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6774 |
0 |
2014-05
523677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2449 |
25 |
2015-12
1762449
1 백메가
|
39127 |
직결 vs 스위치 (10) |
빠시온 |
2018-02 |
4413 |
1 |
2018-02
4413
1 빠시온
|
39126 |
혹시 파이썬 아시는분 계신가요 ?? 기초질문드려요 (6) |
루비아빠 |
2019-03 |
4413 |
0 |
2019-03
4413
1 루비아빠
|
39125 |
ASUS RT-AC56U 공유기 쓰시는 분 계신가요?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
송진홍 |
2017-03 |
4413 |
0 |
2017-03
4413
1 송진홍
|
39124 |
페이팔질문임.. (5) |
황진우 |
2015-03 |
4413 |
0 |
2015-03
4413
1 황진우
|
39123 |
합선되서 타버렸습니다 (3) |
구쿠르그 |
2015-08 |
4413 |
0 |
2015-08
4413
1 구쿠르그
|
39122 |
zotac g45 itx wifi 개조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ㅠ (2) |
흙비 |
2015-01 |
4413 |
0 |
2015-01
4413
1 흙비
|
39121 |
Z600 비프음 5번 쉬고 5번 무엇인가요..ㅠㅠ (2) |
두cpu |
2017-10 |
4413 |
1 |
2017-10
4413
1 두cpu
|
39120 |
랙캐비넷 잠금뭉치를 샀는데...크기는 맞는데 이걸어떻게 써야하는지 모르겠네요... (7) |
김건우 |
2015-12 |
4413 |
0 |
2015-12
4413
1 김건우
|
39119 |
윈도에서 언어 변경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없을까요? 약간 복잡합니다. (6) |
osthek83 |
2018-06 |
4413 |
0 |
2018-06
4413
1 osthek83
|
39118 |
메인보드 P5K-E/Wifi를 구했는데 e5450 bios가 필요합니다. (4) |
소라2030 |
2015-10 |
4413 |
0 |
2015-10
4413
1 소라2030
|
39117 |
windows 2003 서버의 FTP 서비스 관련으로 문의 드립니다. (2) |
현정호 |
2014-07 |
4413 |
0 |
2014-07
4413
1 현정호
|
39116 |
사진작업용 pc 로 5690*2면 많이 과할까요?? (4) |
누자베스 |
2014-12 |
4413 |
0 |
2014-12
4413
1 누자베스
|
39115 |
외부 DNS, 방화벽 IP 문의 드립니다. (1) |
민사장 |
2015-05 |
4412 |
0 |
2015-05
4412
1 민사장
|
39114 |
Z420 복구 이미지 구합니다. (9) |
천외천oo노… |
2016-05 |
4412 |
0 |
2016-05
4412
1 천외천oo노…
|
39113 |
듀얼 보드 8pin 커넥터 관련 (6) |
신우섭 |
2016-03 |
4412 |
0 |
2016-03
4412
1 신우섭
|
39112 |
메모리 1.5v와 1.35v 외관상 어떻게 구분을 하는지요? (2) |
쌍cpu |
2015-07 |
4412 |
0 |
2015-07
4412
1 쌍cpu
|
39111 |
전기보일러가 월래 저주파음이나오나요? (9) |
행복하세 |
2017-05 |
4412 |
0 |
2017-05
4412
1 행복하세
|
39110 |
전기 배선 공사 관련 쉬운 서적좀 추천좀 해주실래요 (2) |
가빠로구나 |
2014-08 |
4412 |
0 |
2014-08
4412
1 가빠로구나
|
39109 |
miniGBIC(SFP+) 질문드립니다. (4) |
이선호 |
2015-09 |
4412 |
0 |
2015-09
4412
1 이선호
|
39108 |
질문혹시 이거 무슨일하는건지 아시는분 있나요 삼성디스플레이 클린룸내 업체 작업… (4) |
나나나나나 |
2016-10 |
4412 |
0 |
2016-10
4412
1 나나나나나
|
전기를 재생산하는 경우는 없어요. 그냥 수돗물처럼..흘러가니까요.
