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산물건이 아무래도 목적에 맞지않은것 같습니다.

   조회 4337   추천 0    

https://ko.aliexpress.com/item/4000W-import-SCR-Super-Power-Electronic-Digital-Regulator-Dimmer-Speed-Thermostat-6-8/32801580924.html

저는 전압을 낮추어 공업용 선풍기의 풍량을 낮춘다던지 led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고 110v 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입했는데 이 제품은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기위해 설계된게 아닌것 같습니다.
입력으로 230v를 넣고 출력 전압을 확인 하려고 했는데 인디케이터가 0~100까지 표시가 되고 테스터로 출력 전압을 재보면 그냥 230v가 출력이 되는데요.[출력 전압이 230v로 고정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은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는 제품이 아니고 조명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펄스를 변조시킨다거나 하는 방식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게 그러니까 파형의 높낮이를 조정하는게 아니라 파형의 폭의 변화를 주는...]
그렇다면 이 물건은 조명이나 모터에만 한정에서 사용하면 되는것일까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대부분의 Dimmer라고 붙은 것들은 정현파의 일부를 잘라버리는 것들이지 그 파형의 peak to peak를 감쇄시켜주는... 흔히 말하는 트랜스포머방식의 변압회로가 아닙니다.
     
장동건2014 2017-12
전 저 인디케이터에서 0~230v까지 표시되면서 전압이 조절된느줄 알았습니다.
설명에도 디밍이라는 말이 여러번 나왔는데 자세한 디밍 원리를 몰랐기때문에 그냥 전압 가변형인줄 알았습니다.
블루맥스 2017-12
슬라이닥스를 찾으시나봅니다
     
장동건2014 2017-12
슬라이닥스는 이미 갖고 있습니다만 크기가 너무크고 무거워서 요걸로 교체해 쓸라고 했는데 목적이 다르네요..
해탈 2017-12
같은 제품을 구입해서 약 1주일 전부터 소형 펌프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력 전압까지는 측정해 보진 않았습니다만 펌프 속도 조절은 되더군요..
50이하로 조절하면 출력이 부족한지 펌프가 멈추긴 합니다.
     
장동건2014 2017-12
이미 사용해보셨군요..
펌프에 사용할수 있다면 모타가 들어간 제품엔 사용해도 될것 같습니다.
monet 2017-12
흔히 말하는 pwm 제어일껍니다.
이런 디머를 led에 직접 연결하면
낮은 값에서 깜빡이죠.
     
장동건2014 2017-12
현재 LED 조명을 슬라이닥스로 전압을 100v로 낮추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모콘으로 밝기가 조정되는 모델인데 220v로는 최저 밝기가 밝아서 전압을 낮추어 사용하는데 전압을 웬만큼 낮추어서는 밝기가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만  최저 밝기시 가끔 어두워졌다가 한참있다가 다시 밝아졌다가 하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monet 2017-12
led는 원래 정전류 제어를 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셀이 3v-3.5v 에 전류 0.1-0.15a라고 하면요.
전압은 범위 내에서 대충 걸어주고 전류로 조정을 해요.

전류가 올라가면 열이 더 발생하구요.
열이 발생하면 전류 소모량을 높입니다.

그래서 일반 smps처럼 너는 먹을 만큼 먹어라 하고 전기를 줄 수가 없습니다.
전류를 딱 먹을만큼(정전류)만 보내는거죠.

pwm은 거칠게 말하면 전원을 올렸다 내렸다를 계속하는건데요.
모터 제어에는 도움이 되지만 led 제어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led 드라이버 단에서 전류량 조절이 가능하면 그게 제일 좋습니다.
(그런 드라이버도 찾으면 있습니다. 혹은 민웰에서 전압전류 각각 조절 가능한 smps가 나오구요.)
다만 공부를 좀 해야되죠. ㅜ,.ㅜ
               
장동건2014 2017-12
그런데 조금 이해가 안가는게 전류라는건 부하가 필요한 만큼 가져다쓰고 모자르면 전원을 공급하는 쪽에서 문제가 생기는게 일반적이라고 보는데요.
오히려 부하가 요구하는 만큼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할때가 더문제가 될것 같은데요.
LED 특성은 다른 전자 소자와 다른 무엇이 있는건가요?
                    
monet 2017-12
열과의 문제에요.

다른 전자장치는 필요한 만큼 전류를 사용하는데요.

led는 빛과 열로 전류를 소모하다가요.
열이 증가하면 (빛 + 열이니까요. 빛이 주일때에 비해) 
더 많은 전류를 끌어와요.
전류를 더 많이 끌어오니 열은 더 많아지구요.
악순환이 이어집니다.

빛을 발하는 소자에서 (주로) 열을 발하는 소자로 변신해서
폭주하다가 사망하죠.

그래서 led는 전류를 제한해서 내보냅니다.
그렇지 않게 설계된 제품도 있습니다만 정전류가 아닌경우
제대로된 제품이 아닙니다.
                         
monet 2017-12
led 정전류 드라이버 로 검색하시면
자료들은 쉽게 찾으실 수 있을껍니다.
                         
장동건2014 2017-12
문외한인 저에게 이렇게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__)
말씀듣고보니까 트랜지스터 열폭주가 연상되고 다이오드를 이용한 열보상 회로가 생각난느군요.
어차피 led[발광다이오드] 도 같은 다이오드 계통의 반도체이고[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 2개가 내부구조로 되어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열이 발생하면 더많은 전류를 끌어오고 그럼 더많은 열이나고 그럼 더많은 전류를 요구하고...이걸 방지하는 회로도 결국 전류를 제한할것 같은데[하도 오래되서 원리는 까먹..;;]
뭐 원리상 전류를 제한하는것이 가장 상식적이겠네요.
그러고보니 올해도 낼 하루 남았네요.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monet 2017-12
기본적으로 전기전자 분야에서 저보다 많이 아시는것 같네요.

저는 led 조명 자작을 좀 할께 있어서 몇달을 혼자 공부하는데
기본이 없어서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ㅜ,.ㅜ

바나 패널 형태의 led와 led드라이버로 전류가변을 하시면
원하시는 것들을 만드실 수 있을껍니다.

한해 잘 마무리하시길 ...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786/5732
2014-05   5269136   정은준1
2015-12   1794223   백메가
2012-09   4793   klein
2014-07   32598  
2020-04   6776   비누귀신
2023-03   2267   죠슈아
2015-11   4352   테드
2016-10   4570   여해i이상복
2017-11   9487   신은왜
2016-10   4338   죠슈아
2009-08   8437   강현섭
2017-11   4732   편한세상
2014-07   8630   handan
2020-04   4121   2CPUI김세훈
2009-08   8244   이인
2012-10   8671   미션
2015-11   4831   김효수
2016-10   7758   트니아빠
2017-12   4575   나라사랑
2021-09   3469   파이야
2017-12   4542   김영기
2017-12   4443   wa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