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449 |
0 |
2014-05
526644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353 |
25 |
2015-12
1791353
1 백메가
|
76053 |
220V용 가정서부담없이 사용할 절연장갑 추천부탁드립니다. (7) |
이윤주 |
2016-09 |
13734 |
0 |
2016-09
13734
1 이윤주
|
76052 |
윈도우 구매 - 회사 사용 목적 - 온라인 구매 (15) |
제로원소프트 |
2023-02 |
1989 |
0 |
2023-02
1989
1 제로원소프트
|
76051 |
전동드릴에 질문이 있네요.. (7) |
siteop |
2016-09 |
4922 |
0 |
2016-09
4922
1 siteop
|
76050 |
노트북의 복원파티션 이사시키기... (4) |
심바트 |
2009-02 |
5582 |
0 |
2009-02
5582
1 심바트
|
76049 |
개조 바이오스 만들어 주실분있으십니까? (급합니다...)ㅠㅠ (5) |
doc |
2015-09 |
9132 |
0 |
2015-09
9132
1 doc
|
76048 |
vpn 상태를 테더링 또는 핫스팟 불가할까요?? (5) |
DoubleSH |
2016-09 |
16888 |
0 |
2016-09
16888
1 DoubleSH
|
76047 |
인텔x710 랜카드 구매처 (2) |
아이브릿지 |
2023-02 |
1547 |
0 |
2023-02
1547
1 아이브릿지
|
76046 |
AMD CPU (FX8300) 질문 드려봅니다. (45) |
편한세상 |
2016-09 |
7380 |
0 |
2016-09
7380
1 편한세상
|
76045 |
공시지원금 받아 개통해도 고가요금제 유지가 필요하나요? (12) |
이건희 |
2020-02 |
4374 |
0 |
2020-02
4374
1 이건희
|
76044 |
오디오 단위 질문드립니다 (8) |
Sikieiki |
2019-01 |
3451 |
0 |
2019-01
3451
1 Sikieiki
|
76043 |
7800x3d 와 9700x 중에 뭘 선택해야 할까요? (9) |
염불님 |
2024-10 |
2296 |
0 |
2024-10
2296
1 염불님
|
76042 |
(질문)동축케이블은90도로꺽으면,신호전달이안되게되나요? (6) |
영원한혁신 |
2012-06 |
8668 |
0 |
2012-06
8668
1 영원한혁신
|
76041 |
올레 하이브리드 에그 괜찮을까요? (5) |
s김종화z |
2015-09 |
5380 |
0 |
2015-09
5380
1 s김종화z
|
76040 |
Mikrotik 라우터 질문있습니다. (4) |
도리a |
2019-01 |
2954 |
0 |
2019-01
2954
1 도리a
|
76039 |
슈마보드 바이오스에 왠 용산? (2) |
윈98 |
2015-09 |
4488 |
0 |
2015-09
4488
1 윈98
|
76038 |
[완료] 서버 램 섞어 써도 될까요? (IBM파츠 마이크론 & 삼성) (7) |
이니이니 |
2017-10 |
3911 |
0 |
2017-10
3911
1 이니이니
|
76037 |
ddr5 256(64x4) 메모리가 나온게 있을까요? (9) |
naan |
2024-11 |
1098 |
0 |
2024-11
1098
1 naan
|
76036 |
[해결]윈도우 서버 OS에서 AMD 드라이버 설치 (13) |
대전김형운 |
2024-11 |
947 |
0 |
2024-11
947
1 대전김형운
|
76035 |
HP Z220 SFF 상하 좌우 여백 도움좀 주셔요 (6) |
나라사랑 |
2019-01 |
3344 |
0 |
2019-01
3344
1 나라사랑
|
76034 |
고사양 데탑을 외부에서 노트북을 통해서 사용가능한게 얼마나 잇나요? (10) |
행복하세 |
2021-07 |
4566 |
0 |
2021-07
4566
1 행복하세
|
보통 출력측에서 제한이 걸리는건 W 가 아니라 전류인 암페어 단위라 12볼트라도 2암페어가 한계, 5볼트라도 2암페어가 한계 라는 식이라서 그렇습니다.
(이건 보통 전선이랑 회로 문제라 그렇습니다.)
(그래서 옛날 한국 전기가 110 쓰다 220 으로 바뀌고 용량이 두배 늘었죠)
그리고 입력 륵에서는 받아들일수 있는 한계 이상으로 받지 않습니다.
자기가 받을수 있는 한계치가 2암페어면 거기다 100암페어짜리 전원장치를 연결해도 수신측에서 2암페어만 땡겨 갑니다.
....물론 아주 가끔 수신측에 저런 안전장치가 없어서 100암페어 짜리 달면 홀랑 폭발하는 경우가 없진 않은데, 4천원짜리 싸구려 장난감에도 들어가는 기능이라 저 기능이 없는 전원 수신측은 정말 보기 드뭅니다.
결론적으로.
수신측이건 송신측이건 어디서건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보통 휴대기기 급에서 2암페어 이상을 허용하는 경우는 무척 드뭅니다.
(퀄컴 퀵차지 같은 기술도 전류는 그대로 두고 전압만 19볼트로 늘리던가 그렇습니다.)
USB C 충전기는 PD를 만족할 경우 20v까지(기기에서 필요시) 출력이 가능합니다.
아이패드가 받아들이는 전력량은 에어, 에어 후속 기준으로 12w가 최대로 알고있습니다. 출력량이 5v 5A든 5v 20A든 기기가 받아들이는 양이 5v 2A가 최대라면 의미 없습니다.
만일 아이패드가 12W가 최대라고 가정할 시에는 29W짜리 급속충전기랑 사실상 별다른 충전시간차이가 발생하지 않겠군요.
전원을 켜고, 사용을 하는 상태에서 충전을 한다면 또 모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