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022 |
25 |
2015-12
179102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090 |
0 |
2014-05
5266090
1 정은준1
|
76830 |
[ 비컴 ] 해운대 파라솔 얼마예요 ? (1) |
화란 |
2018-06 |
4208 |
0 |
2018-06
4208
1 화란
|
76829 |
18650 배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11) |
서울I김동수 |
2019-08 |
2947 |
0 |
2019-08
2947
1 서울I김동수
|
76828 |
전산 장비의 운영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3) |
kimhaneul |
2022-04 |
1959 |
0 |
2022-04
1959
1 kimhaneul
|
76827 |
[ 문의 - 스마트 벽체 전기 콘센트 ]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
전설속의미… |
2020-10 |
3556 |
0 |
2020-10
3556
1 전설속의미…
|
76826 |
웹호스팅 보통 세팅 이 얼마나걸리나요? (2) |
삐돌이슬픔이 |
2023-12 |
1239 |
0 |
2023-12
1239
1 삐돌이슬픔이
|
76825 |
랜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미수맨 |
2011-02 |
10205 |
0 |
2011-02
10205
1 미수맨
|
76824 |
레이드카드 드라이버 설치하다 망했네요@@;; (13) |
장동건2014 |
2015-02 |
6827 |
0 |
2015-02
6827
1 장동건2014
|
76823 |
TN 패널의 이 잔상은 명칭이 뭘까요 ? (1) |
keros |
2019-08 |
2827 |
0 |
2019-08
2827
1 keros
|
76822 |
트랜샌드 super mlc SSD슬만한가요 (2) |
진영준 |
2017-03 |
3522 |
0 |
2017-03
3522
1 진영준
|
76821 |
M72e tiny 무선랜, 블루투스 카드 관련 (12) |
Nikon |
2018-06 |
5407 |
0 |
2018-06
5407
1 Nikon
|
76820 |
SC743시리즈 윗뚜껑과 발? (7) |
박종호 |
2011-02 |
6447 |
0 |
2011-02
6447
1 박종호
|
76819 |
고수님 삼성 SSD 840 EVO 840 PRO 850 EVO 850 PRO무슨 차이가 있나요. (11) |
깐돌이 |
2015-02 |
19933 |
0 |
2015-02
19933
1 깐돌이
|
76818 |
핀맵을 찾는데 못찾겠네요. (4) |
서울l강한모 |
2019-08 |
2614 |
0 |
2019-08
2614
1 서울l강한모
|
76817 |
USB 라우터 사용해보신분 있을까요? (2) |
나라뜨 |
2020-11 |
3870 |
0 |
2020-11
3870
1 나라뜨
|
76816 |
HP 서버에서 E5-2630 v3 * 2CPU 업그래이드 하려고 할 때 (7) |
이니이니 |
2024-01 |
2680 |
0 |
2024-01
2680
1 이니이니
|
76815 |
9300 itx 와 p5k-vm 보드 제온 가능할까요? (2) |
KarisTuck |
2015-02 |
4522 |
0 |
2015-02
4522
1 KarisTuck
|
76814 |
웹호스팅 회사 추천해 주세요 (8) |
GPGPU |
2020-11 |
5145 |
0 |
2020-11
5145
1 GPGPU
|
76813 |
sli 가능한 칩셋 소개 부탁드립니다 (4) |
로그아웃 |
2011-03 |
6137 |
0 |
2011-03
6137
1 로그아웃
|
76812 |
asus P5K pro에 제온 e5450 작업시 컴퓨터 다운 (5) |
v김호준v |
2015-02 |
7230 |
0 |
2015-02
7230
1 v김호준v
|
76811 |
대기업 PC 여러대 구입할때 어디? (1) |
1m전 |
2011-03 |
6189 |
0 |
2011-03
6189
1 1m전
|
HW제어에 관심이 많아 학부때
관련 C 프로그램밍을 배웠었는데
느낌은 C를 가장한 어셈블러
메모리 누수나 보안 문제를 최소화하려면 C++ 최신 규격과 라이브러리를 쓰는 편이 좋습니다.
자기가 자신있게 다룰 수 있는 언어로 제작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하드웨어에 의존적인 경우, 프로그램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넣었는데, 해당 하드웨어에서 동영상 재생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동영상은 재생이 않된다고 봐야 겠죠...(예전 아이폰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mpeg4 디코더만 하드웨어에 넣어두고, 다른 형식의 동영상은 재생을 지원하지 않았지요)
물론, 하드웨어가 지원하지 않더라도, 기능은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가 지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때 4줄의 명령어로 되는것이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에서는 2K~3K정도의 라인으로 구현된다고 생각해 보세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컴파일된 어셈레벨에서 50줄과 1백만줄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기능은되나 느릴확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리고, 컴파일이 정상적으로 되고, 정상적인 실행이 되는지 샘플을 컴파일하여 확인하고, 하드웨어의 한계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책자에 된다는 기능이 실제로 작업시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제조사에 따지다보면 펌웨어(또는 OS) 업그레이드 후, 지원하지 않는다,,, 이런 답변도 흔하게 듣게됩니다.)
컴파일시간은 더럽게 오래걸리고 의존성으로 인한 사이즈는 크지만 성능은 괜찮습니다
차후에 양산단계에서 디테일한 칩셋 등을 선정하기 전에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같은 수준으로 구현했을 때 OpenGL이 D3D보다 성능이 떨어진다던지, 전자회로를 만들때 0.1uF을 쓰지 않으면 무식하다는등
왜? 왜 굳이 그 용량인가 라고 질문하면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을 찾기 힘든 그런 부류입니다.
그리고 STL과 잘 작성된 단순 C를 비교하면 예외나 범위 구분등이 들어가 있는 STL이 느린건 당연하지만 이건 언어의 차이가 아니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확인등이 들어간 것 입니다. MS의 STL 조금만 뜯어보면 바로 확인 가능한 초보적인 내용입니다.
C++11이 구식이 되어가는 지금시점에서는 오히려 C++만으로 작성하라, 또는 C로만 작성하라는 요구사항을 맞출수 있는 엔지니어를 찾기도 힘들겁니다..
다만, STL과 BOOST는 조금 애매한것이.. STL의 성능는 C++/C로 갈리는것이 아니라 컴파일러와 그 런타임을 제공하는 쪽의 능력에 달려있고
BOOST 역시 언어의 차이가 아니라 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쪽의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인스트럭션 수준까지 병목 찾아 분석하고 함수포인터에 어셈등을 자유롭게 쓰면서 타겟 시스템에 맞춰 최적화를 할 수 있는 수준의 고수가 하는 말이 아니라면
더해서, 주 목적이 최적화가 아니라 구현 자체라면, 굳이 귀 기울여 들을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완전히 파악하고 있는 경우라면 C건 C++이건 표준으로 잘 작성한것이 STL등으로 만든것 보다 성능은 좋습니다. 임베디드라면 그 차이는 더 큽니다.
STL등, 소위 라이브러리는 일반적인 경우들에 대해 검토하는 루틴등이 들어가 있지만, 정확히 고려되어 예외 판별을 삭제 가능하다면 그 판별에 걸리는 시간만큼 리소스를 절약할수 있는건 당연합니다.
C/C++ 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군요.. 컴파일러나 런타임은 아직 타겟보드 스펙이 확정이 되지 않은 상태라.. 우선은 시중의 arm7 기반 보드로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나중에 비용문제만 발생하지 않으면 비슷한 사양으로 결정날 듯 한데요.. 아직은 거의 실험적인 단계라서..
다시 한번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