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를 장기 백업을 대체할 매체가 있을가요?

란티아   
   조회 5821   추천 0    

 

안녕 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현재 사무실에서 사용중인 NAS의 데이터를 백업할까 합니다.


계획은 HDD로 1차 백업을 한다. 

그리고, M-DISC를 이용해서 2차 백업을 한다.


이렇게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이 M-DISC라는 걸 한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걱정은 됩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기존의 M-DISC라 적혀있는 DVD-ROM에서 작업이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과연.... 가능할지.. 걱정이 되구요.


혹... 


다른 방법의 저장방법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HDD를 장기 보관 가능하다는 분들과 어렵다라는 분들로 의견이 나누어져 있더군요.


제가 이야기 하는 장기라는 기간은 최소 10년 이상을 이야기 합니다.

저희가 작업하는 파일들이 다 디자인파일들이라 엄청 귀중합니다.

최소 10년 이상을 보관할만한 매체가 뭐가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란티아 2018-03
아.. 클라우드로의 관리는
데이터 압박으로 힘들듯합니다..
보통 저희의 작업 파일의 용량이 1GB~4GB사이가 됩니다.

그래서.. 클라우드로의 백업은 가격적인면에서도 좀 힘들지 않을까합니다.
이규섭 2018-03
LTO5 DAT 백업이요.
TRUE 2018-03
테이프 라이브러리와 Amazon Web Services 의 Glacier 가 적당할 것 같습니다.

https://namu.wiki/w/Amazon%20Web%20Services#s-3.2.4
송주환 2018-03
전체 데이터 크기, 데이터 증가 속도, 데이터 열람 빈도 등의 요소를 고려해서 백업 계획을 세우셔야 할 듯 합니다.
epowergate 2018-03
백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중에 하나는 담당자가 익숙해야 합니다.
복구 과정이 너무 복잡하거나 아니면 잠껼에도 복구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익숙하지 아니면 좋은 백업 방법이 아닙니다.
그냥 간단하게 배워서 백업하면 실제 장애발생했을때 복구하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M-DISK라는 솔루션에 익숙하지 않으시면 사용하지 않는게 좋을꺼라 생각됩니다.
catstyle 2018-03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M디스크를 고려하시는걸 보았을때
SSD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쓰기 작업이 반복되지 않는 단순 백업이라면 방습제와 함께 보관하면 장기 보존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무아 2018-03
ssd는 전원 제거 상태로 오래 두면 데이터가 더 빨리 날아간다고 들었습니다. (ssd 란게 조그마한 공간에 전하를 가두어 두는 것이라서 보존에 매우 취약하죠.)
한편, 전원이 들어와 있으면 펌웨어에서 오랬동안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하여 옮겨쓰기(일종의 refresh) 같은 작업을 몰래 몰래 해준다고 하던데요.

http://www.dell.com/downloads/global/products/pvaul/en/Solid-State-Drive-FAQ-us.pdf
문서 (6쪽)에는 아래와 같은 말이 있네요. 요즘 유행(?)인 TLC ssd 라면 백업용으로 썼다간 큰일날 겁니다.

6. I have unplugged my SSD drive and put it into storage.  How long can I expect the drive to retain my data without needing to plug the drive back in? 
It  depends  on  the  how  much  the  flash has  been used  (P/E  cycleused),  type  of  flash, and storage temperature.  In  MLC  and  SLC,  this
can  be  as  low  as  3  months and best  case  can  be  more  than  10 years.  The retention is highly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workload.
봉래 2018-03
백블레이즈 같은 전용 백업 솔루션도 있지요..
캔위드 2018-03
저도 한때 엄청나게 고민했던 이슈네요.
결국 가격때문에 M-DISK는 포기했습니다.

요즘엔 싸졌나 싶어서 다시 검색해 봤더니 HDD는 기가당 30월 꼴인데
M-DISK는 아직도 기기당 560원꼴... 거의 20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
거기에 M-DISK 한장에 정확하게 꽉 담을수가 없을테니 낭비되는 공간까지 계산한다면 용량대비 차이는 실제로는 훨씬 더 나는 것이고요.

그래서 저는 그냥 스토리지 두셋트를 추가 구성해서 3차까지 백업하는걸로 결론 내리고 여태까지 잘 쓰고 있습니다.
ASR-71605가 EBAY에 배송비 포함 20정도에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이것을 기반으로 해서
기본 저장공간은 HDD 8개 RAID 5로 구성하고 (메인)
장기 저장공간은 HDD 8개 RAID 5 (1차백업) + 기타 저장소 (3차백업)으로 구성입니다.

참고로 케이스는 이걸로 했고요
http://2cpu.co.kr/freeboard_2011/846786
장터등에서 파는 서버로도 구성 가능하고 실제로 그렇게 했을때 비용이 제일 적게 나오긴 하지만
문제는 소음을 견딜수가 없다는 것이죠.. 조립을 하면 조용한 파워를 꼽을 수 있으니까요..

