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299 |
25 |
2015-12
179129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381 |
0 |
2014-05
5266381
1 정은준1
|
76713 |
외장케이스 같은 도킹케이스.. 속도나 관리차원에서 아무래도 불편하겠죠? (6) |
김건우 |
2018-06 |
4401 |
0 |
2018-06
4401
1 김건우
|
76712 |
hp microserver Gen8에 3.5 HDD 추가 질문입니다. (5) |
철이님 |
2015-09 |
4401 |
0 |
2015-09
4401
1 철이님
|
76711 |
혹시 하드에 파일 조각이 많이 발생하는 현상 (4) |
왕용필 |
2013-12 |
4401 |
0 |
2013-12
4401
1 왕용필
|
76710 |
놋북하드 점퍼표시를 캡쳐해서 올렸는데요..어떻게 해야 마스터 스레이브인지 이해가… (4) |
김건우 |
2015-03 |
4401 |
0 |
2015-03
4401
1 김건우
|
76709 |
애들 간이 축구골대나 놀이방 기구 감싸 놓은 안전 쿠션을 찾습니다 (4) |
김준유 |
2016-09 |
4401 |
0 |
2016-09
4401
1 김준유
|
76708 |
메인보드 수리 어디서 해야 할까요? (4) |
keke7 |
2014-12 |
4401 |
0 |
2014-12
4401
1 keke7
|
76707 |
DL360 G6 질문 (10) |
컴박 |
2016-12 |
4401 |
0 |
2016-12
4401
1 컴박
|
76706 |
ddr4 메모리 비교 문의드려요 차이를 모르겠어서요 ? (5) |
순짱 |
2020-09 |
4401 |
0 |
2020-09
4401
1 순짱
|
76705 |
인두기 구입관련 (4) |
NGC |
2017-01 |
4401 |
0 |
2017-01
4401
1 NGC
|
76704 |
PC 한대에서만 유독 다운 속도가 안 나옵니다. (14) |
양영훈 |
2017-11 |
4401 |
0 |
2017-11
4401
1 양영훈
|
76703 |
그래픽 카드 브라켓 관련 질문 (7) |
langrisser |
2016-04 |
4401 |
0 |
2016-04
4401
1 langrisser
|
76702 |
왜 변압기는 디지털이 없는거죠. (6) |
장동건2014 |
2014-03 |
4401 |
0 |
2014-03
4401
1 장동건2014
|
76701 |
HP 무한잉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행복단지 |
2018-01 |
4401 |
0 |
2018-01
4401
1 행복단지
|
76700 |
30인치 중소기업제품 어떤가요? (4) |
머라카는데 |
2016-02 |
4401 |
0 |
2016-02
4401
1 머라카는데
|
76699 |
이게 무슨뜻일까요..?? (4) |
이규민 |
2015-04 |
4401 |
1 |
2015-04
4401
1 이규민
|
76698 |
M/B BIOS. (3) |
TheNorthStar |
2015-11 |
4401 |
0 |
2015-11
4401
1 TheNorthStar
|
76697 |
컨트롤러 추천 좀 부탁드려요^^ (4) |
피아로 |
2015-12 |
4401 |
0 |
2015-12
4401
1 피아로
|
76696 |
[mikrotik 미크로틱 에서 운영체제의 hosts 와 같은 일을 하는 기능을 알고 싶습니다. (5) |
오준호5 |
2016-04 |
4401 |
1 |
2016-04
4401
1 오준호5
|
76695 |
법률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lovemiai |
2017-03 |
4401 |
0 |
2017-03
4401
1 lovemiai
|
76694 |
ECC/REG 메모리 문의 (8) |
한성호 |
2016-01 |
4401 |
0 |
2016-01
4401
1 한성호
|
하나 발견했습니다.
결국 flux사용이 능숙해져야 하는걸까요?
저는 엥간하믄 안씁니다
제가 플럭스를 쓰는 경우는 3파이 미만 신주 용접할때랑 20파이 넘는 모재가 2T이상으로 클경우 산화방지를 위해서 가끔 쓰는 편이구요
그외 용접이나 땜에는 안쓰네요... 사실 위의 경우도 사용하는 빈도보다는 사용안하는 빈도가 더 높습니다.. 쓰는게 귀찮은....
그리고 PCB 떔포인트외에는 납이 묻질 않습니다
플럭스 사용하면 편한건 맞습니다 데스크에 계속 앉아서 작업하는거라면 습관을 들이는게 좋구요
필드에서 작업하는거라면... 개인적으로... 글쎄요...
습관이란게 무서워서... 플럭스 의존도가 높아지면 거 없이는 땜이나 용접을 못하는 경우도 생길수있습니다
떔을할때 무연을 주로 사용하신다면 플럭스가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만 결국 이것도 필수는 아닙니다
참고로 국내 제조사에서 무연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럽등의 국가에 수출시 납을 사용한 제품은 수입금지되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 없습니다
플럭스를 사용하는 이유에대해서... 플럭스가 하는 역할은 모재 산화방지.. 융재에 빠른 열전달 이 대표적인데
경우에 따라 다르긴하지만 큰규모의 용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떔이나 용접의 경우에 사용하는 이유는 단연 빠른 열전달입니다
특히 얇은 정밀 PCB의 경우나 FPCB, 가느다란 케이블의 경우엔 모재가 약해 오래 인두를 댈수 없기 때문에 납을 빨리 녹여 떔하는데에 플럭스가 도움이 되는것입니다
납땜만을 한정으로 두고 예기할때 플럭스가 도움이 많이 된다고 많이들 말하는 이유는 인두기를 그다지 좋지 못한걸 사용해서 그렇습니다
팁을 모재나 융재에 가져다 될때 팁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이때 만약 융재의 융점보다도 온도가 더떨어져버리면 땜을 완료하기도전에 굳어버리지요
특히 융점이 높은 무연납을 사용하는경우엔 더 심화됩니다 그럼 인두기로 지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PCB나 패턴 소자등이 손상을 입을수있는거지요
만약 인두기를 좋은걸 사용하여 순간강하되는 온도가 크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솔직히 필요없습니다
근데... 막인두기에 무연납 써도 하기에 따라서 플럭스 안써고 다 커버 됩니다..
있으면 편한건 맞는데 없어서 안되는건 아니라서...
이런걸 딱히 기술이라 생각지 않구요... 굳이 말로 표현하자면 기능입니다..
땜하는데 본인이 뭔가 모자르다고 생각하시면... 일단 인두기를 좋은걸로 사세요... 그게 플럭스 덕지덕지 바르시는것보다 훨 도움이 되실껍니다
http://www.2cpu.co.kr/hojak/856?&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기타 필요한 것들이 있으면 더 쉽게 작업할수 있습니다.
두번째 스킬.. 연습 많이 하면 감이 옵니다. 이정도 하면 되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