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나 접근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어디에서 이용해야 할까요?

에르티   
   조회 3618   추천 0    

안녕하세요.

데이터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관리하고자 합니다.

집에서 데스크탑으로, 외부에서(회사, 카페 등) WIFI 접속을 통해 랩탑으로 

제가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싶습니다. 

postgresql을 이용하려고 하며, 지금까지 알아본 바로는 NAS로 가능할 것 같긴 한데

확실치 않은 것 같아서 선뜻 구입이 꺼려집니다. 

검색 결과도 많지 않고요. 

혹시 NAS외에 그냥 외장하드만으로도 가능할까요? 아니면 NAS를 구입하는게 가장 적절한 선택일까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일단 단순 test DB 인지 아니면 DB Program을 사용하는 DB 인지 구분이 필요하고요.
외부연결은 인터넷만 있으면 전세계어디서던지 연결 가능합니다.
나스를 많이 사용 합니다.
특히 Xpenology 가 인기가 많고요.
저사양 컴퓨터에 설치 해서 하루 24시간 운영도 가능합니다.
현재 775 개조 제온에 xpenology 설치 운영 중이고요.
24시간 무리 없이 사용 중입니다.
HDD는 6개 연결해서 사용중입니다.
구형 보드다 보니 확장 레이드 카드 없으면 HDD 1개당 2T 가 MAX 입니다.
     
에르티 2017-08
아직 초보라서 개념이 없나봅니다...
Xpenology도 검색해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김제연 2017-08
nas 외에도 .. 그냥 단순 db라면 파이류에 깔아서 테스트 하셔도 됩니다. 쉽게 생각하세요 .
     
에르티 2017-08
DB를 저장해놓고 필요할 때 필요한 자료들을 꺼내쓸 계획이거든요. 그럼 역시 NAS인건가요?
김동민 2017-08
외부접속을 혼자만 하실건지 아니면 여럿이서 동시에 접속해서 하실건지가 필요하네요
혼자만 접속하실거면 굳이 비용 들이지 마시고 랩탑에 가상머신 설치를 권장 합니다.물론 용량도 중요하겠지만
개발용이고 테스트용도인데 10테라 20테라 필요하지는 않을거라 생각이드네요
굳이 외부에서 접속을 해야 한다면 나스보다는 일반 저렴한 노트북을 중고로 구매해서 사용하시는것도 권장 드립니다.
저도 테스트 용으로 노트북을 사용했는데 배터리가 장착이 되어 있어서 정전되도 무리없고 전력소모도 작아서 효과가 좋았습니다.
가정이시면 더욱 그렇겠지요
모든 개발이 끝나고 나서 장비를 구매해도 늦진 않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에르티 2017-08
그걸 고려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양철괭이 2017-08
질문 내용을 이해를 못한건지 모르겠지만 디비접속을 위해 나스등 구축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디비서버 구축하고 외부에서 접속가능하게  방화벽등 포트만 오픈 해주면 될듯 싶은데요
디비 데이터 확인은 디비매니져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연결하면 될거고 디비를 통째로 복사해 온다면 그냥 간단한 ftp 서버를 세팅해 사용하시면 될듯..
     
에르티 2017-08
충분히 검색해봤다고 생각했는데, 아직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네요.
답변 참고해서 좀 더 검색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윤술 2017-08
DB 포트를 외부에서 오픈하는건 리스크가 큽니다. DB LINK 를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면 대부분 오픈 안하는게 정상이죠. 그래서 내부에만 오픈해야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MySQL에서는 phpmyadmin 같은 웹UI로 관리도구를 사용합니다.
http://phppgadmin.sourceforge.net/doku.php
MySQL처럼 웹도메인만 해당 아파치에 넘겨주면 DB연결은 내부서버나 내부 통신만 하게됩니다.
에르티 2017-08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888/5729
2015-12   1788911   백메가
2014-05   5263944   정은준1
2017-07   4392   늘파란
2014-05   4392   hurricane
2014-12   4392   앵앵앵
2017-07   4392   witbox
2015-05   4392   김건우
2016-02   4392   재호
2016-09   4392   송진현
2018-11   4392   성투불패
2017-04   4392   슬러그
2016-09   4392   암브로시아
2017-12   4393   처버
2015-02   4393   김건우
2021-01   4393   겨울나무
2015-05   4393   혼돈속의깃발
2015-02   4393   만년초보
2015-09   4393   박문형
2017-02   4393   yummy
2014-11   4393   naan
2017-10   4393   올빼미잠와
2016-10   4393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