의 경우에는 cpu를 잡아먹고
하드웨어레이드 컨트롤링리면 cpu를 덜 먹는군요!
외부말씀은 pci단자를 그래도 외부로 반출한다는 말씀이균요!!
감사합니다!
장비를 사신다면 장비 메뉴얼을 다 숙독하셔야 하고
그래도 모르면 무슨 장비 가르쳐 달라고 하세요..
보통 DAS방식 레이드 장비는 하드 빼고 500백만원에서 1천만원 이상되야 될 겁니다..
실제 장비 만져보면 DAS가 재일 쉽다라고 전 생각됩니다..
NAS는 네트워크를 다 알아야 재대로 셋팅하니까요..
DAS는 일종의 큰 하드 달기나 마찬가지죠..
나중에 공장가면 PLC나 만져야하는데
뭔가 서버관련으로 연관이 있을지...
요즘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닙니다 ㅜㅜ
(Plc중에 서버sql에 바로 업로드기능이있는장비나 그런것도있다나뭐라나....)
네트워크는 관심이 많은데 역시 어렵네용
대만에서 오래된 레이드장비 사이트입니다.
PLC면 프로그래밍쪽이죠...
요즘에는 둘 다 가능한 사람을 찾는듯합니다...
제어반설치뿐만아니라 네트워킹장비 설치에 네트워크 구성까지 맡긴다는 이야기가...
회사에서도 네트워크 tcpip 공부좀하고오라고하는것보니.... 물론 이것더 프로그래밍이긴 합니다마는....
서버관리자+네트웍관리자 가 되는 사람을 찾지요...
일자리만 줄어듭니다..
TCP/IP 원론적인 것을 원한다면 라우터 자격증(시스코 등등)같은 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시험치는데만 200만원이라는소문이 ㅜㅜ
라우터나 허브 세팅하는데 시간당 얼마 단위로 불려 댕깁니다..
단 그만큼 실력이 있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