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 CPU를 구매하려고하는데요, 인식 질문드립니다.

유남생   
   조회 5653   추천 0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ES CPU를 구매예정입니다..

현재 1366 5675 듀얼로 2대를 쓰는데 감당이 전기세가 감당이 안되서..

V2 계열로 갈려고하는데요. CPU를 ES로 구매하려고하는데,

찾아보니 보드에 인식이 안될수도 있다고 하여서..많이 걱정스러운데요.

혹시 인식이 되는지 안되는지 구매하기전에 알수있는방법있을까요?

회원님들은 어떻게 구매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구매하는거는 E7 계열입니다..V2

하이여옹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될 확률이 70% 입니다..

판매자에게 가능한 보드 모델을 물어 보는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정상적인 CPU 하나도 필요하다는 단점도..
     
유남생 2018-04
아 테스트해볼려면..그러겠네요............아 혹시요
E7 계열 시피유.. 빅타워에서 쓸수있나요? 거이다 랙타입에 들어가있어서..궁금했습니다!
          
이규섭 2018-04
E7 빅타워용 보드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
비행기 소리나는 랙타입뿐입니다.
               
유남생 2018-04
으악 왠지 싸더라구요...ㅋㅋ
박문형 2018-04
V1/V2 단종된지가 언제인데..

지금 초창기 ES를 구하려 하시는지요??

사실 V3/V4도 단종 들어가긴 했습니다..

보드 구하기가 더 어려울 것입니다..
     
유남생 2018-04
아 집에 디알3 램이 너무많아서..돈좀 아껴볼라고 ㅠㅠ v2 계열로 정했는데... v3,4 가는게 나을까요? 흑 디알4 너무 비싸네요..
          
박문형 2018-04
꼭 서버 쓸일이 아니라면 싱글 고클럭 i7으로 가는 것도 답입니다..

DDR3 가 이번년도 1분기인가 2분기 안에 단종시킨다는 소문을 들은 적이 있네요..

사실 새 제품 DDR4가 DDR3 보다 좀 쌉니다.. (같은 용량 PC급에서)
               
유남생 2018-04
앱플레이어 많이돌리는 용도로 쓰는지라.. 많은 코어와 쓰레드가 필요로 해서요...! 1366 풀로드로 돌리는데 전기세 토나오게 많이나오네요 흑흑
이규섭 2018-04
전기요금 때문에 E7을요???
더 나오면 더 나왔지 덜 나오진 않을겁니다.
     
유남생 2018-04
결국 E5로 가야할까요?^^...고민이 많이되네요.. 전기세 많이나오니 와이프 눈치가 너무 보입니다..
          
이규섭 2018-04
무슨 작업 하시나요?
전기아끼려면 인텔 7900x계열이나 AMD 스레드리퍼를 사세요.
               
유남생 2018-04
모바일게임 앱플레이어 많이키는 용도로 쓰고있습니다..^^
                    
이규섭 2018-04
그렇다면 이전세대 제품 가면 안되죠.
인텔 7900XE 계열과 스레드리퍼 1950X가 E5-2690v2 듀얼보다 훨씬 더 많은 개수를 돌릴 수 있습니다.
                         
유남생 2018-04
오잉 그런가요? 스레드리퍼가 16코어 32스레드인데..
2690V2 듀얼이면 20코어 40스레드인데.. 수치상은 제온이 우세이지않나요?궁금합니다!
                    
이규섭 2018-04
네 20코어 40스레드인데 메모리 레이턴시도 짧고
스레드리퍼의 클럭당 성능비는 브로드웰 v4 급입니다.
 현시점 가상화용에선 전성비 끝판왕입니다.
전기 1366소켓 5690한개어치정도밖에 안먹습니다.
                         
유남생 2018-04
오오...! 전기세는 어마어마하게 적게먹네요!
무조건 코어랑, 스레드수만 많다고 프로그램을 많이돌릴수있는게 아닌가보네요.
박문형 2018-04
+100

단 AMD 는 개인적으로 비추..

지금 1366 시스템들이 메모리 128기가씩은 되나요??

64기가 이하라면 i7 시스템으로 어찌저찌 가능합니다..

그리고 클럭빨이 중급 이상이면 4기가때가 넘어가기에 1366시스템이 넘어보지 못하는 클럭이 되어 버리죠..
     
유남생 2018-04
1366 두대는 각각 96기가씩 셋팅되어있습니다.ㅎㅎ
클럭빨은 2기가헤르쯔면 될거같습니다.

