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639 |
0 |
2014-05
526763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631 |
25 |
2015-12
1792631
1 백메가
|
80363 |
LVDS 커넥터의 용도는? (5) |
마이코코 |
2013-05 |
16010 |
0 |
2013-05
16010
1 마이코코
|
80362 |
이 브랜드 어디것인가요? (6) |
AplPEC |
2017-01 |
4427 |
0 |
2017-01
4427
1 AplPEC
|
80361 |
사무실 간단사무용 PC 회원님들 선택은? (7) |
눈부신아침 |
2022-01 |
2164 |
0 |
2022-01
2164
1 눈부신아침
|
80360 |
[INTEL] EXPI9301CT (10/100/1000 PCI-E 카드) 랜카드 드라이버 다운은어디서.. (2) |
백승철 |
2010-05 |
17554 |
0 |
2010-05
17554
1 백승철
|
80359 |
도시바 하드 성능관련... (4) |
metaljw |
2013-05 |
12958 |
0 |
2013-05
12958
1 metaljw
|
80358 |
cpu 질문입니다 (6) |
이정근 |
2010-05 |
6766 |
0 |
2010-05
6766
1 이정근
|
80357 |
VMware에서 Removable Devices로 USB 랜 연결이 잘 안되요... |
정의석 |
2019-05 |
3583 |
0 |
2019-05
3583
1 정의석
|
80356 |
아이맥 와이파이로 크롬에서 다운로드 할 때... 속도... (3) |
회원 |
2023-08 |
1764 |
0 |
2023-08
1764
1 회원
|
80355 |
hyperv 에서 마우스커서 vm 빠져나가는 키가 있을까요?? (2) |
공백기 |
2022-01 |
4040 |
0 |
2022-01
4040
1 공백기
|
80354 |
(해결됨) Dell H200 이 14TB 지원하나요? (4) |
통통9 |
2020-08 |
4447 |
0 |
2020-08
4447
1 통통9
|
80353 |
dell r310 메모리 문의 드립니다. (7) |
ittutti |
2014-11 |
5407 |
0 |
2014-11
5407
1 ittutti
|
80352 |
Dual E5620과 980X 비교 부탁드립니다.(렌더링관련) (4) |
오정균 |
2010-06 |
7977 |
0 |
2010-06
7977
1 오정균
|
80351 |
OpenVPN Site-to-Site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2) |
뽕무 |
2020-08 |
4590 |
0 |
2020-08
4590
1 뽕무
|
80350 |
이런퓨즈는 어디서구하죠...;; (11) |
이규민 |
2014-11 |
26780 |
0 |
2014-11
26780
1 이규민
|
80349 |
771 소켓 보드 FSB 관련 (1) |
Nikon |
2013-06 |
9610 |
0 |
2013-06
9610
1 Nikon
|
80348 |
gen8 옥탑방 사용시 (2) |
라이젠 |
2016-02 |
3972 |
0 |
2016-02
3972
1 라이젠
|
80347 |
Z9PE-D8 WS 리눅스??? (10) |
izegtob |
2016-02 |
4772 |
0 |
2016-02
4772
1 izegtob
|
80346 |
시스템을 종료한 이후에도 파워팬이 계속 돕니다! (8) |
오이도슬레… |
2019-06 |
5887 |
0 |
2019-06
5887
1 오이도슬레…
|
80345 |
[문의] NFC 카드를 해외구매했을 때, 관세나 전파인증은 어떻게 될까요? (2) |
한여름밤의꿈 |
2014-12 |
6123 |
0 |
2014-12
6123
1 한여름밤의꿈
|
80344 |
Xpede 전동식 빨래 건조대고장 한번 봐주세요 (6) |
starname |
2019-06 |
13884 |
0 |
2019-06
13884
1 starname
|
게임은 쿼드정도에 고클럭이 유리하고
오피스작업에는 다중 사용이 아닌이상 무조껀 클럭입니다.
오피스 목적의 CPU라면 상기 두 모델에서 [2]번을 선택하는게 좋다는 말씀이신거죠?
답변 감사드립니다^^
오피스용도는 그냥 단가 따라가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i3계열정도면 오피스용도로는 상타치는거죠...
이미지 없는 엑셀용량만 30MB 이상이며.. 다량의 함수/수식/매크로 등이 들어가있습니다.
특히 배열함수가 많다보니.. 엄청난 부하가 걸립니다.
참고로 저 위의 CPU는 예시로 든겁니다.
(ex : 엑셀 시트 48개, 엑셀 파일 일반적으로 약 70여개 작업)
i7-4790 16GB - 불만 - 단일처리시에는 이상 없으나 여러 작업 동시 실행시 전반적인 퍼포먼스 하향
e5-2670 16GB - 불만 - 다중처리시에는 4790보다는 빠르지만 전반적 퍼포먼스는 4790에 비해 느림
현재 i7-5960 - 불만 - 성능으로는 만족 하지만 가격이 불만 사무용에 200만원이 넘는 컴퓨터 쓴다고
대표한테 한소리 들음....
결론 : 어찌됐던 결론은 모든게 불만족스럽다는것입니다.
현실과 타협하시는편이.....
즐거운 오후되세요 감사합니다.!
파일 메뉴> 옵션 명령> 고급 옵션> 수식 섹션. "다중 스레드 계산 사용" 확인해보시구요,
"모든 프로세서 사용 ..."도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최신버전에 64비트버전을 쓰시는것이 멀티코어 활용에 유리합니다.
이런 옵션이 있는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직도 듀얼코어 고클럭이 프레임 더 잘 나오는 경우도 있고, 다중코어 (보통 쿼드 헥사 ) 가 잘나오는 경우가 있다
게임이 아닌 오피스때문에 이 질문을 드렸습니다 ^^;;
다중코어가 오피스 2010 부터는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짧은 연산이나 초기 구동은 클럭빨로 커버 됩니다.
사용 설명서를 읽어보시는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게임이 아닌 오피스때문에 이 질문을 드렸습니다2 ^^;;
사용자 정의 함수(단, XLL 함수는 다중 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음)
XLM 함수
format2 또는 address 옵션을 사용하는 INDIRECT, CELL 함수
피벗 테이블이나 큐브를 참조하는 GETPIVOTDATA 또는 기타 함수
Range.Calculate 및 Range.CalculateRowMajorOrder
순환 참조 루프의 Cell
위 연산은 다중 스레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Core / Clock 의 선택은 저 명령어의 기준을 따르시면 될 거 같네요
함수별로/기능별로 다중스레드 사용유무가 갈리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uGqPk8r2wGI
https://carywalkin.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