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353 |
25 |
2015-12
178235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565 |
0 |
2014-05
5257565
1 정은준1
|
77197 |
이 전구(램프) 스펙을 알 수 있을까요? |
Nomaker |
2023-06 |
1588 |
0 |
2023-06
1588
1 Nomaker
|
77196 |
nvme ssd 아직 시기상조인가요? (22) |
tidd |
2016-12 |
7710 |
0 |
2016-12
7710
1 tidd
|
77195 |
의외로 잘 주는 유부녀 많습니다 |
서태하 |
2023-06 |
14 |
0 |
2023-06
14
1 서태하
|
77194 |
fujitsu 스카시 하드 펌웨어 종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1) |
왕용필 |
2010-01 |
9037 |
0 |
2010-01
9037
1 왕용필
|
77193 |
Dell Vostro 410 모델 BIOS 개조 문의 드립니다... (15) |
프리다이버 |
2016-01 |
4317 |
0 |
2016-01
4317
1 프리다이버
|
77192 |
램 수리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8) |
하루카 |
2019-04 |
4249 |
0 |
2019-04
4249
1 하루카
|
77191 |
네트워크 질문드립니다. (3) |
이사장 |
2010-02 |
6383 |
0 |
2010-02
6383
1 이사장
|
77190 |
케이스 별 I/O shield 관련 질문 (2) |
Nikon |
2014-09 |
4823 |
0 |
2014-09
4823
1 Nikon
|
77189 |
RTX 2060 fe 구매할까 하는데... 국내는 안파네요 @.@ (4) |
시골집노안 |
2019-04 |
3390 |
0 |
2019-04
3390
1 시골집노안
|
77188 |
MYSQL 배치파일 작성 관련 (27) |
서린이 |
2020-06 |
5059 |
0 |
2020-06
5059
1 서린이
|
77187 |
2 x PCI Express x4 (x8 Connectors)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13) |
니벼리 |
2010-02 |
12144 |
0 |
2010-02
12144
1 니벼리
|
77186 |
HP microserver gen8 내장raid+P222+내장SATA가 동시에 사용 가능한가요? (1) |
쭈쭈봉 |
2018-02 |
4090 |
0 |
2018-02
4090
1 쭈쭈봉
|
77185 |
모니터 뭐가 문제 일까요? (3) |
소주한병 |
2013-04 |
6234 |
0 |
2013-04
6234
1 소주한병
|
77184 |
windows update clean tool 사용하시는지요? (2) |
하승협 |
2018-02 |
6436 |
0 |
2018-02
6436
1 하승협
|
77183 |
홈페이지 제작 방법 문의 드립니다. (7) |
Frinc |
2023-07 |
2228 |
0 |
2023-07
2228
1 Frinc
|
77182 |
서버 마이그레이션 (Raid) 질문 드립니다.. (7) |
방뭉밍봉 |
2023-07 |
2228 |
0 |
2023-07
2228
1 방뭉밍봉
|
77181 |
노트북을 사용한 모니터링 장비의 내구성 (4) |
무아 |
2013-04 |
6726 |
0 |
2013-04
6726
1 무아
|
77180 |
노트북 키보드가 한 자판에 숫자하고 같이 쳐 지면.ㅠㅠㅠ (1) |
신은왜 |
2016-12 |
5840 |
0 |
2016-12
5840
1 신은왜
|
77179 |
레이저 프린터기 어떤게 좋을까요? (6) |
초코우유 |
2016-01 |
3784 |
0 |
2016-01
3784
1 초코우유
|
77178 |
스마트폰용 홈페이지 만들려고 하는데... 도서 추천 (3) |
문양호 |
2010-03 |
9240 |
0 |
2010-03
9240
1 문양호
|
실례지만 한 가지 더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1. Ssd와 hdd를 함께 쓰는 시스템에서 게임을 hdd 설치하여 플레이(운영체제 ssd에 설치)
2. Hdd만 쓰는 시스템에서 게임을 설치하여 플레이
1과 2의 두 경우 중 로딩시간이 차이가 날까요?
어떤 글을 봤는데 ssd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hdd에 설치된 게임에 영향을 줘서 1의 경우가 2의 경우보다 빠르다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굳이 ssd가 아니더라도 os와 분리된 hdd에 게임을 깔면 로딩이 빨라집니다.
hdd의 특성상 여러곳의 데이터를 동시에 읽을수는 없기에 병목현상이 생겨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동일 사양의 hdd를 두 개 쓰는 시스템에서 한 개의 hdd를 os, 다른 한 개의 hdd에 게임을 설치했을 경우 1의 경우와 로딩시간이 같아질 수 있을까요?
총질하는 온라인 게임은 빨리 로딩되서 일찍 준비태세를 갖추지만 하드는 속도에 따라 늦게 진입해서 조금 딜레이가 있긴 합니다. 실제 게임해서는 SSD라고 더 잘돌아간다라는건 없습니다. 오로지 CPU와 VGA 빨이 큰것들이 게임들이라 SSD를 돈 더들이기보단 VGA에 돈 더들이는게 게임에 큰 영향을 주죠.
화면 랙이 안생깁니다..
ssd는 조금 생김..
m.2 는 안생김..
로딩 제외하면 거의 차이없다 보시면 됩니다.
옛날에 아이온할때 소위 말하는 닭렉..
근처에 적이 은신한체로 오면 그 이미지를 로딩하느라 순간렉이 걸리는데
당시 PCI-E 타입의 SSD를 썻던 저는 그게 없었습니다.
오히려 안좋아요 ㅋㅋㅋㅋ
그리고 필드 이동할때 지역넘어가는것도 아닌데 로딩하는 구간이 있었습니다.
겜방에서는 닭렉비슷하게 순간렉이 있는데
그구간에도 렉이 없었어요.
인게임에서는 이런 차이말고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물론 게음 개발자가 설계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도 꽤 달라집니다만, 2~4기가 언저리가 일반적인 램 용량을 고려 했을때 오브젝트(+텍스쳐)를 죄다 램에 올려놓는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1. 맵 단위로 통째 로딩한다. 맵을 바뀔때 마다 새로 로딩한다.
-RPG 등, 플레이 동안 해당 맵을 벗어날 수 없는 경우. 데드스페이스 같은 경우
2. 시야범위 단위로 로딩하고, 시야 범위가 움직이면 새로 로딩한다.
-마인크래프트 같은 오픈월드계 에서 흔함
라는식으로 게임을 설계 하는데, 저렇게 새로 오브젝트를 로딩 해 올때 SSD랑 HDD 랑 속도 차이가 꽤 납니다.
신형 하드와 구세대 SSD를 비교해도 로딩속도가 2배 가량 차이가 나고, m.2 같으면 5배 이상도 차이가 납니다.
서든이나 카스,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은 경우는 ssd의 효과가 사실상 거의 없습니다.
일단 겜이 시작된 후에는 외부 로딩을 안하는데다가, 겜이 시작되기 위해서 필요한 로딩도 같은 방에 있는 사람 들 중 가장 느린쪽에 맞춰지기 때문에 정말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죠....
(굳이 따지자면, 런쳐 뛰우는 속도는 빨라 집니다.)
그러니 주로 무슨겜을 하시고 무슨겜을 어디에 까셨는지를 알려 주셔야 판정이 가능합니다.
p.s
CM3D2 .. 크흠크흠 한 경우 케릭터를 불러올때마다 수십기가 분량의 오브젝트를 로딩하기도 하기 때문에 m.2 로 바꾸면 체감이 꽤 크다고 합니다...
디아블로3 가 그 대표적인 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