지금 원하는게.. 저클럭에 많은코어와 스레드면 좋을거같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제온계열로...! 찾아보고있네요ㅠㅠ!
          
이규섭 2018-04
원래 쓰던 메모리 활용하고 싶어하시는 듯 합니다.
2690v2나 2696v2 듀얼로 맞추면 얼추 그 두대 수준 가까이 될겁니다.
아이비브릿지가 전력소모가 적다는 생각만 버리시면 됩니다.
2690v2 듀얼이 5675 듀얼보다 최소 1.5배는 더 먹습니다.

전기요금 생각하신다면 무조건 최신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유남생 2018-04
전기세 더먹는건 상상도못했네요...그냥 기존 컴퓨터는 다 팔고
스레드리퍼나 V3,4 계열로 가야겠네요.. 너무고맙습니다...!
     
이규섭 2018-04
다른건 몰라도 앱플레이어용 다계정 머신은 AMD가 대세에용.
          
박문형 2018-04
AMD는 나중에 A/S나 호환성 문제를 항상 가지고 가기에

잘 쓰는 사람은 문제 없지만요..
pain 2018-04
씨네벤치 점수
스레드리퍼 1950x 3000점
제온 2690v2 2way 2800점
     
유남생 2018-04
스레드리퍼가 어마무시하네요..
박문형 2018-04
그리고 전력 채크하는 멀티탭을 구비하셔야 할 듯합니다..
     
유남생 2018-04
아 스마트 플러그는 있어요!! 한대당 480와트 나오더라구요ㅡ.ㅡ..
박문형 2018-04
1대당 200-300와트 급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셔야 할 듯합니다..
     
유남생 2018-04
네...메모장으로 와이프한테 절대 끄지말라고 편지까지 쓰네요...
전기세 나와서 눈치보여죽겠슴돠...
7980x가 땡기긴하네요.ㅎㅎㅎㅎ
이규섭 2018-04
참고로 1060 6G 정도의 글카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스레드리퍼 1950X 머신의 풀로드(CPU, GPU 둘다) 전력소모는
대략 350W 선에서 정리됩니다.

7980XE나 7920X는 3열 수냉쿨러 없이 사용못합니다.
     
유남생 2018-04
현재 한대당 400~480와트 나오는데..
성능이 두배군요. 스레드리퍼하면......
참 가격이 비싸네요 ㅎㅎㅎㅎㅎ
와이프눈치좀 보다가 괜찮으면 지르고...카드 안주면 V3,4계열로 가야겠네요..
혹시 궁금한게 하나있는데..
DDR3.4 두 램의 차이가.. 앱플레이어 다중작업에 영향을 많이 끼칠까요?
늦은 밤 죄송합니다..^^
          
이규섭 2018-04
DDR3 / DDR4 다중작업시 엄청나게 많이 차이납니다.
그나마 저렴하게 다코어 누리시려면 위 방법 외에
v3급에서 중고 2683v2 가 있습니다.
나머지 v3 / v4 시퓨는 좀 쓸만하면 개당 스레드리퍼 가격입니다.
               
유남생 2018-04
ㅎㅎㅎ그렇군요...! 제온쓰면 그래도 램값에서 많이 아껴지지않을까 싶네요..
2683 V3 보드랑 셋트로 있는걸 사는게 낫것네요.
이하나 2018-04
v2 es는 그냥 v2보다 훨씬 구하기 어려울 겁니다.
게다가 안정성도 떨어져서 오래 켜놓는 작업에 비추에요.
es 2개 붙여서 돌아가는 보드는 구하기 진짜 힘들겁니다.
장기간 켜놓을 컴퓨터는 무조건 신제품이 좋아요.
     
유남생 2018-04
그렇군요.. v3 계열로 가는게 좋을듯 합니다.^^
          
이규섭 2018-04
v3도 신제품은 아니죠.
그리고 아직 가격이 비쌉니다.
          
이하나 2018-04
V3하고 신제품하고도 성능 차이가 꽤 큽니다. 진짜 오래돌리고 그걸로 수익 창출 등이 있다면 무조건 신제품 추천합니다.
박문형 2018-04
간단히 메모리로만 보면

DDR3 일반적인 최고 속도를 12800이라고보고

DDR4 현시점 일반적인 최고 속도를 19200 이라고 보면

대략 1.5배로 DDR4가 빠릅니다..

전압도 DDR3 1.5볼트 DDDR4 1.2볼트인지라 적게 먹는다고 볼 수 있고요..
     
