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내장그래픽 사용시 온도질문입니다.

안지야   
   조회 5921   추천 0    

 안녕하세요 회원여러분들.

한가지 질문이 있어서 문의를 드립니다.

제가 35w 짜리 i5노트북에 45w i7 cpu로 교환을 했는데요.(3세대)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온도도 70도를 넘지 않고요. 70도도 아이다64로 안정성검사할때나 가능하지

보통은 55도 언저리입니다.

그런데 내장그래픽으로 게임을 돌려봤는데 30분정도지나니 100도에 육박하는 온도를 보입니다.

내장그래픽 사용이 아무래도 코어내부에서 이루어지기때문에 온도를 높이는건 아닐까 하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렇다면 외장그래픽 사용하는 모델이라면 동일조건에서 온도변화를 줄일수 있는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입니다.


제가 아이비 노트북만 두개라서요 하나는 외장그래픽이 있는 모델에 35w i7 3632qm 이고 하나는 상기한 45w i7 내장그래픽 모델인데

위의 질문과 같이 외장그래픽의 사용이 cpu 전체의 온도를 낮출수 있다면 서로 cpu를 교환해볼까 해서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닷.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OGm 2018-03
일단.... 제가 얼마전까지 극한 발열의 랩탑을 썼었습니다.
i7-2920xm+ quadro 2000m.
한쪽이 뜨거워지면 다른쪽도 같이 뜨거워 집니다. 도루묵이에요...
히트싱크를 하나만 쓰는 노트북은 어쩔 수 없습니다.
일단 i5사용시 문제가 없으샸다면 쿨러가 역부족이라는 말이 되겠구요,
제가 보기에는 부딛혀 보는게 답일듯 합니다..
     
안지야 2018-03
히트싱크를 하나만 쓰기 때문이라!! 가 근본원인이겠네요.
생각도 못했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해보는 수밖에 없겠네요.
김제연 2018-03
그냥 .. 게임을 해서 cpu 를 많이 써서 올라가는것 같은데요?
게임할때.. cpu 몇프로 사용하나 보시고 ... 온도 측정 하신뒤에
게임 안하고 ..cpu 만 연산 시켜서 온도 측정 해보세요 ..
비슷비슷 하지 않을까요 .. gpu 쓸때 조금 높긴 하겠지만요 .
100도가.. 외장그래픽 쓴다고 60~70도로 내려가진 않을것 같습니다.
맑은부철 2018-03
원래 노트북 cpu  tdp가 100도로 알고 고려려니  하고 사용합니다 게임을 안해서 가끔 팬이돌며 훈훈 바람이 나옵니다
엘리트북  3820  3840qm  두종류 씁니다
써멀 mx4  1년에 한번 재도포하니 조용한 편입니다
     
양철괭이 2018-03
+1
애증의 아버님 노트북이 발열 때문에 다운 증상이 있었는데 칩셋부터 CPU쪽까지 기존 서멀을 닦아내고 재 도포하니 증상이 사라졌습니다.
김준연 2018-03
일단 해당 노트북 PC에서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인증한 CPU에 TDP 45W짜리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이게 없다면 35W에 맞춰 냉각 시스템을 맞춘 것이기에 과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다시 CPU를 바꾸는 것이 최선이기는 합니다.


QnA
제목Page 3564/5708
2014-05   5141109   정은준1
2015-12   1675764   백메가
2013-04   5906   하얀쥐
2019-03   5906   맑은여름
2008-02   5906   김건우
2005-10   5906   김익태
2016-06   5906   SuperAngel
2005-05   5906   박성민
2007-10   5906   문양호
2008-05   5906   이문흠
2012-07   5906   마이코코
2011-05   5906   가빠로구나
2012-11   5907   MemoryDB
2018-04   5907   MnkRed
2005-05   5907   김건우
2005-11   5907   김지환
2017-04   5907   캔위드
2017-01   5907   lovin09
2008-10   5907   윤치열
2007-06   5907   하창석
2015-01   5907   수필처럼
2012-03   5907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