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테스터기 결과 좀 봐주십시요

미수맨   
   조회 6886   추천 0    

누전차단기가 떨어져서 연결된 장비들 전부 메가테스터기로 측정을 했는데요

전부다 첫번째 사진과 같고 한 장비만 두번째 사진입니다

이정도면 이걸 비정상이라고 봐야 할까요 아니면 정상 범주에 있는걸까요?

단상 220볼트 사용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A지니 2017-08
뭘 찍은지에 따라 다르겠지요
서로 절연된 라인(EX 접지랑 라인)을 찍은거라면 누전입니다
GEUN 2017-08
흑색 프로브 위치가 잘못됐네요.... 일단 상관없다고 가정했을때, 사진상으로 봤을때는 두번째 사진의 선로나 장비에 절연상태를 확인해봐야합니다. 한 10M까지는 당장은 쓸수있다 수준인데 1.5는 그냥 누전입니다.
미수맨 2017-08
네 접지랑 라인 찍었습니다.
미수맨 2017-08
그럼 흑색 프로브는 맨 밑에 놓고 쓰는건가요? 검은것은 전원코드 접지에 물리고 빨간것은 전원코드 전압 들어오는곳에 연결해서 측정했습니다
AKA지니 2017-08
네 위에껀 버저용 브로브 위치입니다(버저 테스트할게 아니라면 크게 차이가 있진 않음, 단 저항치는 부정확할수있음)
장비의 AC코드에서 꼬다리랑 접지핀이랑 찍으셨다는거지요?
내부에 라인상에 있는 소자가 어떤것인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적어도 다른장비에서는 절연상태인데 하나만 1.5메가라면 문제가 있는겁니다
그리고 1.5메가는 정상적인 누전 차단기라면 100퍼 트립됩니다
미수맨 2017-08
기기 찍어본 사람도 이게 정상은 아니라는데, 전원 넣어도 정상 작동합니다
지금은 전원차단기도 안 떨어지고요.
제조사에 한번 문의해봐야겠습니다.
     
AKA지니 2017-08
누전차다기의 동작 방식에 기인하는 문제입니다
다른제품이 절연인 상태에서 한제품만 1.5메가면 떨어지는건 시간문제일뿐입니다
그리고 이전 게시글에서도 얼핏 말씀드린 부분인데... 합선이랑 누전은 다른겁니다...
막말로 합선이 아닌 누전상태의 제품을 NFB에 물려 사용하면 하등 문제가 없습니다
누전을 감지하는건 제품을 보호하기위해서 존재하는게 아니라 인명피해를 막고자함입니다
만약 다른 제품은 완벽한 절연 상태인데 한제품만 1.5메가가 나오고 이것이 스펙이내라고 한다면...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면 안되는 제품이라고 말하는것과 같은것입니다
미수맨 2017-08
아 황당합니다. 지금 그 장비를 전원에서 떼어놓고 사용중인데 또 떨어졌습니다
뭔가 다른게 원인이라는건데 돌아버리겠습니다
미수맨 2017-08
원인을 찾은것 같습니다. 새로 설치한 에어컨에서 누전되고 있었습니다
바닥에 있는것만 검사하다가 혹시나 해서 에어컨 검사해보니
누전이 됩니다.
Marl보로 2017-08
그래도 찾기는 찾으셨군요.. 동생 가게에서도 에어컨들이 문제가 되어 차단기가 내려갔었는데 .. 웬지 느낌이? 실외기의 샤시에 원인이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미수맨 2017-08
전에 설치후에 벽에 전원선 고정하면서 타카로 박다가 타카가 전원선을 관통한적 있었습니다
연기가 푸썩 났는데 잘 돌아가더군요.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니까 잘 돌아가면 까망 절연 테이프로 감아서 그냥 쓰라고 하더라구요
그 이후에서 몇달 문제 없이 잘 돌아갔는데 며칠전부터 그게 문제가 되었던 것인가봅니다
케이블 잘라내고 새 플러그 연결해서 설치하니 누전차단기 내려가는일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890/5729
2014-05   5259328   정은준1
2015-12   1784119   백메가
2016-05   5517   NAS고장났다…
2020-12   9462   장동건2014
2022-06   2038   김준유
2015-03   12591   보거스123
2024-02   1632   미담
2020-12   5867   지존
2016-05   6600   김도형
2016-05   4566   종이뎁
2018-08   5154   일론머스크
2011-05   7661   구형활용가
2019-09   3008   전직P연구원
2015-03   8291   김제연
2015-04   4113   김건우
2022-07   4778   닉귀찮다
2022-07   4378   모자란트
2024-03   1400   헥사코어
2022-07   3673   전진
2015-04   4891   김동민
2015-04   8959   e5472
2016-06   6529   헛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