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C ssd는 무조건 비추인가요?

osthek83   
   조회 5153   추천 0    

 

후보 1 삼성 860 이보 256기가 

후보 2 트렌센드 220S 450 기가 


사회적으로 삼성이 하는거 보니 괘심해서 왠만하면 삼성 피할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정 안되면 삼성 사려구요ㅠ 해외라 한국보다 제품이 별로 많지가 않습니다.

둘다 읽고 쓰기 속도는 스펙상으로 거의 비슷하거나 삼성이 조금 좋구요. 큰 차이는 삼성은 MLC 트렌센드는 TLC 입니다...트렌센드가 할인중이라 둘 가격은 같은데, TLC는 무조건 비추인가요? 제가 육백만불의 사나이가 아니라 미세한 속도 차이는 못 느낄꺼 같고 용량이 두배 커서 秀六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8-05
둘 다 TLC 일껄요..

요즘 나오는 신형 PC용 SSD들은 거의 모두 TLC로 봐야 하고

아주 비싼 서버용 SSD가 MLC 입니다..
박문형 2018-05
해외라면 인탤 SSD , 마이크론 SSD는 없나요??

그게 삼성 제품들보다 더 처준다면 처줄 수 있는 제조사 인데요..
무조건이란건 없습니다. 용도와 비용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거죠..
예를 들자면 단순업무용 PC에 SLC 넣는것도 비추이구요, DB 서버에다가 TLC 넣는 것도 비추이구요.
Redmilk 2018-05
삼성아니면 마이크론 추천드려요.
tlc예전같지않아요. mlc만큼은 아니지만 예전 tlc에 비해 쓸만합니다 ㅎㅎㅎ
크럭스 2018-05
3D NAND TLC면 MLC랑 차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anti2cpu 2018-05
SLC MLC 찾아보면 많을텐데요
캔위드 2018-05
저같은 경우엔 사용빈도가 적은 경우에 TLC를 사용합니다.
회의실 PC라던가 가끔 비상용으로 사용하는 노트북.
집에서 가끔 켜는 미디어플레이어용 미니 PC
이런거엔 전부 TLC를 사용하고
작업용이라던가 메인 노트북 자주 사용하는 집에 미니PC등은 무조건 MLC를 사용합니다.

기준은 읽기와 상관없이 "쓰기"가 많은 곳은 MLC 적은곳은 TLC 입니다.
딸기대장 2018-05
같은 가격이면 용량이 아닐까요?
256기가 막 쓸려고하면 얼마 안됩니다.
씨디공장 2018-05
tlc 를 걱정하는 시대는 이미 지난지 오래입니다.
구명서 2018-05
아직 tlc랑 3d tlc랑 제가 막가파라 그런가 잘모르겠습니다.
그냥 일반적인 사용으로는 성능이나 내구성도 그닥 문제 없더군요.

너무 이상한 회사만 아니면 괜찮은거 같습니다.
breakersDaD 2018-05
요즘엔 품질이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일반 사용자에게 NAND칩 종류는 크게 상관없지 않나 생각합니다.

제가 업무상 데이터를 썼다 지웠다를 많이 반복하는데요 성능에 큰 차이가 없다면 비슷한 가격에 용량이 많은 것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IT관리자 양반이 인텔 프로 1500 180기가 짜리를 업무용 노트북에 껴줬는데요 버철머신 두개 만들고 아껴 쓰는데도(ㅠ.ㅠ) 여유 공간이 30기가 정도만 남아요.
그래서 Total Host Writes: 7250GB 인데 Total NAND Writes: 23519GB 입니다. 아마도 저가형 TLC드라이브였다면 불안했을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용량이 많은 하드 드라이브를 사용하시면 스트레스가 조금 덜 할것 같습니다.
김유중 2018-05
그냥 편하게 삼성제품 쓰시는게 편합니다.

이번에 Evo제품 구매하면서 A/S문의를 해봤더니 5년 무상해준다니 백업에만 충실하다면야 삼성제품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그냥 용량 따라 씁니다.
일반 사용자가 크게 신경 쓸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서버나 기타 장비의 경우는 예외지만요.
아나벨가토 2018-05
삼성 970 EVO 나 860 EVO 정도면 충분히 좋다고 봅니다.

대신 최근 문제가 되어진 2280XT 같은 칩셋 쓴 제품들은 좀 문제가 있다보구요. (역시나 소프트하게 돌리는 유저는 찾아내지도 못할문제.)


QnA
제목Page 2801/5706
2015-12   1666200   백메가
2014-05   5131418   정은준1
2016-06   5138   김건우
2016-09   5138   perls
2022-06   5138   akfalles
2008-08   5139   백만불
2009-05   5139   비트
2007-02   5139   곽태영
2008-06   5139   김형숙
2007-07   5139   김종율
2006-12   5139   이문흠
2005-12   5139   정순금
2008-06   5139   윤호용
2006-08   5139   김윤희
2015-09   5139   김건우
2013-12   5139   유호준
2007-02   5139   장진수
2007-02   5140   이문흠
2005-09   5140   나강문
2013-10   5140   윌라멧
2017-02   5140   악마라네
2006-12   5140   정명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