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인텔 내장레이드 볼륨명 변경 문의 드립니다.

Revione   
   조회 3568   추천 0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인텔 E5-2609v3 기반의 C600 칩셋 인텔 내장 레이드로 1TB * 2EA 를 미러링 구성하였습니다.

CentOS 6.9 설치후 df -h 시 장치명이 예전의 /dev/mapper-ddfxxxxxxxxxx 는 아니지만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root@localhos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d126p3    852G  1.1G  851G   1% /
devtmpfs         16G     0   16G   0% /dev
tmpfs            16G     0   16G   0% /dev/shm
tmpfs            16G  8.8M   16G   1% /run
tmpfs            16G     0   16G   0% /sys/fs/cgroup
/dev/md126p1    494M  110M  385M  23% /boot
tmpfs           3.2G     0  3.2G   0% /run/user/0
 

그래서 예전 6.7에선 Intel SATA RAID Controller 를 예전엔 dd modprobe.blacklist=ahci 로 드라이버 설치해주면 

/dev/sda 처럼 정상적으로 표시되었던 기억이 나는데요..


이번 너셕은 조금 다른 거 같습니다

6.9 드라이버는( 사실 CentOS 용 드라이버는 없고 다 RHEL 드라이버 ) 없어서... 

7.3으로 재설치한 후 RHEL 7.3용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어도 장치명이 변하지 않습니다.

RST 드라이버를 rpm 형식으로 설치해 보아도 변하지 않네요.


fdisk -l 로 보면 물리sda+물리sdb 1TB 각각 보이며 논리볼륨이 /dev/sd126 으로 따로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디스크 뽑아 체크 시, 레이드 1 기능은 정상 동작하고 있습니다. 


즉... 궁금한 부분은 논리볼륨을 /dev/sda 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가 입니다.

혹시 동일한 증상이나 해결 방안이 있으신 분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11
원칙적으로 인텔이 인텔 온보드 리눅스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은 잘 아실 듯하고

어쨌던 리눅스 설치하였을때 레이드로 묶어도 보이는 볼륨이 하드 1개 1개랑 같다면 레이드 드라이버가 없던지 재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저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면 데이터만 망실됩니다..

맞는 드라이버를 찾던지 개발하던지

다른 버젼에서 리눅스와 거기에 맞는 드라이버가 있는지

찾아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보통은 리눅스용 레이드 드라이버가 있는 LSI 제품의 카드를 꼽아서 셋팅합니다..
     
Revione 2017-11
문형님 친절한 조언 정말 감사 드립니다.
안 그래도, 발주시에 캐쉬 없어도 좋으니 최소한의 레이드 모듈이라도 넣기를 계속 권장하고 있는데.. 일이 생각대로 잘 되질 않네요 하하..
김윤술 2017-11
내장레이드는 윈도우계열만 지원할겁니다. 비공식적으로 설치한다고 해도 깨질확률이 높아요.
리눅스 소프트레이드를 쓰는게 훨씬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내장레이드 윈도우에서 지원한다고 한들 그냥 윈도우 소프트레이드1 쓰는게 정신건강상 편합니다. 내장레이드들은 소프트레이드 방식이라서 그냥 OS 레이드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QnA
제목Page 1256/5708
2014-05   5140480   정은준1
2015-12   1675093   백메가
2017-12   3571   김황중
2019-09   3571   MidasCustom…
2018-11   3571   허인구마틴
2019-10   3571   NeOpLE
2018-01   3571   사랑423
2014-03   3571   김황중
2019-12   3571   늘파란
2018-11   3571   앵앵앵
2019-08   3572   가빠로구나
2020-04   3572   화정큐삼
2019-04   3572   불무골
2018-09   3572   안형곤
2018-02   3572   스무프
2017-11   3572   행복하세
2014-03   3572   김건우
2023-03   3572   무쏘뿔처럼
2018-05   3572   hama
2018-12   3572   BlueApple
2018-09   3572   ddeell
2018-01   3573   Nik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