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402 |
0 |
2014-05
526840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432 |
25 |
2015-12
1793432
1 백메가
|
76495 |
d-sub 출력 밖에 없는 메인보드에서 dvi 출력 시키는 방법은 없나요? (14) |
병맛폰 |
2015-02 |
6760 |
0 |
2015-02
6760
1 병맛폰
|
76494 |
HGST 7200 제품 소음이 신경 쓰일정도인가요? (16) |
버디 |
2017-03 |
6607 |
0 |
2017-03
6607
1 버디
|
76493 |
NAS4FREE 디스크 용량 표시 오류 관련 문의 입니다. (6) |
뭐라카노 |
2016-04 |
6217 |
0 |
2016-04
6217
1 뭐라카노
|
76492 |
Opteron 26X 또는 27X 계열에서 가상화 삽질.. (2) |
Larry |
2011-02 |
6266 |
0 |
2011-02
6266
1 Larry
|
76491 |
아스스 램페이지2 익스트림 제온 CPU 지원 문의드립니다. (8) |
총각 |
2018-06 |
4991 |
0 |
2018-06
4991
1 총각
|
76490 |
새해 신주 보는 책력을 보는방법 문의드립니다. (4) |
서동국 |
2015-02 |
6769 |
0 |
2015-02
6769
1 서동국
|
76489 |
DELL 서버랙에 다른 브랜드 서버가 장착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4) |
스카이 |
2011-03 |
7769 |
0 |
2011-03
7769
1 스카이
|
76488 |
s2600cp 특정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안될수도있나요?... (4) |
얼빵이사 |
2016-04 |
4949 |
0 |
2016-04
4949
1 얼빵이사
|
76487 |
유무선공유기 두제품중에 고민중입니다 (6) |
이영민 |
2011-03 |
9311 |
0 |
2011-03
9311
1 이영민
|
76486 |
윈도우 익스플로러 질문 (24) |
AplPEC |
2017-04 |
4340 |
0 |
2017-04
4340
1 AplPEC
|
76485 |
안녕하세요~ 구형 scsi 카드 드라이버 문제인데요 조언좀 구합니다. (24) |
김희영 |
2016-04 |
5842 |
0 |
2016-04
5842
1 김희영
|
76484 |
Cisco 서버 cpu방열판을 구할수있을까요? (6) |
그파 |
2013-10 |
6477 |
0 |
2013-10
6477
1 그파
|
76483 |
ddr3 2cpu 메모리구성 질문 (6) |
아123아 |
2020-11 |
3124 |
0 |
2020-11
3124
1 아123아
|
76482 |
서버 청소 어떻게들 하세요? (16) |
goodsense |
2015-03 |
8817 |
0 |
2015-03
8817
1 goodsense
|
76481 |
ESXi 전원 관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2) |
이이크 |
2013-10 |
7376 |
0 |
2013-10
7376
1 이이크
|
76480 |
윈도우10 + hyper + dsm5.2를 사용하고 있는데 hyper로 윈도우7설치하는데 오류가 납… (1) |
조준래2 |
2017-04 |
3801 |
0 |
2017-04
3801
1 조준래2
|
76479 |
홀쏘로 콘크리트 블록 뚫을수 있을가요? (11) |
행복하세 |
2022-06 |
2397 |
0 |
2022-06
2397
1 행복하세
|
76478 |
Win XP 설치 재 질문드립니다. (13) |
아름다운노을 |
2011-04 |
8193 |
0 |
2011-04
8193
1 아름다운노을
|
76477 |
dp35dp 메인보드 소프트웨어 프리징 현상 (6) |
가빠로구나 |
2011-04 |
6705 |
0 |
2011-04
6705
1 가빠로구나
|
76476 |
컴퓨터 CPU의 코어별 온도측정 부품은 어느쪽에 있나요? (4) |
알선업체 |
2019-09 |
6295 |
0 |
2019-09
6295
1 알선업체
|
고층이라고 대충해놓은 느낌인데 돈받고 설치했음 제대로 해놔야지~ 쫌 심한듯 한데요
실외기를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내로는 가는 고압 배관이 들어오고 차가워진 냉매가 들어있는 굵은 저압 배관은 실내에서 실외기 쪽으로 나가는 겁니다.
즉 "냉매가 오다가 냉기를 잃어버린다"는건 없습니다. 다만 저압관의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면 실외기의 효율이 떨어지고 이슬맺힘이 생기니까 단열을 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노출되는건 보통 고압관일 텐데... 이건 단열보다는 동관 보호가 주목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나 냉매의 누출이 있나 확인 해보심이 어떨까요?
지금 사진만 보면 제대로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분명해 보이고, 에어컨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단열시공을 하시는게 더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
시원하지 않다고 느끼시는건 두어가지 이유가 있을 텐데요......
에어컨을 설치하면서 진공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에어컨이 설치된 방이 기존보다 커져서 그렇게 느끼실 수도 있으며, 창문으로 들어오는 복사열 때문에 그렇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보수요청 하시고, 진공작업도 다시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단열 안하고 고압관 저압관 대충 테이프로 말아놓으면 냉방 제대로 안됩니다
테이프 뜯어보시고 단열재 있나 보시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공사할 때 지켜보지 못한게 아쉽습니다. 다시 뜯어서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