아무튼 이렇게 24베이 케이스 (40) ASR-71605 (20) + 보드, CPU, 파워, HDD다수를 적절히 구성하면 나름 저렴하게 구성 됩니다.
속도도 장터에서 멜라녹스 10G랜카드 5정도인가 저렴하게 잘 구하시면 복사속도도 초당 1G씩 나오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고 세월이 가는만큼 HDD용량도 커지고 있으니 3~5년정도 텀으로 기존 HDD 중고로 처분하면서 용량 늘려서 교체하고 하면 되지요.
이윤주 2018-03
저는 DVD-RAM을 사용합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사용한거 같은데 아직도 이상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충 30여장 갖고 있는데 험하게 다룬 1장만 외관적으로 불안한거 같은데 사용은 이상없습니다.
REWRITE가 가능하기 때문에 1-2장 외에는 몇년에 한번씩 재기록으로 사진등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처음나올때는 100년간 보관이 가능하다고 했던것으로 기억됩니다.
이상하게도 사용하는분들이 많지 않은거 같습니다.

카트리지타입으로 사용되는데 처음에는 SCSI방식CD-ROM이 있었지만 지금은 아예
구할수가 없어서 실사용시에는 카트리지를 열어서 알맹이만 사용하고 다시 카트리지안에 조심히
넣어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카트리지안에 넣어서 보관하니까 보관도 잘되는거 같습니다.
주로 양면 9.4기가 사용합니다.
무아 2018-03
어디서 봤더라? 아카이빙 전용 클라우드도 있습니다.
데이터 저장 요금은 무지무지무지 싸고 나중에 꺼내는 비용이 꽤 비싼 방식입니다.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한 백업이라면 (평소에 1 2 차 백업은 충실히 하는데 1 2 차 모두 유실 될 떄 쓰면 딱 좋은) 괜찮은 방법일듯 합니다.
아.. 그게  TRUE 님이 말한  Glacier 로군요.
란티아 2018-03
답변 주신 모든분께 감사드립니다.

어제 저녁에 M-DISC 25GB 25장, 3TB HDD 3개 (WD Blue)
이렇게 구매를 했습니다.

테스트용으로 4월초에 백업을 진행하면서, 저도 백업 스케줄을 잡을려고 합니다.
디자인작업들이라서 완료된 작업 위주로 HDD백업, M-DISC백업 2차 백업을 진행 할려고 합니다.

M-DISC의 가격이 조금더 착하면 좋을텐데라는 아쉽움이 없지 않더군요.
HDD는 백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아예 충격 및 습기로부터의 보호할 예정이라서
좀 저렴한 놈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답변에 주신 자기테이프에 대해서도 검색을 했습니다.
LTO-7 이라는 놈이 아마존에 판매를 하더군요.
가격이 중고가 거의 운송비가 포함일지는 모르겠지만.. 뭐 부가적인거 포함하면 300만원 정도가 될듯하구요
새제품이 3,709달러 정도니...  ㅋㅋ  블랙프라이데이를 노려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ㅋㅋ
테이프는 15TB 하나에 약 8만원 정도 ...

테이프는 M-DISC & HDD의 백업 후 백업 스케줄을 설정 후..
가격이 조금 착해지면..  도전을 해봐야 겠습니다.

아직 클라우드에 대해선.. 제가 초보라서.. 아직 검토를 해보진 못했습니다.

혹.. 좀더 조언을 해줄실께 있으시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viper9 2018-03
위에 리플 중에도 있지만 AWS의 Glacier가 정답일듯합니다. 딱 그런 목적으로 나와있습니다. 대규모 자료를 오랜 기간 보관하는게 목표입니다.

https://aws.amazon.com/ko/glacier/

서울리전으로 1기가당 월 0.005달러입니다. 1테라에 5달러입니다. 3테라 하드디스크 3개를 구입하셨다고 하니 백업할 데이터가 10테라라고 치면 약 50달러정도입니다. 한화로 6만원.

매월 6만원씩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아마 글래이셔 이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방법은 없지 않을까 싶네요.

하드디스크나 기타 장치들은 이게 문제가... 저장매체는 멀쩡하더라도 해당 장치들이 고장나거나 미래에 나오는 컴퓨터들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할수도 있어서요.


QnA
제목Page 1714/5731
2014-05   5267562   정은준1
2015-12   1792543   백메가
2019-06   3639   2cpumem
2010-08   8891   95GSR
2010-08   10926   유호준
2013-07   5632   김호성
2020-09   3414   새로운차원
2010-08   10938  
2013-07   6017   장동건2014
2014-12   3766   테돌아이
2022-02   3380   meviesta
2022-03   2072   짱짱맨
2016-03   5232   강물처럼
2017-02   5383   김현린
2017-02   3887   나파이강승훈
2018-05   7081   블루모션
2015-01   4378   병맛폰
2016-03   4052   신은왜
2022-03   1811   화란
2010-10   28694   삽질매니아
2010-10   6015   김건우
2016-03   7493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