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영상 작업용으로 어떤것이 좋을까요 ?

   조회 4630   추천 0    

 

위 사진과 같이 지금 2종류의 드라이브가 있습니다.

프리미어나 에프터이펙트 그리고 VR영상 편집(고프로 Kolor Autopano Video 3.0) 을 위해

사용할 C드라이브를 결정해야 합니다.

 

사진에서 왼쪽은 Intel 750 1.2TB 이고

오른쪽은 MX300 525GB 12개를(대략 11테라) RAID0 으로 묶어놓은 것입니다.

첫번째 궁금한점은 어떤 드라이브가 실시간프리뷰와 렌더링작업시에 더 빠른 것인가 입니다.

 

두번째 궁금한점은 위 사진의 2가지 드라이브의 용량차이가 10배가까이 납니다.

750을 사용하면 스크래치디스크는 따로 설정해야 하는반면에

사진의 오른쪽드라이브를 사용하면 용량이 넉넉해서 스크래치디스크를 따로 두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장점으로 될수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여러분의 고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OGm 2017-12
일단 대역폭만 놔두고 보자면은 1Gb 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네트워크 파일서버로도 8K까지 편집한다고 하니깐요.
문제는 용량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2테라HDD를 영상편집용 데이터풀로 사용중입니다.
실시간 프리뷰와 렌더링을 빠르게 하고싶으시다면요 SSD가 중요한게 아니라요
램, CPU, VGA가 중요합니다. 물론 그중에서도 CPU와, 램이 최고겠지요, 미디어 풀에서 불러와서 타임라인이나 워크스페이스에 불러왔을 경우 클립은 램에 로드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10기가의 램이 먼저 할당되어있구요 모자라면 더 끌어와서 사용합니다.
그다음에는 역시 CPU가 중요하겠지요. 어쨌든 렌더링은 CPU를따라가니깐요,

다빈치 리졸브 사용중인데요 GPU보다 CPU를 더 따집디다. GPU의 조건은 색상 보정의 조건만 충족하면 된다고 합니다.
램도 10기가 선할당 되게 셋팅 되어 있구요, 렌더링 돌리면 15기가정도까진 쓰는것 같습니다. 프리미어 프로도 크게 다를것 같진 않습니다.
CPU와 램을 빵빵하게 가져가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박문형 2017-12
돈만 된다면

영상 4K에 검증된 이런 장비를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http://www.accusys.com.tw/ExaSAN/
이선호 2017-12
어느정도의 영상을 몇개나 동시에 넣으며 편집할지가 중요하겠지요.
4k XAVCS나 fHD AVCHD급 영상이야 어떤걸 써도 남아 돌것이고, ProRes 등을 몇개씩 사용하실거라면 대역폭 고민을 하셔야하겠지만, 정말 웬만해서는 절대로 부족하지 않을 사양입니다.
제온프로 2017-12
빠른 속도는 2번

안정성과 관리 용의성은 1번..
refreshair 2017-12
말씀해주신 것들을 보고 생각해보니 그냥 750으로 가는것이 좋을수도 있겠네요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1785/5731
2015-12   1792640   백메가
2014-05   5267646   정은준1
2016-10   6147   공돌이에요
2009-07   6469   서울l승용
2012-09   6006   맙소사
2015-10   4924   rainyday
2016-10   4637   뽀뽀중
2019-02   3092   빅너굴맨
2023-03   2338   Commander
01-26   732   마츄
2012-09   4793   klein
2014-07   32596  
2020-04   6772   비누귀신
2023-03   2266   죠슈아
2015-11   4345   테드
2016-10   4569   여해i이상복
2017-11   9482   신은왜
2016-10   4336   죠슈아
2009-08   8436   강현섭
2017-11   4731   편한세상
2014-07   8629   handan
2020-04   4118   2CPUI김세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