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컴) 망원경이 나을까요 아니면 카메라 렌즈가 나을까요

Sikieiki   
   조회 5228   추천 0    

요즘 부쩍 별관측이 하고싶어 미치는 1인 입니다

천체 망원경을 사고도 싶고 촬영할 렌즈도 사고싶은데....

반사렌즈가 눈에 띄네요


삼양 폴라 800mm 에 2배율 컨버터에 1.6크롭바디면 환산 2600mm라는 미친 배율이 나오는데 이정도면 인공위송도 잡아서 찍더군요 (물론 조리개가 16이나 되버린다마는...)

도합 중고로 20~30만원으로 끝이나는군요


망원경 대신 1300 or 2600으로 쓰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할지....

아니면 역시 망원경이 있어야할지....

다들 경통식 망원경이 화질이 좋다 하시는데 돕소니안이라는 반사망원경이나 반사렌즈로 망원땡기나 똑같을것 같아 애매하네요


비컴에 어수룩한 질문이지만 어떤게 나을까요?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a mystery, So Today is a presen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is 2018-04
저도 상당히 짧은 지식(경험?)이지만 적고갑니다.
망원경도 중요하지만 경위대도 엄청 중요합니다.
망원경이 있다고해도 별을 따라가줄 경위대가 없으면 촬영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반사망원경은 반사경 온도부터 세팅(?)하는 시간등이 필요해서
쓰기가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30만원정도 생각하면 저처럼 코동을 고려해보는게 어떨까 싶어요...
     
서완호 2018-04
일단은 간단하게 달로 시작을 해서 나중에는 적도의식도 구매해볼까 싶습니다
그런데 망원경이랑 카메라랑 읽는 법이 달라서 화각이 어디까지인지 촛점거리가 어떻게 되는지 더무지 알 수가 옶네요
2600의 초망원을 사용할지 저배율의 천체망원경을쓸지 (뱔추적에는 집에 사냥용스코프로 목표물 조준하고 하렵니다)
그런데 코동은 뭔가요?
          
chis 2018-04
코스트코 망원경 동생의 약자입니다..모델명은 nexstar 90gt에요...
               
서완호 2018-04
단종....되었군요....
                    
chis 2018-04
종종 입고된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일단 검색해보니 코동이 900mm f10이라고 써있네요..
코동에 직결로 sony nex5를 물려서 찍으면 보름달이 꽉차게 들어왔던거로 기억이 됩니다.
토성도 찍어보면 그냥 점이에요...ㅋ
                         
서완호 2018-04
저 900mm가 일반 카메라에서 말하는 900mm외 동일한 값인가요오...???
                         
chis 2018-04
더이상 댓글의 댓글이 달리질 않네요..
900mm는 카메라에서 말하는 초점거리가 맞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송진현 2018-04
코동에서 구동부를 적출후 돕소에 이식하시면 잘된다고 언제 한번본적이 있습니다..
     
서완호 2018-04
추가적인 지출에...쿨럭
입문 최강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코동 구매하시고 카메라별 마운트 따로 구매 입문용으로 최강으로 알고있습니다
간간히 코스코트에 입고도 되면 중고도 간간히 나옵니다
     
서완호 2018-04
으음...고민을 좀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블루맥스 2018-04
저번 주에 천안 코스트코에서 코동을 보았습니다. 고객센터에 전화해보시면 재고 여부를 알려줄 겁니다.
     
서완호 2018-04
결정이 나면 전화 한번 해 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무아 2018-04
에전에 제가 코동으로 찍었던 토성 사진 이네요.
http://www.2cpu.co.kr/freeboard_2011/484411
DSLR 바디를 하나 구하면 달아서 써보고 싶은데.. 저번에 장터에서 후다닭 지나간 것이 매우 아쉽지만... 떄가 되면 낚겠죠. ^^ (B셧터 되기만 해 바바. 그냥..,)
날 풀리면 다시 도전해봐야겠습니다.
얼마전에 달 찍을떄 보니까 동작도 잘되고 잘 보이더군요.

개인적으로는 망원경 보다는
DSLR 카메라에 적당한 렌즈, 그리고 적도의 라고 하던가요? 전자식으로 별 추적하는 구동부. 이렇게만 있어도 멋지게 촬영 될 겁니다.
     
서완호 2018-04
카메라에 적도의 마운트 해서 써도 나쁘지 않을 것같습니다마는...
사양 폴라 800MM 렌즈에 T2 2X 컨버터를 달고 EOS M3 미러리스 1.6크롭바디 하면....천체 대신......
요즘 뽐뿌가 너무 터집니다.
일단 월말에 달뜨면 300 ( 환산 480 ) 으로 달 한번찍어 보고 해야겠네요 ㅠㅠ
          
무아 2018-04
일단 코동으로 찍어본 경험상..
화소수 많은 DSLR에 30초 셔터 두고 삼각대 고정으로 찍어도 훨씬 좋습니다.  (대신 저배율로)
왜냐하면... 찍힌 결과물에 볼것이 훨씬 많습니다.
               
서완호 2018-04
답변 감사합니다
솔직이 어느정도 기운 마음이었는데 이젠 완전 넘어가버렸네요
통신보안 2018-04
환산초점거리 1920mm(600mm x 익스텐더2배 x 크롭1.6배)로 찍으면 1샷에 달이 전체가 찍혀서 나옵니다.
켄타우루스 2018-04
성운성단은하 딥스카이에 관심이 있다면 돕소니안 이런것이 어울리고,  태양계 대상을 볼려면 굴절로 가야죠.


QnA
제목Page 1690/5731
2015-12   1793094   백메가
2014-05   5268096   정은준1
2022-10   1486   고래1006
2014-02   4310   나파이강승훈
2015-06   5957   막판대장
2014-02   5784   이형동
2022-11   1663   오소리
2016-07   7778   맑은여름
2019-12   2465   김영기
2019-12   5038   과암
2014-02   9939   배고프고가…
2015-06   3607   난다곰
2019-12   2579   isaiah
2022-11   1243   폴라리스
2015-06   4128   뮤노
2015-06   6679   죠슈아
2018-11   5300   하트웍
2024-07   2334   Noman
2015-07   3627   ADUS
2018-11   3588   user
2015-07   4083   레클
2012-01   6519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