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에 관한 초보적인 질문 하나 드립니다..

찌지로   
   조회 5504   추천 0    

안녕하세요. 저는 240gb ssd와 1tb의 hdd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Ssd에는 운영체제를 설치한 상태이고 게임을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ssd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Hdd는 주로 동영상이나 백업파일 등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번에 ssd에 대용량 스팀 게임을 다운받으려고 했는데 용량이 초과돼서 어쩔 수 없이 hdd에 받게 됐습니다. 이처럼 hdd에 게임을 설치하고 플레이했을 때와 ssd에 설치하고 플레이 하였을 때 게임성능에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어떤 점이 있을까요?

답변부탁드립니다.(_ _)

최승호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수현2 2017-09
오픈월드/온라인게임이라면 로딩속도 때문에 차이가 좀 있을수 있으나 로딩속도를 제외하면 차이 없습니다.
     
찌지로 2017-09
답변 감사드립니다. 로딩속도 차이가 있군요. 게임을 즐겨하는 입장에서는 민감한 부분이 아닐까싶네요..
실례지만 한 가지 더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1. Ssd와 hdd를 함께 쓰는 시스템에서 게임을 hdd 설치하여 플레이(운영체제 ssd에 설치)
2. Hdd만 쓰는 시스템에서 게임을 설치하여 플레이
1과 2의 두 경우 중 로딩시간이 차이가 날까요?

어떤 글을 봤는데 ssd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hdd에 설치된 게임에 영향을 줘서 1의 경우가 2의 경우보다 빠르다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김수현2 2017-09
1번이 약간이나마 더 빠릅니다.
굳이 ssd가 아니더라도 os와 분리된 hdd에 게임을 깔면 로딩이 빨라집니다.
hdd의 특성상 여러곳의 데이터를 동시에 읽을수는 없기에 병목현상이 생겨 그렇습니다.
               
찌지로 2017-09
그럼 1번의 경우가 2번의 경우보다 빠른 이유가 os가 분리되지 않아서 일뿐인가요?
그렇다면 동일 사양의 hdd를 두 개 쓰는 시스템에서 한 개의 hdd를 os, 다른 한 개의 hdd에 게임을 설치했을 경우 1의 경우와 로딩시간이 같아질 수 있을까요?
                    
김수현2 2017-09
네, os와 분리 시키고 게임 이외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도록 하면 됩니다.
                         
찌지로 2017-09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김윤술 2017-09
거이 차이 없습니다.
총질하는 온라인 게임은 빨리 로딩되서 일찍 준비태세를 갖추지만 하드는 속도에 따라 늦게 진입해서 조금 딜레이가 있긴 합니다. 실제 게임해서는 SSD라고 더 잘돌아간다라는건 없습니다. 오로지 CPU와 VGA 빨이 큰것들이 게임들이라 SSD를 돈 더들이기보단 VGA에 돈 더들이는게 게임에 큰 영향을 주죠.
     
찌지로 2017-09
로딩시간 정도만 차이가 있나보네요. 그래도 게임은 역시 vga 군요. 감사합니다~~
게임중 화면이동시 로딩이빠릅니다.
화면 랙이 안생깁니다..
ssd는 조금 생김..
m.2 는 안생김..
     
찌지로 2017-09
M2는 전혀 모르는 영역인데 한 번 알아보고 싶네요..답변 감사드려요~~
김현린 2017-09
일부 겜에서 필드 이동하는 중간에 맵 로딩 하느라 걸리는 렉이 좀 줄수는 있지만
로딩 제외하면 거의 차이없다 보시면 됩니다.
     
찌지로 2017-09
오호 맵 로딩할때도 랙이 발생할 수 있군요. 새로 알아갑니다.
          
김현린 2017-09
겜에따라 다릅니다.
옛날에 아이온할때 소위 말하는 닭렉..
근처에 적이 은신한체로 오면 그 이미지를 로딩하느라 순간렉이 걸리는데
당시 PCI-E 타입의 SSD를 썻던 저는 그게 없었습니다.
오히려 안좋아요 ㅋㅋㅋㅋ
그리고 필드 이동할때 지역넘어가는것도 아닌데 로딩하는 구간이 있었습니다.
겜방에서는 닭렉비슷하게 순간렉이 있는데
그구간에도 렉이 없었어요.
인게임에서는 이런 차이말고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메가날백 2017-09
맵로딩, 오브젝트 로딩, 모드 로딩 등에서 차이가 꽤 생깁니다.
물론 게음 개발자가 설계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도 꽤 달라집니다만, 2~4기가 언저리가 일반적인 램 용량을 고려 했을때 오브젝트(+텍스쳐)를 죄다 램에 올려놓는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1. 맵 단위로 통째 로딩한다. 맵을 바뀔때 마다 새로 로딩한다.
-RPG 등, 플레이 동안 해당 맵을 벗어날 수 없는 경우. 데드스페이스 같은 경우

2. 시야범위 단위로 로딩하고, 시야 범위가 움직이면 새로 로딩한다.
-마인크래프트 같은 오픈월드계 에서 흔함

라는식으로 게임을 설계 하는데, 저렇게 새로 오브젝트를 로딩 해 올때 SSD랑 HDD 랑 속도 차이가 꽤 납니다.
신형 하드와 구세대 SSD를 비교해도 로딩속도가 2배 가량 차이가 나고, m.2 같으면 5배 이상도 차이가 납니다.

서든이나 카스,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은 경우는 ssd의 효과가 사실상 거의 없습니다.
일단 겜이 시작된 후에는 외부 로딩을 안하는데다가, 겜이 시작되기 위해서 필요한 로딩도 같은 방에 있는 사람 들 중 가장 느린쪽에 맞춰지기 때문에 정말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죠....
(굳이 따지자면, 런쳐 뛰우는 속도는 빨라 집니다.)

그러니 주로 무슨겜을 하시고 무슨겜을 어디에 까셨는지를 알려 주셔야 판정이 가능합니다.

p.s
CM3D2 .. 크흠크흠 한 경우 케릭터를 불러올때마다 수십기가 분량의 오브젝트를 로딩하기도 하기 때문에 m.2 로 바꾸면 체감이 꽤 크다고 합니다...
봉봉이 2017-09
램에 올려다 쓴다고 해도 한구역에만 계속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SSD를 쓰면 프레임이 차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아블로3 가 그 대표적인 예죠
이시열 2017-09
그대신 hdd에 토랜트를 걸어두셨다면 더 느려질 가능성이 있죠....
최완우 2017-09
게임마다 다릅니다. 데이터 로딩이 체감 성능의 주를 차지하는 게임이 있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게임도 있지요.


QnA
제목Page 1869/5728
2015-12   1782353   백메가
2014-05   5257565   정은준1
2023-06   1588   Nomaker
2016-12   7710   tidd
2023-06   14   서태하
2010-01   9037   왕용필
2016-01   4317   프리다이버
2019-04   4249   하루카
2010-02   6383   이사장
2014-09   4823   Nikon
2019-04   3390   시골집노안
2020-06   5059   서린이
2010-02   12144   니벼리
2018-02   4090   쭈쭈봉
2013-04   6234   소주한병
2018-02   6436   하승협
2023-07   2228   Frinc
2023-07   2228   방뭉밍봉
2013-04   6726   무아
2016-12   5840   신은왜
2016-01   3784   초코우유
2010-03   9240   문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