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한대에서만 유독 다운 속도가 안 나옵니다.

양영훈   
   조회 4219   추천 0    

 

HP ml110 g7에 centos 설치 후 파일서버로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메인PC로 쓰고 있는 z420(윈도우10)에서만 위와 같이 다운 속도가 제대로 나오질 않습니다.

간단히 iperf 테스트 결과는 이상 없는데,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후 다운하면 속도도 나오지 않고, 랙도 많이 걸려서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합니다.


파일서버와 z420은 같은 hp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같은 스위치에 연결된 다른 PC(윈도우10)로 테스트 했을 때는 이상없이 100MB/s 정도의 속도가 나옵니다.

그리고 스위치 상단의 미크로틱 라우터에 연결해서 테스트 했을 때도 제대로 속도가 나옵니다.


현재 상황에서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이번에 서버를 napp-in-one으로 세팅해 보려고 백업을 하고 있는데,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같은 사례를 겪으신 분들이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윤술 2017-11
디스크 속도가 안받쳐주는 현상말고는 딱히...
쓰기캐쉬 비활성 되어 있으면 활성으로 바꿔주세요.
기가비트 속도 다 뽑아줄려면 디스크 속도가 최소한 120메가는 나와야 되는데 일반디스크로는 평균적으로 800메가 정도일겁니다.
메모리가 많을때는 처음엔 메모리에 어느정도 다 들어갔다가 디스크에 커밋될때까지 기다리는데 디스크 속도 안나오면 한참이죠. 랙증상을 보이는 이유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니까 버벅이는겁니다.
     
양영훈 2017-11
저도 처음엔 일반 하드디스크에 백업 받아서
디스크 속도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SSD에 다운 받아도 속도가 같습니다...
그리고 메모리는 64GB 풀뱅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메모리 문제도 아닌 것 같구요.
일단 하다 안 되면 윈도우 재설치하려고 합니다.ㅠㅠ

이와는 별개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SSD에서 HDD로 파일 옮길 때는 처음에는 1GB/s까지 치솟다가 나중에 속도가 팍 줄어드는 증상이 있는데...
이것과도 관련된 현상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무아 2017-11
36.6MB/s 속도라면 x8 해서 대략 300Mbps 속도인데 혹시 1G로 연결되는 방식에서 전이중(full duplex) 이 아닌 반이중(half) 방식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 아닌가요?
     
양영훈 2017-11
그것도 확인해 봤는데... 아니었습니다.
혹시 모르니 나중에 집에 가면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김수현2 2017-11
어댑터 속성에서 VirtualBox나 VMWare같은거를 꺼보시는건 어떨까요 (있으시다면)
저는 재작년쯤에 UP은 900Mbps가 잘 나오는데 DL은 죽어도 500을 못넘어서
왜 이러지 하다가 그냥 VirtualBox 체크 해제하니 900 잘 나오더라구요
     
양영훈 2017-11
저도 지금 사용하고 있는 vmware 문제일까 싶어. 어댑터 끄고 해 봤지만, 그 문제는 아니었습니다.ㅠㅠ
정말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특별하게 리소스를 잡아 먹는건 없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김윤술 2017-11
테스트 댓수가 정확하지 않은게 달랑 Z420과 리눅스 깔린 컴퓨터만 보고 있는거구요 두번째는 속도 체크가 SMB 프로토콜이 아닌 5000번대 포트로 체크한겁니다.
즉 실제 네트워크 통신속도는 정상이나 실제 파일이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송이 되는건 리눅스와 윈도우간의 완벽한 지원문제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우분투에 데이터를 넣을때는 100메가 다 나오지만 실제 그 데이터를 다시 윈도우로 갖고올때는 60메가 이상 넘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보아하니 윈도우 SMB랑 리눅스 SMB랑 처리해주는 방식이 다른가 봅니다. SMB 대역폭 처리는 커널의 영향이 있는데 이부분은 좀 여러방향으로 체크를 해봐야 할듯 싶네요. 리눅스끼리는 처리속도가 어떨지도 체크를 해봐야 알거 같고...
왠지 리눅스에서 환경설정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신기한건 아파치서버로 그냥 놔두면 메모리가 90프로까지 다 할당해서 쓰고 있던데 SMB로 파일큰거 넣고 빼고 하니까 많이 차지했던 메모리가 다시 쫙 빠져버리네요. 한번 메모리 차지하면 안빠질거라고 생각했는데 리눅스도 메모리 조절을 상황에따라 하는가 봅니다.
     
