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02283 |
0 |
2014-05
510228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2) |
백메가 |
2015-12 |
1638820 |
25 |
2015-12
1638820
1 백메가
|
75614 |
[전동드릴] 구입관련 문의드립니다. 제품 추천도 부탁드려요. (3) |
김영기대전 |
2014-11 |
4221 |
0 |
2014-11
4221
1 김영기대전
|
75613 |
미크로틱 10기가 스위치 문의드립니다 (4) |
미수맨 |
2018-01 |
4221 |
0 |
2018-01
4221
1 미수맨
|
75612 |
서버 가상화 조언 부탁드립니다. (4) |
공돌이 |
2015-06 |
4221 |
0 |
2015-06
4221
1 공돌이
|
75611 |
기존 4GB*12 (48GB)에 추가 8GB*6 (48GB) 증설시 호환가능여부 문의 드립니다. (4) |
Mobius |
2015-06 |
4221 |
0 |
2015-06
4221
1 Mobius
|
75610 |
외부 → 내부 접속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22) |
맑은여름 |
2017-06 |
4221 |
0 |
2017-06
4221
1 맑은여름
|
75609 |
네트웍 속도 향상방법? (7) |
kking |
2015-03 |
4221 |
0 |
2015-03
4221
1 kking
|
75608 |
[질문]윈도우 업데이트파일 (5) |
김동민 |
2015-06 |
4221 |
0 |
2015-06
4221
1 김동민
|
75607 |
강의 받아쓰기(dictation)앱이 앞으로 가능하나요 (6) |
그린 |
2018-10 |
4221 |
0 |
2018-10
4221
1 그린
|
75606 |
알리에서 커넥터를 사려고합니다. (4) |
장동건2014 |
2016-10 |
4221 |
0 |
2016-10
4221
1 장동건2014
|
75605 |
bios 업그레이드 질문 (2) |
저편 |
2014-12 |
4221 |
0 |
2014-12
4221
1 저편
|
75604 |
IPMI의 Matrox G200eW 말입니다 (5) |
izegtob |
2016-01 |
4221 |
0 |
2016-01
4221
1 izegtob
|
75603 |
핸드폰 급속 충전기 문의합니다. (9) |
초보IT |
2017-05 |
4221 |
0 |
2017-05
4221
1 초보IT
|
75602 |
[도움요청] 통신망 KT 아니신분중에 vpn 가능하신분? (16) |
김제연 |
2019-04 |
4221 |
0 |
2019-04
4221
1 김제연
|
75601 |
비컴)믹서기 (2) |
c4066 |
2017-01 |
4221 |
0 |
2017-01
4221
1 c4066
|
75600 |
리눅스 서버 GRUB 입력창만 나오고 부팅이 안됩니다. (6) |
행복단지 |
2018-08 |
4221 |
0 |
2018-08
4221
1 행복단지
|
75599 |
H200의 기본 지원용량이 궁금합니다 (10) |
Sikieiki |
2018-07 |
4221 |
0 |
2018-07
4221
1 Sikieiki
|
75598 |
L2 L3 스위치 (6) |
박상범 |
2017-05 |
4221 |
0 |
2017-05
4221
1 박상범
|
75597 |
3 Pin Case Fan 의 케이블 색갈별 의미 (3) |
한효석 |
2017-04 |
4221 |
0 |
2017-04
4221
1 한효석
|
75596 |
Dell SAS 6/iR 컨트롤러 관한 간단한 몇가지 문의 사항있습니다. (1) |
Moraine |
2015-04 |
4221 |
0 |
2015-04
4221
1 Moraine
|
75595 |
큰 용량의 SSD (500GB 이상 1테라 정도까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
박성만 |
2016-07 |
4221 |
0 |
2016-07
4221
1 박성만
|
쓰기캐쉬 비활성 되어 있으면 활성으로 바꿔주세요.
기가비트 속도 다 뽑아줄려면 디스크 속도가 최소한 120메가는 나와야 되는데 일반디스크로는 평균적으로 800메가 정도일겁니다.
메모리가 많을때는 처음엔 메모리에 어느정도 다 들어갔다가 디스크에 커밋될때까지 기다리는데 디스크 속도 안나오면 한참이죠. 랙증상을 보이는 이유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니까 버벅이는겁니다.
