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백업스토리지 구축 쌩초보 조언...

김영기   
   조회 4446   추천 0    

 

와이프랑 저랑 둘 다 디지털 생산물이 많습니다. 라이브러리도 많고요.

각자 개인 PC나 노트북, 패드, 외장하드 등등에 마구 분산되어 있는데, 불안합니다.

특정한 백업솔루션이 세워져서 빠짐없이 백업되는 상태도 아니고요.


그래서 가정에 두사람만을 위한 백업 스토리지를 구축해볼까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개인용 PC나 노트북의 탐색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복사해 넣으면 백업이 되는 식이면 어떨까 싶습니다.

용량은 크면 좋겠지만 저희는 엔트리 레벨이니까..현실적인 규모(각자 10TB 선?)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둘이면 20TB인데, 최소한 미러링(RAID1, RAID0+1, RAID10..차이는 열심히 비교중인데 확신이 안 서는군요..) 정도는 되면 안심이 될 거 같은데

그럼 최소 2배의 용량인 40TB가 필요합니다. 이정도면 이거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는 용량이 맞나 싶어집니다.


제가 떠올리는 모양새를 구현하는 게 NAS라는것같은데, 여기에 적정 량의 HDD를 장착하고 NAS를 설정해서 계속 켜두면

제가 생각하는 대로 접속해 백업하거나 열람하고, 자동 미러링되는 정도의 기능은 가능한 일인지 궁금합니다.

(NAS라는건 공유기의 능력은 기본적으로 겸비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기가비트 공유기를 달아줘야 기가빗 속도로 저장과 열람이 가능할거같은데)

혹시 요런 엔트리용으로 추천할만한 모델이 몇 개 있으시면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추천해주시면 어째서 그런지 열심히 살펴보며 공부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주환 2018-04
레이드는 백업이 아니라는 것을 먼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백업 매체는 무엇이 되건 상관없지만, 아카이빙 용도라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맞습니다.

최적의 백업 방법은 데이터의 종류와 발생 빈도, 데이터의 크기, 필요한 백업 주기, 접근 편의성 등의 요구사항이 명확해야 산출이 가능합니다.
NGC 2018-04
별다른 지식이 없으시다면 시중에 판매되는 기성품NAS를 구매하시고 sync툴로 돌리시면 데이터 백업은 해결됩니다
좀더 custom한갓을 원하시거나 뭔가를 integration을 원하면 자작NAS로 가는것이겠구요
깡통이 2018-04
'간략하다, 엔트리 레벨이다.'
이게 가격적인 측면이 아닌 구축과 운영에 대한 편의성이라면 답은 정해져 있습니다.(비용은 200만 이상 나갈 것 같은데요?)
시놀로지 NAS를 4BAY/5BAY 구입해서 10TB 4개로 RAID10을 구성하시고요,
각각의 디바이스에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앱인 Drive 를 설치해서 그곳에 다 넣어서 정리하는 것입니다.
폰 사진도 Drive로 백업하시고, 모든 자료는 Drive로 연결된 디렉토리에 다 넣어서 쓰세요.
공유폴더에 휴지통 기능 설정하시고, Drive앱에서 기존 버전에 대해서 유지하시면 실수로 인한 삭제 같은 것에서 1차적인 방어가 가능합니다.
synology ds418 추천 합니다.
김영기 2018-04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추천해주신 제품의 특성을 살펴보면 더욱 감이 올 것 같으므로 찾아보겠습니다.
이정도 용도에 이정도 용량인데도 구축비용 예상이 2백을 상회하다니..제대로 가면 뭐 개인 저장고에 돈천은 우습게 깨지겠습니다ㄷㄷ
나비z 2018-04
백업이 필요하면

레이드보단(4베이 1+0)

2베이 나스 2개로

하나는 백업할 것 같아요
(레이드 쓸 필요 없이 각각 하드 하나씩 사용)

레이드는 백업이라 보기엔..
가정에서 백업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 가장 간단하게는 그냥 같은 용량의 스토리지 마련하고 복사하면 됩니다. 다만 백업본은 물리적으로 다른 HDD에 그리고 평소엔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DIY로 접근하기 좋은 방법은 6베이나 8베이가 가능한 케이스에 8TB HDD 넣고 절반은 상시로 나머지는 백업용으로 사용하고 백업용은 전원 빼두면 됩니다. 그걸 편하게 하시려면 핫스왑인클로저 쓰면 되고 더 편하게 하시려면 4베이 NAS 2개 사서 primary/bakup으로 운용하면 되고요. 몸이 편해질수록 지갑은 가벼워집니다. ㅎㅎ

윈도우8  이상에 내장된 저장소공간을 잘 활용하시면 스토리지 공간 할당이 매우 유연하고 또 쉽습니다.
전 아직 용량이 많진 않아서 4베이 자작 스토리지에 8TB HDD 2개와 4TB HDD 2개 넣어서 8TB x 3EA로 만든 다음에 2중 백업해 두고 있습니다.
박문형 2018-04
보통 재대로 된 백업은 독립된 시스템에 3차까지 백업을 해야 데이터를 잃어 버릴 확률이 확 줄어듭니다..

보통 3차까지 개인이 백업하는 경우는 드물며 2차 정도가 최대가 아닐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8이나 10테라 하드로 6개에서 10개 정도 구축하셔야 할 듯합니다..
승우아빠 2018-04
NAS 레이드 쓰다가 다 날려먹은 1인입니다.
google cloud suite 추천 드립니다. 전쟁이나도 데이터 안날라갑니다.
5명 이상 모이면 용량 무제한이구요.
금액도 2~3년 마다 HDD 교체 비용보다 쌉니다.
집에 NAS도 안켜놔도 되서 전기세도 절약되구요.
송주형 2018-04
저도 레이드로 묶어놨는데 하드 2개가 동시에 죽어버리니 데이터가 훅 다 날라가 버리더군요..
조용원 2018-04
제 생각에는 남에손 안타고 하드사서 담아놓는게 좋은거같아요 물론 2개3개 복사해두고


QnA
제목Page 1695/5729
2015-12   1789260   백메가
2014-05   5264311   정은준1
2013-02   10478   장동건2014
2020-06   2814   키가180
2023-06   2085   전설속의미…
2014-09   7223   테돌아이
2016-12   4400   컴박
2020-06   3393   네이쳐
2021-11   1468   EYESSHOT
2013-02   4829   성투불패
2016-12   7188   건전지
2010-01   6505   오준호5
2013-02   5467   블루영상
2016-01   4588   푸하히
2018-02   3335   6툴
2019-04   3741   나너우리
2023-06   2613   VSPress
2014-09   10884   매니아1
2016-01   5293   evoker
2016-12   4921   lakino
2016-12   4034   하셀호프
2014-09   9661   가빠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