전기절약하게되면 핵발전소는 가동을 적게 하고...전기낭비하면 핵발전소를 더욱 가동합니다.
옛날에도 50~60년에서는 전력이 부족해서 수입 원유를 구입, 발전기를 가동했죠..
지금 아파트건설이 많다보니..내후면이면 전력부족사태가 일어납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갑니다..
매년 노인 인구층이 늘어나고 혼자 사는 분들이 많이 늘어 나는 시국에 전기 사용량이 그렇게 많이 늘어 날까요?.
전기가 모자를 만큼이나요?.
산업용전기 사용량좀 아끼면 원전 2개정도 가동 안해도 될듯 합니다만..
올해 산업용 전기 사용량도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한전에서 전기 사용량 증가 추이를 다시 계산 해야된다고도 했는데...
고효율,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하나 둘 탈바꿈 하는 마당에 못줄인다고 배째라는건 말도 안되죠.
산업용 올려봤자 얼마나 올렸습니까?16년도 기준 일본, 독일 산업용 전기료의 거의 절반수준입니다. OECD에서 한국 수준의 산업국가이면서 산업용 전기료가 싼 나라는 미국밖에 없습니다.
미국도 산업국가고 일본, 독일도 산업국가입니다. 미국이야 원최 자원이 많은 나라이고....
우리나라가 산업국가라 전기를 아낄 수 없다는 헛소리는 안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일의 경우에는 프랑스에서 원전으로 발전된 전력을 수입중인 것으로 알고 있고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정정 부탁드립니다.
독일 전력 수입의 경우 자꾸 이상하게 와전하여 선동질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원전 밥그릇 관련된 사람이겠지요.
독일이 전력 수입하는건 당연한겁니다. 전기가 부족해서 수입하는게 아니라 발전소가 가까워서 수입하는겁니다.
가상의 예를 들자면 전라도가 A나라 경상도가 B 나라라고 가정하고, 공장을 진주에 지으려고 합니다. 인근의 발전소는 광양과 울산뿐입니다. 전기료가 같다면 광양에서 끌어오는게 이득일까요? 울산에서 끌어오는게 이득일까요?
같은 맥락입니다. 유럽은 걸어서 국경을 넘나드는 곳이기 때문에 이러한 거래가 굉장히 활발합니다. 발전소가 프랑스와 가까우면 프랑스에서 끌어오고 프랑스에 있는 공장이 프랑스 발전소보다 독일 발전소가 가까우면 독일에서 끌어다 씁니다. 여기에 프랑스 전기는 거진 다 원자력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라 (전체의 75%) "독일이 원전 생산 전기를 수입"이라는 멋진 단어가 생겼지요.
아파트 지어도 주택보급률 110%도 못넘기는 상황으로 주택보급률 자체는 나쁘지 않고, 가정용 사용량이 전체의 1/7 될까 말까 합니다.
여기에 500~600Wh 먹던 벽걸이 에어컨이 고효휼화 되면서 절반수준밖에 안먹는 상황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아파트와는 전혀 상관 없다고 봅니다.
전기 재생산은 보는 시각에 따라 양수발전 등이 들어갈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일하는곳도 그래요...몇십년된 모터들 전기 진짜 엄청먹는데 (380v 60a) 당장 돈들어가니까 안갈아요...
누적금액으로 보면 효율좋은놈으로 교체하는게 돈 아끼는건데 말이죠...
다음은 ESS 배터리 기술 개발이죠 ^^
국내 자동차회사들이... 해외서 나는 손해분을... 국내서 매꾸는 식으로 말이죠.
산업용에서 펑크나는걸...맨날 가정용을 핑계로...터무니없는 누진세율을 붙이는것처럼 말이죠.
근데...조금 다른이야기지만...
대체 에너지의 확실한 대책없이...무조건 원전 없애는것도...문제긴 합니다.
