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588 |
0 |
2014-05
526858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605 |
25 |
2015-12
1793605
1 백메가
|
75898 |
델 T7500에 nvme ssd 지원할까요?? (6) |
창원자게이 |
2017-04 |
4442 |
1 |
2017-04
4442
1 창원자게이
|
75897 |
EVGA Classified SR-2 보드 전멸인가요? (4) |
가빠로구나 |
2014-03 |
4442 |
0 |
2014-03
4442
1 가빠로구나
|
75896 |
간만에 모니터를 사려고 하는데 둘중 고민이 됩니다 ㅠㅠ (5) |
포스타 |
2021-01 |
4442 |
0 |
2021-01
4442
1 포스타
|
75895 |
Snapraid 사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6) |
검은콩 |
2019-07 |
4442 |
0 |
2019-07
4442
1 검은콩
|
75894 |
IBM LSI ServeRAID M5015 SAS SATA PCIe RAID Controller 46C8927 장착문의 (2) |
클로이베넷 |
2016-06 |
4442 |
0 |
2016-06
4442
1 클로이베넷
|
75893 |
파워가 물을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12) |
회원K |
2014-08 |
4442 |
0 |
2014-08
4442
1 회원K
|
75892 |
T-mobile AC-1900 아답터 문제. (1) |
스캔l민현기 |
2018-08 |
4442 |
0 |
2018-08
4442
1 스캔l민현기
|
75891 |
어제 저녁부터 ...자꾸 혼자부팅 (4) |
geniefix |
2016-06 |
4442 |
0 |
2016-06
4442
1 geniefix
|
75890 |
파일서버 구성시 레이드 설정 문의합니다. (7) |
초보IT |
2015-12 |
4442 |
0 |
2015-12
4442
1 초보IT
|
75889 |
dell t3610 pcie nvme 부팅가능한가요? |
눈팅돌이 |
2017-01 |
4442 |
0 |
2017-01
4442
1 눈팅돌이
|
75888 |
파티션이 0메가.. (13) |
여주농민76 |
2020-11 |
4442 |
0 |
2020-11
4442
1 여주농민76
|
75887 |
P5K SE 에서 EP35-DS3R로 가면 급이 어떻게 되나요? (3) |
김민철GC |
2014-09 |
4442 |
0 |
2014-09
4442
1 김민철GC
|
75886 |
esxi pci passthrough로 사용할 VGA는 어떤게 좋을까요? (2) |
online9 |
2016-07 |
4442 |
0 |
2016-07
4442
1 online9
|
75885 |
문제 해결했습니다!! (2) |
리오 |
2016-09 |
4442 |
0 |
2016-09
4442
1 리오
|
75884 |
소프트웨어 확인 부탁드립니다. (5) |
Good |
2016-10 |
4443 |
0 |
2016-10
4443
1 Good
|
75883 |
putty로 서버접속시 ID/PW 입력하면 로그인되고 바로 팅깁니다. (4) |
조형 |
2017-12 |
4443 |
0 |
2017-12
4443
1 조형
|
75882 |
SSD raid 정말 어렵네요 (2) |
박 |
2014-09 |
4443 |
0 |
2014-09
4443
1 박
|
75881 |
이 것(모듈과 브라켓, 케이블) 어디에서 구해야 할까요? (5) |
dusrl00 |
2014-08 |
4443 |
0 |
2014-08
4443
1 dusrl00
|
75880 |
Angry ip scanner 같은 어플이 있을까요? (2) |
Nikon |
2017-12 |
4443 |
0 |
2017-12
4443
1 Nikon
|
75879 |
raid 볼륨이 안 보여요.. (3) |
변사똥 |
2015-10 |
4443 |
0 |
2015-10
4443
1 변사똥
|
정 높이고 싶으시면 공유기에 바로 설치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넓적한 막대기처럼 생긴)에 현재 보다 높은 5 dBi이상 설치가 그나마 제일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공유기(송신기)만 높여봐야 노트북/핸드폰(수신기)의 안테나 변경이 없다면 그닥 큰 감흥은 없습니다.
물론 안테나 게이지는 높게 나옵니다만 반응이나 속도, 끊김 현상은 보장 못합니다.
방마다 벽으로 막혀 있다면 방마다 AP를 달던지 하는 것이 맞습니다..
안테나 선을 연장해서 사용할수 있는 와이파이기기는 최소 몇십만원하는 기업용 기기 밖에 없습니다..
IPTIME은 단가 절감을 위해 단자를 최소한으로 줄여서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