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 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조회 3868   추천 0    

 제가 사용 할려는 용도는 그냥 순간 정전에만 대비를 하려고 합니다.

사용하려는 컴은 2대 입니다. 거기에 dsa 2개 해서 각각 

http://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302555&BigDivNo=12&MediumDivNo=1210&DivNo=2963

요 제품으로 한대씩 2대의 컴퓨터에 각각 연결을 해줄려고 합니다.

제거 정확하게 이해를 한것인지는 모르겠지만은 ups 에 전원이 순간 적으로 나가면은.

자동으로 꺼지는 옵션이 있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래서 컴 마다 각각 연결을 해줘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컴퓨터는 각각 하드 20대 정도 연결 되어 있는 단순 데이타 서버 입니다.

큰용량 한개 보다는 위에 제품 2개로 각각 연결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http://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303562&BigDivNo=12&MediumDivNo=1210&DivNo=2963

아니면 요 제품에 컴2대 das 2대를 연결해도 괜찮은 것인지.. 

ups 에 대해서 개념은 알겠는데 각각의 작동에 대해서는 잘모르겠어서 질문 드려 봅니다.


추가로 

[APC] APC Smart-UPS, SMC1000I [1000VA / 600W]

[APC] APC Back-UPS,  BR900GI [900VA / 540W]


두 제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추가로 DAS 는 ubs 5베이 하드 랙 입니다. ^_^..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Fireyoon 2018-01
1.순간적으로 전원이 나가면 바로 꺼지는게 아닙니다.
  일종의 충전지로 전원이 나가면 "안전종료"를 위한 시간을 벌어주는 개념입니다만, UPS의 용량대비 컴퓨터의 전기 사용량이 충분할 경우 일정시간동안 동작하다가 UPS충전지 축전량이 몇%이하에서 종료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2.정전 뿐 아니라 불규칙한 전압에도 대응되기에 여러모로 컴퓨터나 주변기기의 수명을 늘려줍니다.
3.DAS가 원지 모르겠어서 답변이 불가합니다.
4.두 모델은 축전용량이 차이가 납니다.
5.용량 큰 제품 하나보다 저도 용량 작은 제품을 1:1로 묶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SpringValley 2018-01
das가.. 그냥 5베이 짜리 usb 하드랙 입니다. 두 모델은 그냥 단순한 축전 용량의 차이 인가요????
저도 큰 제품 보다는 1대1로 묶는게 좋을것 같아서 문의 드려봤습니다. .
아.. 주변 기기의 수명에도 영향이 가겠군요.. ^_^
          
Fireyoon 2018-01
제가 판매처가 아니라서...
스펙만으로 보면 그런것 같습니다.
저도 실 사용자 중 한명일 뿐입니다.
               
SpringValley 2018-01
아.. 판매처라고 생각해서 드린 질문이 아닙니다. ^_^..
오해하지 말아 주세요~
너무 멘땅에 헤딩을 하다 보니.. 답답해서 드린 질문입니다.
박문형 2018-01
옛날 모델에서는  Back-UPS 씨리즈는 재일 가격이 싸면서 UPS 상태를 컴퓨터에 모니터링하거나 UPS 보호를 위해 컴퓨터에 OFF 신호를 보내는 기능이

없는 가장 단순한 UPS기능만하는 제품군이 였습니다..

 Smart-UPS 씨리즈는 컴퓨터와 통신하여 UPS상태 모니터링 리모트 콘트롤등이 가능하였고 이더넷카드등이 옵션으로 있었습니다..

지금 나오는 신형 제품군은 기능이 Smart-UPS든  Back-UPS든 거의 흡사해보입니다..

하드를 20개 달아서 운용하는 컴퓨터라면 처음 킬때 전기를 마니 잡아 먹을터인데 그것을 견디는 용량의 제품이여야 할 듯하며

아마 사용하시는 파워가 1000와트 급이상이라면 여유를 두고 UPS는 2000 와트 급 이상을 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컴퓨터 파워 보다 용량이 적은 UPS라면 못 견디고 고장이 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물론 컴퓨터 파워가 1000와트라도 1000와트로 계속 돌아가지는 않습니다만)

그 외 UPS 받데리는 보통 납받데리(자동차받데리와 같은 종류)를 사용하기에 대략 3년에 한번쯤은 계속 상태를 보아가며 갈아 줘야 합니다..
     
SpringValley 2018-01
아 처음에 부팅 할떄 용량이 관계가 있군요. 파워는 1000와트를 사용 합니다.
그렇게 되면은 가격이 확 뛰든데.. 혹시 부팅시에 용량하고  ups 용량 하고 무슨 관계가 있는지 설명 부탁 드려도 될까요?
          
UPS싸이즈는 보통 Wh 입니다. 그냥 와트가 아니라 와트 아오~ (이소령처럼)
그러니까 밧데리가 얼마나 오래버티냐 그런거?

순간 전력은 또 다른 이야기이고요. 하드가 어떤게 20개가 달리냐에 따라서 좀 달라지긴합니다만 용량이 큰 3.5인치 하드나 RPM이 빠른 하드 등등은 개당의 맥시멈 피크가 5볼트에 4앰프 (그러면 12볼트에 2앰프 미만) 까지 될수있다고 하더군요. 물론 순간적인것입니다. 아주 잠깐 순간적인것이긴 하지만 무지하게 전류를 땡겨쓰는거지요. 그런게 20개가 있다면 좀 많긴합니다. 부팅때 피크를 칠 가망성이 높지요. 그래서 부팅시 용량을 얘기하신걸꺼에요.

1000와트짜리 UPS라도 써버에 물리면 그닥 오래버티지 못하기때문에 전기를 많이 먹는 장비에는 넉넉한 UPS를 넣어줘야죠. 근데 UPS라는것이 잠깐 버티고 잘 꺼주기만 하는것을 보조해주는거라면 1000와트짜리도 충분할것 같기는 합니다. 2000와트짜리는 정말 싸지가 않지요.
박문형 2018-01
APC 사이트 및 APC코리아 고객지원실에 문의하면 잘 상담해줍니다..


QnA
제목Page 1729/5708
2014-05   5139886   정은준1
2015-12   1674490   백메가
2018-02   4145   NeOpLE
2018-02   4435   서울l승용
2018-02   4274   삐돌이슬픔이
2018-02   3664   느낌
2018-02   3341   마고
2018-02   4281   전설속의미…
2018-02   3803   minsuk
2018-02   6485   캔위드
2018-02   6114   유남생
2018-02   4834   컴박
2018-02   4108   Sikieiki
2018-02   4083   PCMaster
2018-02   5053   QS왕통키손…
2018-02   6400   김현우1
2018-02   4021   PCMaster
2018-02   3820   김건우
2018-02   4853   초보IT
2018-02   4394   오현골
2018-02   3729   날개
2018-02   3217   Olo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