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보드, 그래픽카드, .. 그외 질문 드립니다.

Delight   
   조회 3468   추천 1    

마더보드 모델명 : Asrock EP2C602-4L/D16 2011

 1. NVME SSD를 사용불가능한가요?


2. M.2 SSD는 바로 장착못하고 추가로 슬롯 장착하면 사용가능하다고 듣긴들었는데 그게 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GTX760대충 끼고 vmware 가상머신 여러대키고 게임 멀티로 사용하는데 끊김이 너무 심하더군요. 아는 지인은 RX480 사용하는데 끊김이 하나도 없다고 합니다.

vmware돌릴때 그래픽을 뭐 사야하나 고민하다가 GTX1060 6G, RX480 8G, GTX970 4G 이 세개로 범위를 줄였습니다. 보니까 각각마다 이점이 다르더라구요.. 메모리가 크거나, 전기사용량이 적거나, 가격이 그나마 싸거나.. 등등 셋중에 뭘 가야될지 모르겠어서 추천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골라도 매물이 없네요..) 또 만약 저기 세 그래픽카드가 별로라면 다른것 추천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4. 정보를 찾아봐도 'vmware workstation은 외/내장 그래픽카드에 영향이 없다.'라는 글을 많이 보았는데 신빙성있는 글 인가요? (실사용 하시는분들만 봐도 그래픽영향이 심하다는데.. e5 2670 2cpu, 램64G를 사용해도 라이젠 쓰는분한테 압도적으로 밀리더라구요.)


5. 메인보드, 램 사용자 부주의가 아닌 장착시 발화로 녹아버렸을때 무상 A/S해주나요? (A/S기간은 남아있습니다.)


6. 서버피시다보니까 하루종일 방에 켜놓는데 열이 장난아니더군요... 집에 구멍하나 뚫어서 에어컨처럼 열 밖으로 빼는건 별로인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지석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07
1/2 . 보드 사진도 안 보신 듯합니다. M2 슬롯 자체가 없습니다.
M2슬롯을 원하시면 몇달안에 발표할 새로운 인텔 서버 시스템을 알아보세요..

5. 무상 A/S의 조건은 무상A/S기간 내 외부에 파손의 흔적이 없고 고장이 났을때입니다..
  컴퓨터 부품위 모든 A/S조건이 저런 식이며
  자기가 조립했는데 타버리거나 하면 자기의 부주의가 아니다 라는 것을 검증해야 하는데 그게 쉬운일이 아니죠..
  타 버린 제품을 다시 동작하게 고친다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새로 만드는 것보다 돈이 더 들어갑니다.

6. 자기가 산 집에 벽을 허물어 바람 구멍을 내든 전신주를 박던 하는 것은 자기 맘입니다만
  전세나 월세인 경우 집주인이 아마 쫒아 내려고 할 겁니다..(집주인의 허락이나 집주인이 해줘야죠)
anti2cpu 2017-07
가상화 몇개 안돌린다면
고클럭인 라이젠이 유리합니다
3d 가속설정 하셨으면(vmtool설치등)
그래픽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을텐데요
가상화 갯수가 많아진다면
2670 2cpu가 월등한 차이로 좋습니다
ssd raid0을 고려해보심이 좋을듯 싶습니다
5. 장착시 발화... 고객과실로 인한 a/s 불가 일겁니다. (무상 a/s사유는 기계에 외부 손상이 없는데 인식 안되는 등등 일때에만 무상이 될겁니다.)

6. 벽을 뚫어 밖으로 열을 빼내는 방식이 가장 좋겠지요 에어컨 처럼 외부로 열을 빼낸다면 가장 좋은 효과가 있을겁니다.
반달9 2017-07
     
Delight 2017-07
정보 감사합니다.
다음에 한번도전해보겠습니다 ^^


QnA
제목Page 1930/5730
2015-12   1791684   백메가
2014-05   5266768   정은준1
2009-07   6390   신정욱
2014-06   4049   VSPress
2015-10   4724   엠씨넷
2009-07   6200   잔인한넘
2023-03   4817   시도니
2014-07   5968   강성민
2023-03   2421   경박한시민
2021-08   3123   다이어트중
2023-03   7320   네이쳐
2009-08   6205   유종철
2012-10   6193   미수맨
2014-07   4558   김제연
2009-08   7948   박종용
2015-11   3767   오준호5
2012-10   5942   우앙뿌앙
2014-07   4200   metaljw
2017-12   6254   페르세우스
2020-04   2716   머라카는데
2012-11   6177   양재혁
2015-11   3713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