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에 관련한 문제입니다.

   조회 6169   추천 0    

https://ko.aliexpress.com/item/4000W-import-SCR-Super-Power-Electronic-Digital-Regulator-Dimmer-Speed-Thermostat-6-8/32801580924.html

알리에서 이런 제품을 구했습니다.
변압기인데요.
보통 220v를 다른 전압으로 다운,업 시킬때 커다란 슬라이닥스를 사용했는데요.
이 전자식 변압기는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제 손바닥에 3개를 올려놓을수 있을정도입니다.
이 변압기를 구입한 이유는 선풍기 풍속 조절, 조명 밝기 조정, 미국 내수용 가전기기[117v] 제품을 사용하기 위함인데요.
입력전압쪽 접지 출력전압쪽 접지를 케이스에 그라운드 시켜서 사용하려고하는데 내부 반도체 방열판이 케이스에 쇼트되 있습니다.


그런데 방열판에 붙은 반도체는 절연되지않고 바로 방열판과 붙어있는데 방열판은 케이스와 쇼트가되서 결국 반도체와 케이스가 쇼트상태가 된느것인데 이상태로 케이스 접지를 하면 안될것 같은데 어떨까요?
그리고 한가지 질문이 더있는데요.
이렇게 작은 초소형 변압기가 있다는게 정말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아직 일반 트랜스식 변압기가 많이 쓰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제품을 잘사용하지않는데는 이유가 있을것 같은데요.
아마도 출력되는 교류의 파형이 완전한 정현파가 아니라 계단파나 유사 정현파일 가능성도 있는데요.
제품 내용중에..

------------------------------
매개 변수:
사용 전압: AC 220 볼트
최대 전원: 4000 와트 저항 부하 제한 전원, 룸 온도 추천 2000 와트

전압: 0-100% (220 volts 100 레벨 조정, 비 선형)
사용 새로운 양방향 높은 전력 사이리스터, 때문에 전류 40 보안,
좋은 솔루션을 문제에 과전류 전기 와이어 경우 냉각 너무 작은 일으킬 저항; 쉽게 조정 출력 전압 메인 0-100% (220 100 볼트 분할, 조정할 비 선형) 조정,
사용을위한 전기 제품.: 같은, 온수기 조정, 디밍 램프, 작은 모터 속도, 전기 철 온도. 달성하도록 디밍, 온도 조절, 압력 효과. 2000 와트 전기 전원 대형 가전 때문에 전원 된 좋은,
너무 일반 가전 또는 작은 공장 충분히. (유도 또는 용량 성 부하 전원 수 감소, 이 레귤레이터 장착되어 양방향 높은 전력 사이리스터, 추가하지 않고 부품,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패키지 내용
1x10000 와트 수입 SCR 슈퍼 전원 전자 디지털 레귤레이터 주차 속도 조절기

--------------------

요렇게 몇몇 사용 용도를 정해놨는데 이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면 않좋은것인지도 궁금합니다.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무아 2017-12
승압은 안되고 강압만 됩니다
파형이 잘려버리기에 노이즈가 꽤 나옵니다
전열기나 백열등 같은 조명에 씁니다
원래 scr 또는 트라이악과 방열판 사이에는 절연해서 씁니다. 예전 기억에 운모판 이나 세라믹 같은 걸 썼는데 접지와 연결되면 위험해 보입니다
임샹햔 2017-12
방열판이 GND에 붙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향촌 2017-12
윗분 말씀처럼 소자 뒷면에 운모판을 대로 나사에도 플라스틱으로 접지가 되지 않도록
끼우는 플라스틱이 있었습니다.
박문형 2017-12
옛날 아답터는 도란스에 다이오드 4개 달린 것을 많이 사용 했고

요즘은 작고 강한 SMPS 아답터가 주류를 이루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SMPS는 고주파 나오는게 거의 필수적이라고 봐야죠..
장동건2014 2017-12
답변 주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분해해보니까 운모판 한개 끼워넣기 힘들정도로 빡빡한 상황입니다.
스스로 절연해보려고 했는데 안되겠네요.
반도체가 발이 3개 달렸는데[요게 scr이겠죠]
각 발과 방열판을 테스터로 찍어보니 모두 절연 상태로 나오는데요.
그럼 케이스와 반도체가 절연판이 없어도 결국 절연 상태가 아닌가 싶은데요.[예전 트랜지스터는 컬렉터가 케이스와 맞닿게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될까요?