유남생 2018-04
아 그러네요...지금 10600인데..ㅎㅎㅎ전기도 많이아껴지는군요..
이규섭 2018-04
성능 유지/소폭상승시키면서 세팅비용, 전기요금 둘다 확 낮추는 가장 저렴한 방법은
8코어 16스레드인 라이젠 1700 + B350 + 64GB 세팅을 두 대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라이젠1700의 가상화 성능은 매우 우수하며 VGA빼면 시스템 전체 전력소모 150W 선에서 정리됩니다.
     
유남생 2018-04
지금 사실..컴퓨터 두대를 갖다놓으니..아내님이 눈에서 레이저를 자꾸 쏘셔서....ㅋㅋㅋㅋㅋㅋㅋㅋ
두대를 묶고싶은 생각이 아주 크네용 ㅎㅎㅎㅎㅎ
          
이규섭 2018-04
근데 대체 몇개를 돌리시나요?
               
유남생 2018-04
현재 1366 두대인데요.. 총 40개 돌려요.. 대당 20계정씩..매크로도 20개씩요..
                    
이규섭 2018-04
리니지M의 경우 참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라이젠 1700, 64GB메모리로 20개가 돌아갑니다.
참고로 어떤 세팅을 맞추든지간에 단일머신 40개는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남생 2018-04
라이젠 1700으로요????.....저는 리니지2여서.. 다른가...흠
아마도 그냥 앱플레이어만 띄웠을경우 일겁니다...
매크로 자체가 외부 매크로로 쓰는거라.. 꽤무거워요ㅠㅠ
같은 혈원중에 1700쓰는사람있는데 14개 + 매크로14개에서 리미트 걸린다고 하더군요..ㅠㅠ
                         
이규섭 2018-04
아 레볼루션이군요.
리니지M이 사양이 좀 더 낮아서 가능한듯합니다.
근데 어차피 40개 단일시스템으로 돌릴수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다시 두대로 가시는게...
아니면 몰래 ITX 시스템 4대로 돌리시는것도. 흐흐
                         
유남생 2018-04
4대 하기엔 제가 그정도 지식은 아니여서....ㅋㅋㅋㅋㅋㅋㅋㅎㅎㅎ
               
유남생 2018-04
오해하실까봐..작업장은 아니고...혈 군주입니당...
               
유남생 2018-04
아까 말씀해주신 2683이 참 괜찮은거같네요..
고클럭은 필요없어서 딱 알맞는거같습니다.ㅎㅎ
케리건 2018-04
저도 1366쓰는데 제 보드의  끝판왕쓰시고 계시네요.
5675사려고 알아보고있는데, 아이들시 전기는 몇와트나먹나요?  메모리는 10600으로 64 정도 맞츄려준비중인데...
     
유남생 2018-04
평균적으로 램 72기가 쓸때는 400와트정도..
96기가 올리고 더 갈궜을때는 480와트까지 나와봤습니다 ㅎ
물론 최신이 좋지요 헌데 가성비가~~
ddr3 reg쓰다가 ddr4넘어가는순간 가격부터해서최신시피유메인까지하면 후더더더덜나오죠
     
유남생 2018-04
메모리가 후덜덜 합니다ㅡ.ㅡ
디알3 8기가 2.5만원주고샀는데..
거기다 v3 가니 예전처럼 램슬롯이 많지가 않아서
16기가로 도배해야하는데 가격이 엄청 나군요..
전기야 어차피 많이먹는다고생각하시고 넘어가세요
램많을수록 전가 엄청먹는건당연합니다~
진짜 가성비겸 성능비라면 v2듀얼로가는게좋죠
램 슬롯이 16개라 그냥맘대로꼽고 ddr3 reg가 현상태에는 그래도 제일부담이없죠~
듀얼로쑤면 성능도 그렇게 많이후달리는것도아니구요~
알파고 2018-04
*비밀글입니다
     
유남생 2018-04
쪽지주세용


QnA
제목Page 1690/5724
2015-12   1762959   백메가
2014-05   5237284   정은준1
2018-04   4061   석호
2018-04   4949   미나리나물
2018-04   4923   티푸르
2018-04   8182   송진홍
2018-04   4542   빠시온
2018-04   3755   이원재K
2018-04   4361   석호
2018-04   3532   김병철
2018-04   5198   다롱이
2018-04   4466   이실
2018-04   3945   김주현
2018-04   4366   epowergate
2018-04   6363   안규민
2018-04   4082   김주현
2018-04   4134   노종현
2018-04   3330   전설속의미…
2018-04   4202   새총
2018-04   3460   새총
2018-04   3864   DTKim
2018-04   4550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