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플러그라는거...공유기는 별도로 선행(동작)되고 있어야 되는거죠?

김건우   
   조회 5740   추천 0    

 http://www.ticketmonster.co.kr/deal/762848238?utm_source=tmon&utm_medium=email&utm_term=&utm_content=&utm_campaign=Category+mail_1.+%ED%9A%8C%EC%9B%90


pc를 원격에서 필요할때만 켜고 사용하도록 wol하는식으로 전원자체도 그런방식으로 쓰는걸로 아는데

위 링크의 설명서는 왜 공유기 설정 단계가 5번째로 되어있는지 이해가 좀 안되서요.

앱에서 맥어드레스를 받는다는건 웹(공유기)에 연결되었다는 뜻인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atstyle 2017-12
스마트폰과 플러그도 wifi로 연결됩니다
인터넷은 안되도 스마트폰과 플러그간 연결은 되죠
플러그에 연결하여 설정을 한 뒤
공유기와 플러그간 wifi로 연결시키는 것이죠
이선호 2017-12
해당 장치에 모니터나 입력 장치가 없기때문에 장치 자체에 연결하여 공유기와 연결하는 작업을 하는것입니다.
즉, 처음에는 앱 - 공유기 - 스마트폰 이 아니라 앱 - 스마트폰 연결 후 앱 - 공유기 - 스마트폰으로 세팅하는 것 입니다.
안철현 2017-12
5번째 단계가..IoT 기기에 공유기의 SSID와 암호를 넣어주는 단계입니다.

최초 스마트플러그를 설정모드로 변경하면(보통 특정 스위치를 수초동안 누르는면) 스마트플러그가 AP모드로 동작하게 됩니다.
스마트플러그용 앱을 설치하고, 해당앱에 SSID와 암호를 입력하면
그 다음에 스마트플러그용 앱이설정모드에 있는 스마트플러그와 연결되면서(스마트플러그를 AP로 인식) 스마트플러그에 SSID와 암호를 넣어줍니다.
이후 스마트플러그는 독자적으로 원래공유기와 통신(입력된 SSID와 암호를 이용하여)하게 됩니다.

즉, 스마트폰 - AP - 인터넷 - 외부 서비스제공업체 서버 - 인터넷 - AP - 스마트플러그 형태로 통신이 됩니다.
스마트폰 - AP - 스마트플러그 형태가 아닙니다. 중간에 IoT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관여하게 됩니다.


QnA
제목Page 1787/5725
2014-05   5246029   정은준1
2015-12   1771362   백메가
2017-04   6503   네오네모
2005-04   6503   이용석
2015-05   6503   뉴클래식
2015-05   6503   장동건2014
2012-08   6503   유종철
2005-04   6503   김대평
2005-06   6502   정영교
2005-03   6502   송화식
2005-05   6502   김건우
2006-06   6502   최창현
2016-11   6502   김건우
2005-08   6502   김효수
2011-04   6502   김건우
2008-01   6502   정은준
2005-03   6502   김덕기
2018-01   6502   이승익
2014-12   6502   예관신규식
2017-02   6502   권태영
2009-12   6502   한경도
2015-01   6502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