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895 |
25 |
2015-12
167589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260 |
0 |
2014-05
5141260
1 정은준1
|
43287 |
제온 x5470 과 아수스 p5q 보드 호환가능한가요 (5) |
동부 |
2015-02 |
5898 |
0 |
2015-02
5898
1 동부
|
43286 |
UNIWIDE S250케이스에 STL2 장착할수 있나요? (1) |
김용주 |
2005-06 |
5898 |
7 |
2005-06
5898
1 김용주
|
43285 |
IE에서 주소창에서 ctrl+alt+enter 가 안 먹습니다.... (2) |
유승욱 |
2009-05 |
5898 |
0 |
2009-05
5898
1 유승욱
|
43284 |
윈도우 서버 OPEN 라이센스 및 ExtConn 라이센스 업그레이드/유지 가능한가요 ? (2) |
캔위드 |
2017-02 |
5898 |
0 |
2017-02
5898
1 캔위드
|
43283 |
파워 수리 관련 (13) |
김재헌 |
2015-11 |
5899 |
0 |
2015-11
5899
1 김재헌
|
43282 |
컴퓨터의 다운 증상 문의드립니다. (4) |
최원식 |
2006-06 |
5899 |
6 |
2006-06
5899
1 최원식
|
43281 |
견적 부탁드립니다. (5) |
전근현 |
2009-09 |
5899 |
0 |
2009-09
5899
1 전근현
|
43280 |
2~4포트짜리 랜카드에 관한 궁금한 점 입니다. (3) |
황혼을향해 |
2012-01 |
5899 |
0 |
2012-01
5899
1 황혼을향해
|
43279 |
서버 RAID 관련 문의 |
고희용 |
2007-11 |
5899 |
7 |
2007-11
5899
1 고희용
|
43278 |
dell t7610 클로버 m.2 부팅 (5) |
앤드유저 |
2019-03 |
5899 |
0 |
2019-03
5899
1 앤드유저
|
43277 |
통화중 녹음기능 (5) |
철 |
2015-02 |
5899 |
0 |
2015-02
5899
1 철
|
43276 |
쿼드로 NVS 450 젠더 (1) |
방o효o문 |
2012-04 |
5899 |
0 |
2012-04
5899
1 방o효o문
|
43275 |
RAID 컨트롤러 등 구입 가능한 외국 쇼핑몰 추천 |
이제호 |
2008-04 |
5899 |
19 |
2008-04
5899
1 이제호
|
43274 |
3D 설계툴 배울수 있는 책좀 소개나 추천 바랍니다~ (3) |
백남억 |
2008-01 |
5899 |
13 |
2008-01
5899
1 백남억
|
43273 |
임플란트 비용이 75만원 인곳도 있던데...어느정도 가격이 적당한 가요? (11) |
늘파란 |
2017-06 |
5899 |
0 |
2017-06
5899
1 늘파란
|
43272 |
요즘 메인보드들 보면...몇가지 포트들이 없더군요.../ 그리고 듀얼채널 메모리 구성… (5) |
김건우 |
2007-11 |
5899 |
14 |
2007-11
5899
1 김건우
|
43271 |
3Ware 9650SE-16ML 드라이버를 다시 깔아보려고합니다. (13) |
장동건2014 |
2015-02 |
5899 |
0 |
2015-02
5899
1 장동건2014
|
43270 |
ESXi 성능 관련 질문입니다.(현재 Virtual Box 이용중입니다.) (4) |
근원e |
2013-11 |
5899 |
0 |
2013-11
5899
1 근원e
|
43269 |
5m정도 구간의 기가비트... (4) |
김민성 |
2006-06 |
5899 |
14 |
2006-06
5899
1 김민성
|
43268 |
옵테론 듀얼 구성 질문 드립니다. (4) |
baik seung … |
2006-01 |
5899 |
62 |
2006-01
5899
1 baik seung …
|
https://www.youtube.com/watch?t=60&v=avP5d16wEp0
학교 다닐때 리눅스 ftp 서버 만들어 놓고 anonymous 쓰기 권한을 열어 놓으니까.. 쏠쏠하게 데이터들이 차곡 차곡 쌓여주시는 신비로운 경험을 했던게 생각나네요. 독일 애들이던데..
네트워크 레이드같은 방식도 사용하고, 구글애들은 절대 비싼 서버 안쓰는 애들입니다.
싼거 여러대 분산해서 처리한다 는게 기본방침입니다.
당연히 PC급 입니다.
물론, 관리용 장비나 PC기반 서버를 제어하는 장비는 서버를 사용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