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AID 1 구성 후 관리에 대하여

   조회 5131   추천 0    

1. 윗분 말씀대로 케바케 입니다만, 아래 질문에서 추측하건데, 레이드가 거덜나도 살리는게 목적이면 레이드가 아니라 한쪽 하드에 기록된 파일을 자동으로 다른쪽 하드에도 똑같이 복사해 주는 sw 를 쓰는게 복구확율이나 복구 소요시간이 적게 들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2. 기본적으론, '네' .말씀하신게 안되면 raid 1 이라는 이름을 못 붙입니다.

-다만 디스크 장애 요인이 하드가 아니라 레이드 컨트롤러 쪽에서 발생하는경우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3. raid 1 이면, '디스크'가 둘중 하나만 죽는 다면 다른 하나를 반드시 살려 낼 수 있어야 정상입니다.

다만, 디스크 고장 원인이라는게 정전이나 벼락같은 거면 둘중 하나만 죽는 경우는 잘 없이 둘 이상이 죽는 것도 흔하고, '레이드가 깨지는 경우' 꽤 높은 확율로 디스크가 아니라 레이드 컨트롤러 쪽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고 알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데이터가 홀랑 날아가는 경우도 결코 드물지 않습니다.


4.정말정말정말 절대로 날려서는 안되는 데이터를 사용 중이시라면, 레이드 1 말고는 다른 번호가 낫지 않나 합니다.


8개 하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연간 디스크 고장율을 5% 잡으면 

                           


연간 사고율손실량연간 기대 피해량사용 가능 디스크량용량당 구축비용구축비용당 기대 피해량
없음5.00000%12.50%0.62500%100%100%100.0%
10.25000%25%0.06250%50%200%5.0%
100.25000%100%0.25000%50%200%20.0%
50.25000%100%0.25000%87.50%114%35.0%
5 두개0.25000%50%0.12500%75.00%133%15.0%
60.01250%100%0.01250%75%133%1.5%
6 두개0.01250%50%0.00625%50%200%0.5%

                                                                             

대충 이렇게 됩니다.

사고율은 데이터가 날아갈만큼 디스크들이 동시에 작살 날 확율이고(실제로는 레이드를 묶었을 경우 사고가 터질 확율은 가장 사고율이 높은 레이드 10 이라고 해도 저거의 1/80 이하입니다. 8개 통짜 묶음 중에서 묶음에 속한 하드중 하나만 고장난 시점에서 두개째 고장나기 전에 재빨리 갈아끼워 주면 그해에 또다시 하드가 하나 죽어도 아무 문제 없거든요.)

손실량은, 데이터가 날아가는 사고가 터졌을때, 보유한 데이터의 몇%가 날아가는가

연간 기대 피해량은, 사고가 터질 확율과 사고가 터졌을때의 데미지의 곱셈(낮을수록 좋음)

사용 가능 디스크량은 하드 8개 용량을 100%이라고 봤을때 사용가능한 용량이 얼마나 되는가

용량당 구축 비용은 100테라 어치 저장소 만든다 쳤을때, 레이드 안하는걸 기준가로 다른게 얼마쯤 하는가(하드 가격 기준)(실제로는 다른 부품이 몇개 더 들어가서 8개면 레이드 물리는 순간 구축비용이 10%쯤 올라갑니다.)


개인적으로는, 개인 사용자 레벨에서는 raid 5면 충분하고 엔간히 중요한 정보라도 raid 6이면 대체로 감당가능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레이드 5랑 6이랑은 구축 비용 측면에서는 19%쯤 차이나는데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2000% 정도 차이남)
(하드 디스크 갯수 따라서 위 확율표는 완전히 이야기가 달라지지만, 일단 논외로....)



P.S

레이드 1 물리려는데 왜 굳이 Highpoint RocketRAID 2722 같은걸 쓰시죠...?
1:1 raid 1 *4 정도면 그냥 인텔 1151 메인보드 적당한거 고르면 내장된 기능으로 해결이 되는데....
(raid 업계 안정성은 톱클래스인 인텔 답계 보드가 박살나도 레이드 깨질 확율도 적은 편이고... 데이터 입출력 속도는 좀 떨어진다지만 raid 5도 아니고 1 이면 그닥 큰 문제 안될텐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전요셉 2017-05
답변감사합니다.

RAID 1이 깨지거나 컨트롤러 고장 시, HDD만 정상이라면 어느 컨트롤러에 꽂든 HDD내의 자료를 읽어들일 수 있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컨트롤러가 죽거나 정전등의 이유로 RAID 1이 풀렸을 때, 다른 시스템에 연결하여 자료만이라도 살릴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RAID5, 6은 캐쉬가 없는 컨트롤러이기 때문에 너무 느릴것 같아 사용을 할 생각이없으며,
RAID5, 6이 RAID1 보다 편의성은 좋아도 레이드 깨짐이나, 기타 정전등의 사유 발생 시 안정성은 더 떨어진다고 판단됩니다.
또 최악의 경우 자료를 날리더라도 RAID1로 구성했을 경우 HDD 1개분에 해당하는 자료만 날아가지만 RAID5, 6의 경우 그 이상의 자료가 날아가게 될 것이구요.
 

구지 2722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ITX 보드를 사용중이며, 해당 SATA 포트에 모든 하드디스크를 연결하여 사용.
 - HDD를 추가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포트수를 늘리기위해 추가 컨트롤러 or 레이드 카드가 필요.
 - ITX보드에 ITX 케이스이기 때문에 길이가 긴 컨트롤러 or 레이드 카드는 사용할 수 없음. (17cm이하면 좋고 최대 20cm 미만이어야함)
  (가격이 저렴한 것 중 길이가 짧은 컨트롤러 or 레이드카드는 2722 였음.)
 - ITX 케이스라 하드를 무한정 늘릴 수 없기때문에 외장 스토리지가 필요했고, 외장 연결 방식 중
  USB 방식은 안정적이지 못한 이미지고, 썬더볼트는 보드에서 지원을 하지 않으며, eSATA와 miniSAS 중 고민하다 miniSAS를 선택.

위와 같은 사정에 의해 2722 및 외장 스토리지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메가날백 2017-06
답변을 적다 보니 분량이 좀 되어서 별도 글로 뽑아서 아래에 다시 달았습니다.


QnA
제목Page 2767/5703
2015-12   1654344   백메가
2014-05   5118933   정은준1
2005-12   5099   서요한
2007-04   5099   곽태영
2007-10   5099   전영진
2006-08   5099   노형석
2016-12   5099   AKMU
2007-10   5099   신현균
2008-08   5099   정은준
2008-07   5099   서정욱
2012-10   5099   카멜레온
2006-11   5099   장진수
2018-05   5099   metaljw
2007-07   5099   손경화
2012-12   5099   지니보이
2008-07   5099   김용수_
2015-09   5099   AKMU
2013-07   5099   SkyBase
2006-12   5099   천희승
2011-09   5099   이종송1
2013-01   5100   TeaRoom
2009-01   5100   김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