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코딩 기능이란게 2기가짜리 영상 스킵할때 딜레이를 줄여주나요?

진혼   
   조회 4184   추천 0    

 영상을 나스로보면 2기가짜리 영상

10분 간격으로 띄어 띄엄 누르면 그때마다 5초정도 기다려야되고 바로 안뜨던데


트랜스코딩은 그 딜레이를 1초로 만들어주나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봉래 2018-02
트랜스코딩은 그냥 실시간 인코딩입니다. 예전엔 모바일 기기에 맞춰서 인코딩을 미리 해놓는걸 지금은 그냥 실시간으로 하는거죠. 트랜스코딩이 잘 작동할지 여부는 연산력에 달렸으니 충분히 성능이 좋다면 더 빠르게 최적화 된 영상을 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인코딩 성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당연히 역효과가 나죠. 이건 지금 쓰시는 기기가 뭐냐에 달렸으니 한번 성능 확인해보세요.
     
진혼 2018-02
ds218play구매를했습니다
ds216j  사용중인데 별차이 없으면 방출하려구요 ㅠ
isaiah 2018-02
그 5초가 무었때문에 생기는 딜래이냐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이면 아마 클라이언트 쪽에서 버퍼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는게 원인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버퍼부터 팍 줄여 보세요...
     
진혼 2018-02
버퍼를 줄이는법있나요 DS218PLAY 시놀로지 기기라면요.
          
isaiah 2018-02
클라이언트쪽 플래이어에서 설정하셔야 합니다...
rhkddyd123 2018-02
5초 딜레이는 영상 재생을 위한 버퍼링인것은 알고 계실 것이구요.

트랜스코딩은 옵션에 맞게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는 것이라서
인코딩 + 버퍼링 시간만큼 딜레이 됩니다.
     
진혼 2018-02
네 버퍼링이요
그럼 사실상 체감차이는 크게 없을거 같은데 맞나요
          
봉래 2018-02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위에서 다른 분이 말씀하신거처럼 그 이유가 뭐냐에 달렸는데, 현재의 버퍼링 시간보다 인코딩 후 버퍼링 시간이 확실히 적으면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아니라면 체감이 없거나 오히려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버퍼링의 원인은 비트레이트 대비 전송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못해서 생기는 거고 트랜스코딩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비트레이트를 줄이므로 이 경우 버퍼링 시간은 당연히 줄어들지만 그 대신 인코딩 시간이 소요됩니다. 비트레이트를 충분히 줄이지 못하거나 인코딩 속도가 너무 오래 소요되면 당연히 체감 성능도 저하됩니다. 결국 현재 상황은 서버측의 성능과 재생하는 동영상이 무엇인가에 달렸다고 봐야 합니다. 물론 단순히 버퍼를 줄이는거도 방법이 될 수는 있겠지요.


QnA
제목Page 1833/5708
2015-12   1676598   백메가
2014-05   5142398   정은준1
2018-09   4201   회상2
2016-02   4201   이문영
2015-11   4201   초보IT
2019-06   4201   피버꾸
2016-04   4201   나파이강승훈
2019-03   4201   구차니
2018-05   4201   Win31
2020-07   4201   Ishaed
2018-07   4201   동행큐브
2014-08   4201   inquisitive
2015-09   4201   박문형
2017-08   4202   monet
2014-07   4202   정은준1
2013-12   4202   나우마크
2016-03   4202   심우철
2016-08   4202   클래식
2019-02   4202   Artofalgori…
2018-03   4202   Sikieiki
2015-09   4202   김진영JK
2016-08   4202   이지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