디스크 속도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SSD에 다운 받아도 속도가 같습니다...
그리고 메모리는 64GB 풀뱅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메모리 문제도 아닌 것 같구요.
일단 하다 안 되면 윈도우 재설치하려고 합니다.ㅠㅠ
이와는 별개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SSD에서 HDD로 파일 옮길 때는 처음에는 1GB/s까지 치솟다가 나중에 속도가 팍 줄어드는 증상이 있는데...
이것과도 관련된 현상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모르니 나중에 집에 가면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저는 재작년쯤에 UP은 900Mbps가 잘 나오는데 DL은 죽어도 500을 못넘어서
왜 이러지 하다가 그냥 VirtualBox 체크 해제하니 900 잘 나오더라구요
정말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특별하게 리소스를 잡아 먹는건 없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즉 실제 네트워크 통신속도는 정상이나 실제 파일이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송이 되는건 리눅스와 윈도우간의 완벽한 지원문제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우분투에 데이터를 넣을때는 100메가 다 나오지만 실제 그 데이터를 다시 윈도우로 갖고올때는 60메가 이상 넘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보아하니 윈도우 SMB랑 리눅스 SMB랑 처리해주는 방식이 다른가 봅니다. SMB 대역폭 처리는 커널의 영향이 있는데 이부분은 좀 여러방향으로 체크를 해봐야 할듯 싶네요. 리눅스끼리는 처리속도가 어떨지도 체크를 해봐야 알거 같고...
왠지 리눅스에서 환경설정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신기한건 아파치서버로 그냥 놔두면 메모리가 90프로까지 다 할당해서 쓰고 있던데 SMB로 파일큰거 넣고 빼고 하니까 많이 차지했던 메모리가 다시 쫙 빠져버리네요. 한번 메모리 차지하면 안빠질거라고 생각했는데 리눅스도 메모리 조절을 상황에따라 하는가 봅니다.
정말 이상한건 예전에는 잘 나오던 속도가 최근에서야 속도가 떨어졌다는 겁니다.
그리고 다른 PC(윈도우10)에서는 속도가 정상으로 나오구요.
일단 말씀해 주신 SMB 설정 등 여러가지를 테스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문제를 해결하면 글 남기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외관은 멀쩡한 CAT 6 케이블 연결하니 100메가로 다운로드 되더군요.
겉으로 멀쩡해도 속은 곯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전에 이걸로 고생한적도 있는데...
이게 가장 가능성 많을 것 같습니다.
집에 가면 바로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두분 다 답변 감사합니다^^
업로드는 일정하게 잘 나오는데... 이상하게 다운로드만 반토막입니다.
대용량 파일을 받아보면 가끔 100MB/s까지 올랐다가 다시 내려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선 30~50MB/s 사이로 나옵니다.
계속 방법 찾아보고...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가 답인것 같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윈도우끼리는 제속도 다나올겁니다. 재설치해도 증상은 똑같을겁니다.
이문제 예상이라면 smb 버젼 차이일 확률도 있을거 같습니다.
몇가지 프로토콜로 체크해본결과 SMB와 SSH 속도는 단일세션으로 제한되서인지 600메가 이상 안나오고 FTP 속도는 한세션당 600메가 입니다.
FTP는 각각의 파일이 포트가 할당되어 세션이 분리되기 때문에 멀티세션이 가능한거고 다른 프로토콜은 1:1 쓰레드로 할당되기 때문에 600메가 이상 못넘는거 같습니다.
즉 리눅스쪽에서 업로드 대역폭이 세션당 어느정도 이상 못넘게 제한된거 같습니다. 반대로 리눅스가 다운로드 하는건 정상적으로 다 나오구요.
원래 잘 나오던 다른 윈도우PC에서도 속도가 안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2696547/how-to-detect-enable-and-disable-smbv1-smbv2-and-smbv3-in-windows-and
여기에 나온 것처럼 SMBv2, SMBv3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였더니, 속도는 나오지 않지만 랙 증상은 없어졌습니다.
반대로 SMBv1은 사용하지 않고 SMBv2, SMBv3만 사용하게하면 연결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양쪽다 설정을 만져줘야 하는것 같은데...
관련 문서를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