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538 |
0 |
2014-05
523953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000 |
25 |
2015-12
1765000
1 백메가
|
64237 |
젠더가 좋을까요? 핫스왑이 좋을까요? (9) |
이상열 |
2006-02 |
5708 |
6 |
2006-02
5708
1 이상열
|
64236 |
옵테론 275 설치중 몇가지 질문입니다. (3) |
송영훈 |
2005-12 |
5708 |
5 |
2005-12
5708
1 송영훈
|
64235 |
[질문] 인텔 레퍼런스 945P/945 보드 920 호환여부 (1) |
한동훈 |
2006-01 |
5708 |
19 |
2006-01
5708
1 한동훈
|
64234 |
2466-4m 보드 관련 문의드립니다. (10) |
박우열 |
2006-03 |
5708 |
11 |
2006-03
5708
1 박우열
|
64233 |
시놀리지 에서 S/W RAID 사용시 하드디스크 웬디 그린 사용 (13) |
아르코 |
2016-04 |
5708 |
1 |
2016-04
5708
1 아르코
|
64232 |
[급] 메인보드 바이오스초기화 도와주세요 ㅜㅜz10pe d16 ws (4) |
scm123 |
2017-04 |
5708 |
0 |
2017-04
5708
1 scm123
|
64231 |
금시초문인데.. 아톰플랫폼이 보안에 취약하나요? (3) |
굴다리교 |
2009-03 |
5707 |
0 |
2009-03
5707
1 굴다리교
|
64230 |
4U 케이스에 쓸수있는 오버용 쿨러 |
박진국 |
2008-01 |
5707 |
13 |
2008-01
5707
1 박진국
|
64229 |
[질문] 듀얼코어와 싱글코어의 성능은? (수정) (2) |
윤영배 |
2005-11 |
5707 |
3 |
2005-11
5707
1 윤영배
|
64228 |
tyan 230 linux kernel 2.6.X 설치시 이상현상 문의 (4) |
김두홍 |
2006-08 |
5707 |
35 |
2006-08
5707
1 김두홍
|
64227 |
U-NAS + 아답텍 레이드카드 5805 쿨링 팬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6) |
미케네 |
2013-12 |
5707 |
0 |
2013-12
5707
1 미케네
|
64226 |
부두2 sli잘아시나요? xp에서 부두2 sli해서 디아브로2 띄워봤는데요... (9) |
김건우 |
2015-02 |
5707 |
0 |
2015-02
5707
1 김건우
|
64225 |
한개의 pc캐이스에 two pc가 가능한 제품이 나오나요? (3) |
유성모 |
2008-06 |
5707 |
20 |
2008-06
5707
1 유성모
|
64224 |
스미필드코어 써보신분 계십니까? (1) |
고윤철 |
2005-06 |
5707 |
11 |
2005-06
5707
1 고윤철
|
64223 |
DDR3(/L) 16GB 12800E 메모리가 있을까요?? (8) |
햇살한스푼 |
2017-02 |
5707 |
0 |
2017-02
5707
1 햇살한스푼
|
64222 |
Win10 복구방법 질문 (2) |
질풍 |
2016-05 |
5707 |
0 |
2016-05
5707
1 질풍
|
64221 |
Z620 HDD 추가장착방법은? (7) |
딸기대장 |
2016-03 |
5707 |
0 |
2016-03
5707
1 딸기대장
|
64220 |
리눅스에서 MySQL 설치 질문입니다. (9) |
김상일 |
2008-03 |
5707 |
11 |
2008-03
5707
1 김상일
|
64219 |
H8DCE windows 2003 32bit 설치 질문입니다. (3) |
김중희 |
2006-03 |
5707 |
13 |
2006-03
5707
1 김중희
|
64218 |
24인치 LCD와 20인치 CRT의 색깔에 대해서... (4) |
남궁일남 |
2008-04 |
5707 |
19 |
2008-04
5707
1 남궁일남
|
직원으로 4800만원짜리라면 ...
중소기업 과장에서 차장 정도?... (회사 형편에 따라 약간..)
회사 드는 부대비용까지 한다면 과장정도의 연봉이겠네요.
과장급이면 어느정도 프로그램 수준일까요?..
평사원이 저정도 급여을 받을려면 어느정도 수준에 도달 해야될까 그것도 궁금 해서요..
저정도 받기 원하면 어느정도 수준은 되어야 회사에서도 지급이 가능 하지 안을까요!..
단 주어진 시간 내에 오류없이 빠진 기능없이 납품하는 것은 공통입니다.
거기에 팀단위(2명 이상 인경우) 문제 발생시 리딩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PL(project leader) 라고 부른는 역활을 소화 해 내야 합니다.
구현 하려는 업무의 이해와 예상되는 문제점 파악도 있어야 합니다.
(없으면 만들지 못하죠. 리딩도 어렵습니다.)
프로그램 소스의 퀄러티(유지보수하기 쉽고, 다른 개발자가 보았을때 이해하기 쉽게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것)가 갖추어지면 더 좋겠지만,
조금은 부족하더라도 그것에 대한 고민도 하고 학습도 개인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책으로 설명된 내용들은 많지만 그게 실제 상황에서 만들기는 쉽지는 않더군요.(저는 반성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학습중입니다.)
초급 300만원 중급 400만원 고급 600만원 초고급 1천만원 정도가 적당 하지 않을까요?..
평사원4명 대리2명 과장1명 부서장1명
400군데 거래처만 확보 하면 가능 할듯 합니다..
아 회사 소득 세금 경비가 빠졌네요..
500군데 거래처가 되어야 겠네요...
https://www.sw.or.kr/site/sw/ex/board/View.do?cbIdx=304&bcIdx=38264
뭐 꼭 저 등급대로 다 받는건 아니지만 견적내면 M/M으로 보통 산출하니까요..
연봉이 4800만원이라고는 하지만,
완성도와 레벨에 따라서 많을수도 적을수도 있죠
그냥...일반적인 중소기업에서는 5~10년정도의 경력자일수 있겠지만,
그게, 완성도나...하는 일에 따라서 훨씬 높을수도 있죠
그러니...원하시는 레벨과 완성도가 높다면....좀더 높은 금액도 고려하셔야겠죠
누군가...그런말을 하더군요...
가성비가 좋지만.....그 금액대를 넘어서는 훌륭한 제품은 없다라구요
이게...사람을 고용하는쪽에도 해당될듯하네요
(물론....돈값 못하는 사람도 있긴하죠)
걍 IT관리직으로 가서 외국계회사 취업을 목표로 외국어 공부하시길 외국계 관리직 가성비 좋습니다
급여가 그냥그럼 복지좋고 휴가많고 한가합니다
저같이 스트레스 많은 금융쪽이면 경력직 10년차 넘음 대기업 않부럽습니다
그러니 정상적으로 두 발로 걸어 다니고 있다면 돈 벌로 있는 것입니다.
직급은
그냥 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