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L NUC ] MSATA & M.2 발열문의

   조회 6388   추천 0    

INTEL NUC에 장착된 MSATA는 DISK I/O 발열이 장난이  아니네요

이 때문에, DISK I/O 부하시 장비가 한동안 죽어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걸 극복하기 위해서는 쿨링패드 + 방열판 장착을 해야 되는 군요

인텔에 문의하니 Thermal Pad 보내 준다고 하네요


M.2는 동일한 문제접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OGm 2018-04
M.2도 발열이 장난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 메인보드 제조사는 기본적으로 방열판 포함해서 판매를 하더군요
     
아.. M.2도 여름맞이 방열 준비 해야 겠네요
isaiah 2018-04
비슷한 시대에 비슷한 수준의 기술로 만들면 성능이 좋을 수록 소비전력도 발열도 크기 마련이라...
 어제간한 nvme 재품은 뭐 델것도 없고 m.2 sata 도 딱히 면적이 널널하거나 한것도 아니라 msata 대비 시원하거나 할 이유가 없죠...
이규민 2018-04
얼른 600p ssd를 방열판있는칸으로 옮교야겠네요...
삼성 960pro 는 모르겠네요..
일단 케이스 열고, USB 선풍기 초강력 모드로 하니 뭘해도 문제는 없네요 ~.~

신기하게도 대용량 파일 복사(Sequentail Data)에 고발열이 발생하네요.. 뭔가 논리적 이유가 있긴 하겠죠.. 뭐
썰로는 MLC가 TLC보다 발열이 적다고는 하는데... 경험 하신분 있을려나요 ?
익명 2018-04
Hp mini pc를 사용하지만
발열에 그닥 신경을 써본적이 없습니다

누크의 경우는 사용해보지 않아서
어디에 M.2가 위치해 있는지 모르겠지만
Hp mini는 cpu 바로 후면에 위치해 있다보니
쿨링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는것이 아닐까 싶네요
     
MSATA 발열이 있고요
M.2는 미리 걱정해 보는 겁니다. ~.~
m2 가 발열제일심하죠~오히려msata 가 발열이업는줄알아쓰는데있나보군요~
김제연 2018-04
m2도 많이 난다는 소리가 있어서 .. 발열 안정화 된거 나오면 가려고 기다리는 중입니다.
이규섭 2018-04
Msata 발열이 그냥 커피라면 M.2 PCIe는 TOP입니다.
방열판 없이 빡세게 굴리는 상황에서 펌웨어단의 스로틀링 작동안하면 90~100도 우습게 올라갑니다.
     
아 체감하기에 적절한 표현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686/5731
2014-05   5267797   정은준1
2015-12   1792820   백메가
2015-02   3655   잇힝잇힝
2022-05   4956   9chani
2013-10   8693   가빠로구나
2017-04   4395   soom
2020-11   3817   땅부자
2022-05   6412   akfalles
2015-02   5741   김훈1
2022-05   3280   행복하세
2015-02   5111   앵앵앵
2011-03   7651   로그아웃
2013-10   4758   악땅
2020-12   3594   wguardian
2022-06   5131   뚜앙
2011-03   6328   박남규
2017-04   3227   전설속의미…
2011-04   7204   장동건2014
2022-06   2923   하우시쓰
2015-03   5103   AI입니다
2015-03   4481   초록아이
2011-04   7259   방o효o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