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에 접속자가 몇명까지 버텨될 수 있을까요?

   조회 5331   추천 0    

동시에 접속자가 몇명까지 버텨될 수 있을까요?

네이버와 대형 사이트들은 여러가지 기술로 처리하지만
단일 서버에서 동시 접속자를 얼마 정도 버터낼 수 있을련지요?
혹시 이것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계신 분이 있는지요?

아무래도 이런 것도 알아두고 대비해야 되지 않을까 싶어서....

2cpu는 동시 접속자를 몇 명까지 버텨내는지요?

그런 경험이 있는지요?

예전에 나를 도와준 마틴님이란 분이 있어 그분을 기억합니다.
2cpu의 도움주신 많은 분들께 늘 감사드립니다.
☎ HP 010-9678-7900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페르세우스 2017-11
트래픽과 서버만 충분하다면, 원하시는만큼은 버티구요

DISK IO / RAM / 회선

핵심은 사이트 페이지의 최적화 입니다

외부링크 끌어오는곳의 딜레이 디비처리 쿼리 등 딜레이를 잘 처리되게 하시면 많이 손님 받아요

2cpu 분들은 서버자원은 머... ^^
     
PPC허인구 2017-11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서버자원은 많습니다.ㅎㅎㅎ
아직도 쌓아놓은 장비가 꽤 됩니다.
그것을 활용해 단독 서버라도 구성해서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ㅎㅎㅎ
박문형 2017-11
BMT 해봐야 아는 문제입니다..

1인이 접속시 트래픽을 얼마나 먹는지 채크 해야 하고

그 다음이 전송로의 대역폭 확인

서버의 DISK I/O도 견뎌 줘야겠죠..

상당히 돈 마니 들어가는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PPC허인구 2017-11
일단 해보는 것이 장땡이가 아닐까 싶어서
무식하게 도전에 응해보려고 합니다.

하기사 지금껏 알고 한 것도 없이
그냥 무식하게 부딪혀 가면서 해결했으니
이번에도 이런 무식한 행위를 통해서라도 새롭게 거듭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cpu의 동호인들이 응원해주리라 생각듭니다.ㅎㅎㅎ
NeOpLe 2017-11
생각보다는 많이 입니다.
개인적 경험으로 예전 티티선 사용할때, 12800 bps 에서 동시 3명을 견디더군요 ㅋㅋ
요즘은 당시 비하면 컨텐트 많이 늘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는 잘 견딜거라는데 한표 던집니다.
     
PPC허인구 2017-11
감사합니다.
이번에 좀 crazy 한 생각으로 어떤 일을 했습니다.
아마도 동접이 최소한 500명은 될 것 같은데...
방문자 숫자가 약 1만명~ 수십만명까지 한 주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고민이 좀 됩니다.

하지만 한번 도전에 응해보려고 합니다.
안되면 그 웹을 위해서 별도 단독 서버를 만들어서라도 이번 미션을 수행해보려고 합니다.
          
동접 보다는.피크일때가 문제입니다. 이 경우 가장 쉬운 방법은 (?) 서버 확장 즉.다중화입니다. L4스위치 물려서 2대 이상의 서버에서 서비스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쉬운 방법이기에 비용이 많이듭니다.
               
PPC허인구 2017-11
사실 그 부분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비용이 많이 들어서 고민 좀 됩니다.
1. L4 스위치를 구매하고
2. 2대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을 연구좀 해야 겠습니다.

한번  도전해보고 싶습니다.ㅎㅎㅎ
박문형 2017-11
데이터가 동영상 혹은 소리의 스트리밍일때는 장난이 아닙니다..

억 소리 납니다..

아마도 사무실 인터넷 선으로는 무리일 것이고 IDC에 전용선 임대해도 돈이 많이 들어가니 계약 하실때 잘 생각해보셔야 할 것입니다..
엠브리오 2017-11
예전에 리눅스애서 소켓은 약 8천개 까지 생성되는 걸로 기억되네요. 아마도 지금은 더 늘어 났을겁니다.

다만 디스크 I/O 가 얼마나 일어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centos 인 경우 소켓 디폴트 값은 더 적게 셋팅되어 있던 걸로 기억합니다.설정파일을 수정해서 소켓 연결 개수 최대치를 수정해 주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PPC허인구 2017-11
센토스는 소켓 갯수를 더 늘렸습니다.
예전에 디폴트 값으로 사용하다가
아파치가 다운되는 것을 여러번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소켓을 늘리는 것은 잘 압니다.

지금은 아파치 다운되지 않고
아주 잘 돌아갑니다.
               
엠브리오 2017-11
조정해야 될게 여러개 있는데..

한꺼번에 열리는 최대 소켓갯수 (네트워크 다중접속 때문에 필요하죠)
한꺼번에 열리는 최대 파일갯수 (멀티 쓰레드 같은걸 많이 돌리면 파일을 여러개 오픈하게 됩니다.)
최대 공유메모리 사이즈(보통 데이터베이스 사용할때 많이 늘려야합니다.)
.....

디스크 보다는 SSD가 좋고, SATA방식 보다는 PCI-E에 직결하는 NVMe 방식이 훨씬 좋고
RAID는 cache를 1GByte 이상 달아주는게 좋습니다.
                    
PPC허인구 2017-11
고맙습니다
고민이 장난이 아니네요
                         
엠브리오 2017-11
어쨌든 중요한것은 CPU의 성능보다는 주변장치의 성능을 높이는게 주요 핵심포인트라는 겁니다.

구형 CPU라 할지라도 동시접속에는 큰문제가 없습니다. 그만큼 CPU는 주변장치보다 훨씬 빠릅니다.
PPC허인구 2017-11
엠브리오님의 핵심 포인트 지적
감사합니다.
고액과외 인데... 고맙습니다.
튜닝의 문제죠. 어떤 어플리케이션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단순히 웹페이지만 서빙하는거면 동접 10만 20만도 버팁니다.
속성에 따라서 튜닝을 잘해야합니다. 특히 asset ( js, img ) 등은 모두 별도의 cdn으로 서비스 해야합니다.


QnA
제목Page 1829/5730
2014-05   5267349   정은준1
2015-12   1792331   백메가
2016-11   4327   차넷컴퓨터
2020-01   4327   꾀돌이
2019-02   4327   김효수
2016-08   4327   AplPEC
2018-06   4327   유령E정해준
2017-12   4327   박준영2
2014-08   4327   이기적충동
2014-08   4327   제상현
2013-12   4327   박민혁A
2015-10   4328   lovemiai
2018-05   4328   페르세우스
2014-03   4328   김상민
2023-06   4328   총알탄사나이
2022-11   4328   풀로드시스템
2022-07   4328   미수맨
2016-07   4328   이니이니
2015-09   4328   웃자웃자
2014-01   4328   나우마크
2014-11   4328   엠브리오
2017-12   4328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