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688 |
0 |
2014-05
526868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695 |
25 |
2015-12
1793695
1 백메가
|
77518 |
hp server 세대가 같으면 대체로 호환성 유사한가요?? (2) |
pantarei |
2018-04 |
3903 |
0 |
2018-04
3903
1 pantarei
|
77517 |
컴퓨터 화면 안들어옴 질문입니다... (20) |
유남생 |
2023-10 |
3030 |
0 |
2023-10
3030
1 유남생
|
77516 |
용산에 PC 팬 꽂는 단자만 파는 곳이 있을까요? (11) |
SamP |
2018-05 |
4356 |
0 |
2018-05
4356
1 SamP
|
77515 |
slim fdd 커넥터 -> 일반형 fdd커넥터로 변환하는(사진첨부) 젠더 구할수있을까요? (2) |
김건우 |
2013-08 |
9916 |
0 |
2013-08
9916
1 김건우
|
77514 |
LED 스탠드의 밝기가 현저하게 떨어졌네요. (6) |
션한맥주 |
2016-03 |
5263 |
0 |
2016-03
5263
1 션한맥주
|
77513 |
3mm 나사 (볼트) 컴퓨터 기판 등등 에 사용 되는거 필요 (1) |
박문형 |
2017-02 |
4496 |
0 |
2017-02
4496
1 박문형
|
77512 |
전동킥보드 완충전압이 점점 낮아집니다 (4) |
반성만 |
2020-09 |
9275 |
0 |
2020-09
9275
1 반성만
|
77511 |
자료 요청좀 부탁드립니다. HP G3 이미지. |
AKMU |
2017-02 |
4215 |
0 |
2017-02
4215
1 AKMU
|
77510 |
내 PC 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4) |
공백기 |
2022-03 |
6895 |
0 |
2022-03
6895
1 공백기
|
77509 |
원인을 찾았습니다. (1) |
차평석 |
2010-10 |
7723 |
0 |
2010-10
7723
1 차평석
|
77508 |
PC 내부케이블 개조시 쇼트나면 부품이 다 죽어버리나요?? (15) |
nbog |
2020-09 |
4732 |
0 |
2020-09
4732
1 nbog
|
77507 |
hyper-v 가상화 스위치 질문, ipmi질문 (1) |
슬루프 |
2016-03 |
4819 |
0 |
2016-03
4819
1 슬루프
|
77506 |
도움 요청 드립니다. (12) |
전근현 |
2013-08 |
8955 |
0 |
2013-08
8955
1 전근현
|
77505 |
델 PERC H710P와 삼성 SSD 840 pro 로 raid 구성 시 성능 (1) |
박찬현 |
2013-09 |
5876 |
0 |
2013-09
5876
1 박찬현
|
77504 |
무선 리시버 잊어버렸어요 도와주세요ㅠ (5) |
쁘삐 |
2016-03 |
10387 |
0 |
2016-03
10387
1 쁘삐
|
77503 |
해결하지 못한 서버구축으로 질문하나 더 드립니다 (8) |
Seean |
2010-11 |
6779 |
0 |
2010-11
6779
1 Seean
|
77502 |
[질문] 램슬롯 교체하는제 비용이 많이 드나요 ?? (3) |
싱어송라이터 |
2010-12 |
13506 |
0 |
2010-12
13506
1 싱어송라이터
|
77501 |
대청소 업체를 추천받고싶습니다. (3) |
김승권 |
2019-07 |
2713 |
0 |
2019-07
2713
1 김승권
|
77500 |
s2881 그래픽과 스카시 레이드.. (2) |
2CPU최주희 |
2010-12 |
7408 |
0 |
2010-12
7408
1 2CPU최주희
|
77499 |
제온 E5450 오버클럭이 잘 되지 않습니다. (7) |
토찌 |
2015-01 |
18340 |
0 |
2015-01
18340
1 토찌
|
AA사이즈 Ni-cd 전지는 아직 많이 팝니다..