청정 에너지로 바꾸는건 당연한거는 맞지만...문제는 미래를 준비하면서도..현재를 이겨낼수 있는 꾸준한
정책이 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5년뒤..혹시라도 정권이 다른쪽으로 바뀌면...또 뒤짚어 엎을것 100%인데 말이죠)
http://epsis.kpx.or.kr/epsisnew/selectEksaAscAsuChart.do?menuId=060502
2015년 기준 주거용이 13.2%정도입니다...
음..7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상으로도 전력은 2020년까지는 충분히 공급가능합니다..단기간에 전력이 부족하지는 않을건데..
전기는 연 사용량 보다는 최대 수요가 발생하는 잠깐동안 공급할수 있는 최대 용량이 얼마인지가 중요합니다...
이 피크수요 감안해도 2020년까지는 충분하다고 합니다..
전기공급에 대한건 2년마다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정권영향을 받긴 하지만 기본틀 자체는 유지됩니다..
https://www.kpx.or.kr/www/contents.do?key=92
올해 말 8차 기본계획을 수립 발표해야 하기 때문에, 요즘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원전은 피크부하 대비용이 아닌 기저부하용이라 원전 1기의 존폐에따라 전력시장 구조자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부터라도 충분히 고민하고 대비해야할 문제일듯 하네요...
당장 활성화가 되지 않더라도 근 5년 내로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부분이죠.
(어떤 정부든) 정부가 하는 일이라는게 그저 공무원들이 펜대 돌리는 수준 밖에 안되기 때문에
그 "예측"이라는 게 전기차 수요에 대해서 파악이나 했는지 솔직히 궁금합니다.
독일은 25년 동안 장기적으로 검토한 사안을 20분 만에 졸속으로 결정했다는 게 솔직히 이해는 되지 않습니다.
지금 전기차 공급은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기차 구입시 지자체 보조금 지원 등..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수요에 대한 증가 부분은 현실보다 긍정적인 부분으로 에너지 수급계획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다만, 국내 모든 전기차들이 충전을 동/하절기 전력수요 피크시간에 충전한다는 가정 등의 특수한 사항은 고려치 않습니다..아마 전기차 때문에 전력이 부족할지 모른다는 부분은 해당 상황 발생시를 고려한 부분일 겁니다..
이런 이야기 어떨까 싶은데 제가 아는분도 공장 냉 난방을 오로지 전기로 해결.. 겨울엔 바닥에 전기패널 넣어서 반팔차림.. 여름에 춥다고 가끔 쉐터를..
그리고 듣기로 포항제철등에서 전기로를 사용한다는 이야기도..
몇년만에 지나면서 너무 쉽게 보이는 태양광 패널들은 아무 효용이 없는건지도 궁금하기도 하고
국가 정책은 뭐든 급하게 처리하먼 안되기는 한데 예전에 들은 이야기로는 지배자가 피지배자를 제일 다루기 편한 방법은 서로 편을 갈라 싸우게 하는거라 하네요
항상 데이터적으로는 ..15% -17% 이런말들이 많은데..
실제..가정용 세들어살면서 ... 사업하고 사무실 운영하는 곳이 상당수가 있습니다..
그냥 가정용 계량기 ... 품빠이 하는 업체들 을 ..가정용에서 제외하면..
실제 10% 훨씬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최근 전자제품...냉장고 세탁기 등등. 특히 에어컨 ..
그리고 ..주택 자재, 단열 등등..2중 3중 유리등등..
전기절전 상품들이 의외로 ..기술발달로...led 등만해도 ..
아는분 공장 하루에 약 10시간 ... 8개의 3파장 형광등 켜놓다가..
led 로 교체한뒤로... 전기세가 약 30-40% 줄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전기가 .. 모자랄거 같지는 않다고 봅니다.
특히 ..산업용은 제외하고..
일반 상업용 ... 간판..옛날 네온싸인...형광등 간판...
특히 요즘 가로등 ...거진 LED 로 교최되었씁니다..
원전을 안짓는다면 화석연료로 버틸수 있습니다. 근데 탄소배출권도 생각해야되고 미세먼지도 생각해야합니다.
게다가 전기자동차는 전기먹는하마구요. 앞으로 살면서 점점 전기를 많이 쓸거라고 봅니다.
잘 생각해서 정책짰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