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d밧데리방전...

   조회 5899   추천 0    

멀티메터의 충전지가 완전히 방전되었는데요.

AA  Ni-cd 전지 6개가 연결되있는데 충전기를 여러시간꼿아놔도 충전아답터를 전원콘세트에서 빼면 겨지질 않네요..

니카드충전지말고 Ni-MH이런 종류로 사용해도 호환성에 문제없을까요?

아답터는output 12v 500mA 이고 내장전지는 7.2v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10
하나의 덩어리로 된 팩이 아니라면

AA사이즈 Ni-cd 전지는 아직 많이 팝니다..

원칙적으로는 Ni-MH와 Ni-cd 는 충전 방식이 다르기에 지금 사용하는 충전 아답터로는 충전하다가 사고(폭팔) 날수도 있습니다..

Ni-cd 전지는 특성상 완전 방전이 되면 사용할 수 없으며 꾸준히 충전해야 합니다..

대신 받데리 안정도는 재일 높다고도 할수 있습니다.

Ni-cd 전지는 보통 큰 전류를 사용하는 장비에 많이 사용됩니다.

Ni-cd 받데리는 산요 제품을 최고로 쳐 줍니다..
     
monet 2017-10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2414337&cid=51399&categoryId=51399

메모리효과 때문에라도 강제방전 완방시켜 썼던걸로 기억하네요
monet 2017-10
문제 없을것 같은데요
에네루프 끼워보시죠
니카드 대신 니켈수소를 이용하는건 흔한일입니다
박문형 2017-10
에네루프면 괜찮다고 봅니다..(안정성이 많이 검증되어 있기에)

그와 같은 계열로 후지쯔 제품이 있는데 가성비가 좋습니다..

http://www.comsmart.co.kr/cmart/shop/item.php?it_id=15569&num=2
PCMaster 2017-10
에네루프나 니켈수소는 충전기의 전류때문에 현실적 사용은 힘들듯합니다
무아 2017-10
그나저나 테스터기가 귀티가 흐르네요. 파형도 볼 수 있고.
가격이 50 넘어가네요.. @.@
http://www.lab79.co.kr/product/product_view.asp?product_id=517&product_category=192
이천풍 2017-10
우리가 완방이라고 하는 것도 진정한 의미의 완방은 아닙니다.

모든 2차 전지는 "완전 방전"시키면 충전이 안 됩니다. 즉, 완방이라고 해도 아주 약간은 방전되지 않고 남아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을 오해하시면 안 됩니다.
제가 대학교 때 전자기학 도강하면서 가장 충격 먹었던 사실입니다. 전류계 찍어서 반응이 안 나올 정도면 충분히 방전된 것이므로, 이게 실제로는 99% 방전이지만, 100% 방전이라 생각하고 충전시키라고 강사 분이 말씀하더군요.
진짜로 배터리를 방전시켜 버리면, 모든 전하의 구성이 흩어져 버려서 다시는 충전이 안 된다고 그러더군요.
monet 2017-10
일반적으로 니켈카드뮴과 니켈수소에서의 완전방전이라고 하는게
최대한 부하를 걸어서 더 작동하지 않게 만들었다가
재충전을 하기 위한 개념으로 이야기 하는거지,
완방후 장기 방치로 셀이 파괴되게끔 하는걸 의미하진 않죠.

메모리효과가 있었고 자연방전율이 컷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한번씩 완방완충을
해주는거고, 그걸 프로그래밍으로 해주는 충전기들도 있죠.

요새는 웬만하면 자연방전율이 극히 적고 메모리효과가 거의 없는 에네루프를 사용하니 ...
방전율은 니카드가 좀 더 높을지 모르겠는데 니켈수소도 방전율이 작은 편은 아닙니다.
그리고 저 기기가 고전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진 않는데, 작업전에 확인은 해보는게 좋겠죠.

완방 하면 셀이 파괴되어 즉사하는건 리튬계열배터리들이구요.
그나마 리튬인산철이나 고방전리튬배터리는 어느정도의 저전압에도 잘
버티곤 합니다.
     
이천풍 2017-10
문제는 그걸 완방 한다면서... LED 연결해서 방전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충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충전이 안 되는 경우가 없다면서, 그걸 지식이라고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걸 지적했더니, 저를 미친 사람 취급하더군요. 며칠 뒤 댓글도 삭제되고... ㅡㅡ;;
          
monet 2017-10
예전에 떡배터리는 필라멘트 알전구로 완방시키기도 했었어요.
말씀대로라면 니켈계열 2차전지를 넣어 사용하는 모든 휴대용 플래시는 배터리를 파괴하겠군요. 그 정도는 아닌걸로 알고있습니다.

데이터를 찾아보니 0v가 아닌 0.7-0.8v까지 완방하라고 하는것 같더군요.
더 작동하지 않는 순간까지 방전후 적지않은 시간 방치하지 않으면 0v가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언제 한가할때 안쓰는 수십개의 에네루프 중 두어개로 테스트한번 해볼께요.
               
monet 2017-10
http://blog.naver.com/jamduino/220822597063
(사진을 직접 넣을 수 없으니 불편하군요. 위 링크에서 LED특성 표를 보시기 바랍니다.)

led는 보통 폭주를 하기 때문에 정전류로 드라이버를 구성하는데요.
방열을 해주면서 적당한 저항과 함께 직결을 할 수 있겠죠.
배터리가 어느정도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 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led가 꺼진 후 짧은시간에 어떻게 전압이 0v가 되겠습니까?

여기까지 할께요.
                    
이천풍 2017-10
예,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QnA
제목Page 1856/5731
2014-05   5268688   정은준1
2015-12   1793695   백메가
2018-04   3903   pantarei
2023-10   3030   유남생
2018-05   4356   SamP
2013-08   9916   김건우
2016-03   5263   션한맥주
2017-02   4496   박문형
2020-09   9275   반성만
2017-02   4215   AKMU
2022-03   6895   공백기
2010-10   7723   차평석
2020-09   4732   nbog
2016-03   4819   슬루프
2013-08   8955   전근현
2013-09   5876   박찬현
2016-03   10387   쁘삐
2010-11   6779   Seean
2010-12   13506   싱어송라이터
2019-07   2713   김승권
2010-12   7408   2CPU최주희
2015-01   18340   토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