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443 |
0 |
2014-05
524044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889 |
25 |
2015-12
1765889
1 백메가
|
78204 |
[비컴] 오디오 질문드립니다. (모델명 : 인켈 AX5015R) (11) |
정연 |
2017-11 |
7244 |
0 |
2017-11
7244
1 정연
|
78203 |
이걸 써야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3) |
Sakura24 |
2017-11 |
4297 |
0 |
2017-11
4297
1 Sakura24
|
78202 |
이 나사 규격과 파는곳 좀... (13) |
페르세우스 |
2017-11 |
9188 |
0 |
2017-11
9188
1 페르세우스
|
78201 |
이 나사 규격과 파는곳 좀... (1) |
박문형 |
2017-11 |
4276 |
0 |
2017-11
4276
1 박문형
|
78200 |
PCI Splitter 혹 써보신분 계실까요..? (7) |
DDAYs |
2017-11 |
4913 |
0 |
2017-11
4913
1 DDAYs
|
78199 |
모니터 이상증상 문의드립니다. (6) |
미도리 |
2017-11 |
4771 |
0 |
2017-11
4771
1 미도리
|
78198 |
산업용 보드를 하나 만들어야 하는데 소재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10) |
MikroTik이진 |
2017-11 |
5261 |
0 |
2017-11
5261
1 MikroTik이진
|
78197 |
혹시 그래픽카드 길이에 따른 성능차가 있나요? (6) |
다이소 |
2017-11 |
6240 |
0 |
2017-11
6240
1 다이소
|
78196 |
110v to 220v 플러그 작업 [해결] (10) |
Doker |
2017-11 |
6567 |
0 |
2017-11
6567
1 Doker
|
78195 |
HDD 1개 단독 사용시에도 RAID Controller 사용하면 성능 향상이 있나요? (7) |
완두콩 |
2017-11 |
5211 |
0 |
2017-11
5211
1 완두콩
|
78194 |
메인보드 비프음 관련 질문합니다. (11) |
차넷컴퓨터 |
2017-11 |
11642 |
0 |
2017-11
11642
1 차넷컴퓨터
|
78193 |
[질문]RamDisk 프로그램이 설치에러가 납니다. (4) |
김민성 |
2017-11 |
5625 |
0 |
2017-11
5625
1 김민성
|
78192 |
G4400 에서 e3-1235L v5 로 변경할 때 (8) |
션한맥주 |
2017-11 |
5160 |
0 |
2017-11
5160
1 션한맥주
|
78191 |
전자칠판 수리 어디로 가야 할까요? (2) |
정진수 |
2017-11 |
4658 |
0 |
2017-11
4658
1 정진수
|
78190 |
25명 전후 쇼화가능한 무선 ap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초보IT |
2017-11 |
5912 |
0 |
2017-11
5912
1 초보IT
|
78189 |
wireless device 질문입니다! (4) |
Doker |
2017-11 |
4024 |
0 |
2017-11
4024
1 Doker
|
78188 |
2d 네비관련 문의 (2) |
metaljw |
2017-11 |
3803 |
0 |
2017-11
3803
1 metaljw
|
78187 |
이런걸 오픈랙이라고 부르나요? (10) |
나스님 |
2017-11 |
4930 |
0 |
2017-11
4930
1 나스님
|
78186 |
마샬 하드 라고 있든데 괜찮은지요???? (10) |
으라차차차 |
2017-11 |
4832 |
0 |
2017-11
4832
1 으라차차차
|
78185 |
cpu 저전력 꾸미기? (10) |
나라사랑 |
2017-11 |
4941 |
0 |
2017-11
4941
1 나라사랑
|
저 같은 경우는 사이드 틴팅은 55퍼(투과율요)
후면이 35퍼 인가 구요.
전면은 안했습니다.
일단 전면은 좋은 것으로 해야 할 것 같더라구요.
어머니가 예전에 앞창이 깨져 17만원주고 틴팅을 하셨는 데....
비가오면 앞이 안보일 정도라 너무 위험하더라구요.
밤에도 많이 안보이구요.
난시는 좀 있는 데.. 색약 같은 것은 없는 데..
잘 안보여서..
딱히 전면 틴팅 없이 3년 지났는 데.. 특별히 불편한 것은 없네요.
자외선때문에 노화가 위험하다는 데..
저는 선크림도 안바르고 다니는 용자(?)라서요.
법적으로는 이렇다네요..
도로교통법 시행령이다.
제4장 운전자 및 고용주 등의 의무 <개정 2013.6.28.> 제28조(자동차 창유리 가시광선 투과율의 기준) 법 제49조제1항제3호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이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
1. 앞면 창유리: 70퍼센트 미만
2. 운전석 좌우 옆면 창유리: 40퍼센트 미만
[전문개정 2013.6.28.]
13년 개정 되었다
근데 단속 사례가 거의 없는 걸로....
사실상 앞 창에서 사람의 얼굴 형태를 인지 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해석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에 연예들의 차는 너무 쌔카맣던데 왜 단속 안하냐고 지적한 것에 대해서 경찰 답변이 그랬던 것 같습니다.
사실상 최소한의 규정일 뿐..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은 걸로 압니다.
....
그리고 보증 5년이니 10년이니 대다수가 X소리라 생각합니다.(실제 색이 바랜 문제로 문의 하니 색 농도나 기능이 아니라 시공상 문제로 들뜨거나 우짜고 블라 블라.)
우선 법규상으로 따지면 보통 제작사 기준으로 나온 차에 선팅을 하면 다 걸리게 될듯 싶네요.(시비거리가 많아서 단속을 유예를 한다고는 하지만)
그리고 선팅 아무리 좋아도 1미리도 안되는 두께로 뭔 효용이 있나 생각하시면 됩니다.(뜨거운 태양 아래 놔두면 수백만원 짜리로 시공 해도 온도차 3~4도 내외)
선팅 업체들 말대로라면 한여름에도 햇볓 하나도 안들어오는 컨테이너에 들어가 있으면 얼어 죽어야 겠죠.(극단적으로 썻지만 열차단 선팅은 어느정도 열차단 효과는 있습니다.. 중요한건 어느정도입니다.)
그리고 솔라그라스 유리도 만능은 아니고요...(수십만원 하는 명품 선그라스도 3~4년 지나면 효과가 없으니 사용하면 안된다고 하는 세상이라...어느놈 말이 맞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