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윈도우가 설치된 A서버에서, 다른 서버들에 설치된 여러 VMware ESXi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네트웍 관련 지식이 많이 없음을 양해하여 주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 현재 서버랙 상황
[L2 스위치]
[공유기 1]
[서버 1] : 윈도우 - 1
[서버 2] : ESXi - 1
[서버 3] : ESXi - 2
[서버 4] : ESXi - 3
[서버 5] : ESXi - 4
[공유기 2]
[서버 6] : 윈도우 - 2
[서버 7] : ESXi - 5
[서버 8] : ESXi - 6
[서버 9] : ESXi - 7
[서버 10] : ESXi - 8
● 현재 연결 상황
1. L2 스위치에서 공유기 1 및 2로 연결
2. 공유기 1에서 서버 1~5 연결 / 공유기 2에서 서버 6~10 연결
3. 서버1의 윈도우1에서 서버2~5의 ESXi 관리 / 서버2의 윈도우2에서 서버6~10의 ESXi 관리
4. L2 스위치에는 공인아이피 24개 연결되어 있지만, 실제는 4개만 사용중 (공유기1 + 서버5 = 1세트, 총 4세트)
● 질문
<질문1> 쌩뚱맞게 서버랙에 공유기가 들어간 이유는 단 하나,
4개의 ESXi를 윈도우 설치된 서버에서(팀뷰어 접속 통해)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허나 저렇게 구성하면, 공유기 없이 L2에서 직접 하나씩 연결할때보다
서버별 네트웍 속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어 고민입니다. 네트웍 속도에 차이가 있을까요?
※ 추가설명 : 이 구성을 처음 도움받아 할 때, 공유기를 통한 같은 내부네트웍에서만 ESXi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해서
저렇게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질문2> 윗 질문에 속도차이가 있다면, 목적(윈도우 설치 서버를 통해 다른 4개의 ESXi 관리)을 달성하면서도
속도개선을 하는 연결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단 ESXi는 기본버전으로, 고급관리 기능이 있는 상위버전으로 업그래이드 하기 어렵습니다. (비용문제)
질문이 길고 복잡합니다.
해야 하는 일에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하여,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하다보니
계속 도움을 청하게 됩니다.
답변주시는 분들과 다른 회원님들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가상화 서버를 운영하는 이유가 물리적 서버를 최소하하기 위함인데
뭔가 이상하네요.
+비용 문제로 vcenter를 운영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서버는 10대나 운영하는데 비용 때문에 vcenter 라이센스를 못 사는이유가 있나요?
+ 그리고 팀뷰어 라이센스도 무지 비싸지 않나요?
제가 추측을 하자면 대략 20에서 30기정도 돌고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각 랙마다 공유기를 넣으니 이유가 공인IP도 부족하지만
내부의 가상머신들이 IP를 할당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서 이렇게 구성이 되어 진거 같은데요
가상머신이 많으면 포트한개로는 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서버의 물리적포트를 모두 활용하셔야 하구요
비용 문제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힘드셔서 랙마다 윈도우서버를 구성하셨다면 굳이 그렇게 하실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윈도우서버에 랙수만큼의 네트웍카드를 설치하셔서 한곳에서 관리하시면 될거 같은데요
그리고 vcenter server를 사용하시기 힘들면(비용 때문에)vmware workstation을 사용하세요
각 esxi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고 간단한 리소스 사용률이나 가상머신 생성 삭제 온오프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름 편리합니다.
제가 현재 그렇게 사용하고는 있습니다.
답변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