양영훈 2017-11
아... 어렵네요.
정말 이상한건 예전에는 잘 나오던 속도가 최근에서야 속도가 떨어졌다는 겁니다.
그리고 다른 PC(윈도우10)에서는 속도가 정상으로 나오구요.
일단 말씀해 주신 SMB 설정 등 여러가지를 테스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문제를 해결하면 글 남기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케이블 교체를.... 후다닥
     
나우마크 2017-11
+ 1

외관은 멀쩡한 CAT 6 케이블 연결하니 100메가로 다운로드 되더군요.
겉으로 멀쩡해도 속은 곯은 경우가 있습니다.
     
양영훈 2017-11
아.. 제가 이걸 왜 생각 못했을까요?
예전에 이걸로 고생한적도 있는데...
이게 가장 가능성 많을 것 같습니다.
집에 가면 바로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두분 다 답변 감사합니다^^
양영훈 2017-11
케이블 문제도 아니었습니다.ㅠㅠ
업로드는 일정하게 잘 나오는데... 이상하게 다운로드만 반토막입니다.
대용량 파일을 받아보면 가끔 100MB/s까지 올랐다가 다시 내려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선 30~50MB/s 사이로 나옵니다.
계속 방법 찾아보고...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가 답인것 같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김윤술 2017-11
윈도우 문제 아닙니다. 제 우분투도 같은 증상이고 30메가 정도는 아니지만 60메가 선에서 딱 일정합니다.
윈도우끼리는 제속도 다나올겁니다. 재설치해도 증상은 똑같을겁니다.
이문제 예상이라면 smb 버젼 차이일 확률도 있을거 같습니다.
몇가지 프로토콜로 체크해본결과 SMB와 SSH 속도는 단일세션으로 제한되서인지 600메가 이상 안나오고 FTP 속도는 한세션당 600메가 입니다.
FTP는 각각의 파일이 포트가 할당되어 세션이 분리되기 때문에 멀티세션이 가능한거고 다른 프로토콜은 1:1 쓰레드로 할당되기 때문에 600메가 이상 못넘는거 같습니다.
즉 리눅스쪽에서 업로드 대역폭이 세션당 어느정도 이상 못넘게 제한된거 같습니다. 반대로 리눅스가 다운로드 하는건 정상적으로 다 나오구요.
          
양영훈 2017-11
그런것 같습니다.
원래 잘 나오던 다른 윈도우PC에서도 속도가 안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2696547/how-to-detect-enable-and-disable-smbv1-smbv2-and-smbv3-in-windows-and
여기에 나온 것처럼 SMBv2, SMBv3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였더니, 속도는 나오지 않지만 랙 증상은 없어졌습니다.
반대로 SMBv1은 사용하지 않고 SMBv2, SMBv3만 사용하게하면 연결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양쪽다 설정을 만져줘야 하는것 같은데...
관련 문서를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919/5699
2014-05   5102283   정은준1
2015-12   1638820   백메가
2014-11   4221   김영기대전
2018-01   4221   미수맨
2015-06   4221   공돌이
2015-06   4221   Mobius
2017-06   4221   맑은여름
2015-03   4221   kking
2015-06   4221   김동민
2018-10   4221   그린
2016-10   4221   장동건2014
2014-12   4221   저편
2016-01   4221   izegtob
2017-05   4221   초보IT
2019-04   4221   김제연
2017-01   4221   c4066
2018-08   4221   행복단지
2018-07   4221   Sikieiki
2017-05   4221   박상범
2017-04   4221   한효석
2015-04   4221   Moraine
2016-07   4221   박성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