원칙적으로는 Ni-MH와 Ni-cd 는 충전 방식이 다르기에 지금 사용하는 충전 아답터로는 충전하다가 사고(폭팔) 날수도 있습니다..
Ni-cd 전지는 특성상 완전 방전이 되면 사용할 수 없으며 꾸준히 충전해야 합니다..
대신 받데리 안정도는 재일 높다고도 할수 있습니다.
Ni-cd 전지는 보통 큰 전류를 사용하는 장비에 많이 사용됩니다.
Ni-cd 받데리는 산요 제품을 최고로 쳐 줍니다..
메모리효과 때문에라도 강제방전 완방시켜 썼던걸로 기억하네요
에네루프 끼워보시죠
니카드 대신 니켈수소를 이용하는건 흔한일입니다
그와 같은 계열로 후지쯔 제품이 있는데 가성비가 좋습니다..
http://www.comsmart.co.kr/cmart/shop/item.php?it_id=15569&num=2
가격이 50 넘어가네요.. @.@
http://www.lab79.co.kr/product/product_view.asp?product_id=517&product_category=192
모든 2차 전지는 "완전 방전"시키면 충전이 안 됩니다. 즉, 완방이라고 해도 아주 약간은 방전되지 않고 남아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을 오해하시면 안 됩니다.
제가 대학교 때 전자기학 도강하면서 가장 충격 먹었던 사실입니다. 전류계 찍어서 반응이 안 나올 정도면 충분히 방전된 것이므로, 이게 실제로는 99% 방전이지만, 100% 방전이라 생각하고 충전시키라고 강사 분이 말씀하더군요.
진짜로 배터리를 방전시켜 버리면, 모든 전하의 구성이 흩어져 버려서 다시는 충전이 안 된다고 그러더군요.
최대한 부하를 걸어서 더 작동하지 않게 만들었다가
재충전을 하기 위한 개념으로 이야기 하는거지,
완방후 장기 방치로 셀이 파괴되게끔 하는걸 의미하진 않죠.
메모리효과가 있었고 자연방전율이 컷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한번씩 완방완충을
해주는거고, 그걸 프로그래밍으로 해주는 충전기들도 있죠.
요새는 웬만하면 자연방전율이 극히 적고 메모리효과가 거의 없는 에네루프를 사용하니 ...
방전율은 니카드가 좀 더 높을지 모르겠는데 니켈수소도 방전율이 작은 편은 아닙니다.
그리고 저 기기가 고전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진 않는데, 작업전에 확인은 해보는게 좋겠죠.
완방 하면 셀이 파괴되어 즉사하는건 리튬계열배터리들이구요.
그나마 리튬인산철이나 고방전리튬배터리는 어느정도의 저전압에도 잘
버티곤 합니다.
충전이 안 되는 경우가 없다면서, 그걸 지식이라고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걸 지적했더니, 저를 미친 사람 취급하더군요. 며칠 뒤 댓글도 삭제되고... ㅡㅡ;;
말씀대로라면 니켈계열 2차전지를 넣어 사용하는 모든 휴대용 플래시는 배터리를 파괴하겠군요. 그 정도는 아닌걸로 알고있습니다.
데이터를 찾아보니 0v가 아닌 0.7-0.8v까지 완방하라고 하는것 같더군요.
더 작동하지 않는 순간까지 방전후 적지않은 시간 방치하지 않으면 0v가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언제 한가할때 안쓰는 수십개의 에네루프 중 두어개로 테스트한번 해볼께요.
(사진을 직접 넣을 수 없으니 불편하군요. 위 링크에서 LED특성 표를 보시기 바랍니다.)
led는 보통 폭주를 하기 때문에 정전류로 드라이버를 구성하는데요.
방열을 해주면서 적당한 저항과 함께 직결을 할 수 있겠죠.
배터리가 어느정도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 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led가 꺼진 후 짧은시간에 어떻게 전압이 0v가 되겠습니까?
여기까지 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