그리고 정현파가 아니라니 미국 내수 가전제품에 사용하긴 무리고 선풍기나 LED 조명에 밝기 조정용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무아 2017-12
보통 방열판이 알루미늄이고 알루미늄은 자연상태에서 산화피막을 만들고 그 산화피막은 절연체 입니다. 테스터기로 찍어볼때는 흠집을 내거나 테스터 프루브를 힘줘서 찍힘을 내지 않으면 절연상태로 나옵니다.
          
장동건2014 2017-12
힘주고 다시 찍어봐야겠군요.
               
무아 2017-12
네. 테스터 저항 측정 같이 저전압에서는 절연으로 나오지만 고압이 걸리면 절연파괴(?)가 일어나면서 전기가 흐르며 펑 합니다.
전해 콘덴서가 그와 같은 원리 입니다. 그 안에 알루미늄 필름이 들어가 있는데 이게 산화피막을 이루고 있고 안에 기름 같은 유전체가 있어서 절연이 되고 전하를 축적시킬 수 있지만 정격 전압보다 높게 전압을 걸거나 콘덴서 외부에서 충격을 주어 찍힘이 일어난다거나 하면 쇼트가 나면서 뻥~!
                    
장동건2014 2017-12
그래서  고전류는 두꺼운 배선, 고전압은 두꺼운 절연 재료를 사용하는거군요.
무아님이 알려주시는 전기상식은 재밌습니다.~
서완호 2017-12
저거 방열판은 단순히 방열을 위해 좀재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추가로 많이사용하지않는 이유는.....파형과 노이주문제가 제일 크지요.... ㅠㅠ
완벽한 정현파는 안나올겁니다. 크고 무겁지만 트랜스포머 방식의 장점은 아주 간단하게 정현파를 만들어주고 절연도 되는 겁니다.
정현파가 아닌 경우 모터같은 제품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보통 가전제품은 이걸 다시 SMPS등으로 DC화 시켜서 사용하니 크게 문제가 안될 수 도 있고 조명이나 발열체는 그정도로 반응이 빠르지 않아서 보통은 문제없습니다. 이런건 반드시 스코프로 파형을 찍어봐야 합니다.
     
장동건2014 2017-12
smpc 1차측 정류부가 문제가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정류용 전해 캐패시터가 문제가 될것 같습니다.
2차측은 문제가 없겠죠.
그리고 일반 조명은 문제가 안되지만 역시 smps를 사용하는 led조명은 역시 1차측이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led조명 안정기는 그 자체가 smps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니까 한번에 죽는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명이 짧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방식이든 일반조명이 문제가 안되는 이유는... 디밍이 가능한 백열전구일 때 얘기입니다. 그리고 백열전구는 엄밀히 말하자면 전열기와 동일하고 반응이 느리기 때문이 어떤 방식의 디밍회로라도 별로 문제가 없습니다. LED중에도 디밍이 가능한게 있지만... 역시 위상의 일부를 잘라버리는 형태로 동작하는 것이라 결국 유효전력 조절의 의미입니다. SMPS는 아무런 죄가 없어요. 그걸 어디에 사용하느냐가 문제죠. 기본적으로 LED는 전류제어가 필요한 소자입니다. LED안정기(LED는 형광등과 달리 안정기는 아니지만...)라는 것들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LED를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느냐 없느냐를 좌우합니다. 전류제어가 안되면 고출력 LED는 열폭주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LED를 죽이는 범인은 거의 대부분 소자 자체의 발열입니다. 아니면 전원부가 맛이 가든지요. 전원부도 결국엔 열때문에 맞이 가는거죠.
               
장동건2014 2017-12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좀 어렵긴한데 열공하도록 하겠습니다.


QnA
제목Page 1778/5724
2014-05   5237948   정은준1
2015-12   1763650   백메가
2017-12   4035   김건우
2017-12   14994   으라차차차
2017-12   5222   dreamer74
2017-12   4095   김훈1
2017-12   5447   수필처럼
2017-12   6628   조형
2017-12   7764   으라차차차
2017-12   4729   김건우
2017-12   4394   유령E정해준
2017-12   5715   조형
2017-12   5561   나우마크
2017-12   4137   삐돌이슬픔이
2017-12   4122   이상윤SY
2017-12   4654   일론머스크
2017-12   4260   송현우
2017-12   4542   e5472
2017-12   5041   욕심쟁e
2017-12   3690   하셀호프
2017-12   4600   refreshair
2017-12   12571   늘파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