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가상화폐 트레이딩 목적으로 서버렉 운영중인 부산 공돌이입니다.
ds918+에 램 추가하고 삼성 960 512짜리 두개 캐시로 꽂아서 db서버로 돌렸더니..
용도는 bithumb, fitfinex trades 모두 저장하고
알고리즘 수익 분석, 실시간 호가창 저장 용도 등으로 씁니다.
한달가량 dsm 로그인이 안되는 증상이 생기다가 재부팅하긴 번거로운 상황이라
ssh 접속으로 그냥 쓰다가 결국 한달만에 시스템이 먹통이 되어버리네요..
서버 한대 중고나 아니면 새걸로 한대 구입할려고 했는데..
가격도 다들 천차만별이고 어디서 사야 할지 멘붕이네요..
그냥 계속 거래하던 에이블스토어에서 시놀로지 XS나 FS 시리즈로 구매할까 싶다가도
918+ 먹통 되었던 기억때문에 조심스러워지네요...XS나 FS DB서버 후기도 찾아보기 힘들구요..
급한대로 집에 있던 라이젠 1700에 램 32기가 꽂고 우분투 서버 깔아서 DB서버로 돌렸더니
오늘 새벽에 드디어 뻗었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자고 일어났더니 50만원이 날라갔어요 ㅠㅠㅠ
에이블스토어는 지속적으로 거래해서 프리미엄 가격으로 이제 거래가능한데..
에이블스토어에서도 서버 제품군 취급하면 좋겠는데 나스만 팔아서...
서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하고 싶은데 괜찮은 업체 없나요??
요즘 서버를 구매 안했더니 구매처가 없네요..
지속적으로 A/S도 받고 추가 구매도 하고해서 가격에 메리트도 볼수 있는 업체를 찾고 싶은데..
에서 그냥 카트에 담는 방법 뿐인가요..
너무 주저리 주저리 해서 요점만 다시 정리 하겠습니다.
1. XS나 FS가 DB서버로 쓰기에 안정적이고 쓸만한지 (그럼 그냥 에이블스토어 구매..)
2. 지속적으로 어디랑 거래중인데 여기 괜찮더라 소개!
3. 사용량 얼마 되지 않는 괜찮은 중고 서버 있으신분 있으면 그것도 살게요~!
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에 인증 사진 올리겠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저도 가상화폐 관심이 많아 저도 얼마 전까지 G3258 에 이것저것 저장하다가 .. 8~90 점유율 나와서
8코어짜리로 옮긴뒤에 .. 50% 대로 ... 사이트 5~6개 정도 저장하고 있는데 ..
알고리즘이니 분석이니 이런걸 몰라 .. 이전꺼 지우고 저장하고만 반복하고 있는데 .. 저정도 하시는거보니
계속 저장중이신가봐요? 부럽네요...
혹시 어떤 프로그램으로 개발 / 분석 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저도 가상화폐를 하고 있으나
돌파구가 .. 안보여서요.. 아니면.. 혹시 DB 저장 어떻게 하고 있으신지 힌트좀 주실 수 없을까요?
필요하신 답변 아니라 죄송합니다.
DB저장은 호가 저장은 1초 이하 단위로 사이트별로 다 하고 있고요..
체결 완료 내역은 국내는 bithumb만 해외는 bitfinex만 저장하고 있어요.
(빗썸이 이번에 api업데이트 되면서 체결 내역 빠뜨리지 않고 저장하기 좋아졌어요.)
(bitfinex는 요청 횟수 제한이 심한데.. cryptowatch api 이용하면 모두 저장할수 있어요.)
그리고 30분 단위로 회원거래 내역을 DB에 저장/갱신시켜서 종목별로 새로운 내역 100개 생길때마다
손해를 봤는지 이익을 봤는지 계산해서 해당 종목 투자 금액 비율을 줄이거나 늘리거나 하고 있습니다.
계속 해서 손해만 보는 종목은 자연스럽게 금액이 점점 줄어들다가 그 종목은 더이상 해당 알고리즘으로는 거래를 안하게 되겠죠??
사이트마다 종목마다 같은 알고리즘인데도 이익나는 종목이 있고 손해나는 종목이 있고 그렇더라고요...
인터넷 보시고 제품 선택하고
가격만 단순히 보시고 구매하시는것이 제일 쌀것입니다
근데 문제는 지속적인 as인데
대부분의 판매처는 하드웨어적인 이슈를 직접 처리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처리해 줄수 있다고 해도
지역이 부산이다보니 판매점이 부산에 있는곳을 찾기가 힘들기도 하고요
경우의 수를 볼때
새제품을 구입하시면 무상AS가 가능하니
부산지역 콜센타에서 직접 방문 수리해주니
온라인에서 원하시는 새제품을 찾아서 구입하시면
그것이 최선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싼건 싼 이유가 있다보니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시기에는 수업료가 들어갈수 밖엔 없긴 합니다
중고서버의 경우는
2CPU 장터에 나오는 물건들 중에서 보시고 구매하는것도
가격이 좋은편이고
단 구매시 사전 점검이 된 애들로 구매하시면
사용시 문제는 없으며
내구연한도 잘 따져보시면 좋습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모델을 정확히 넣어도 잘 검색이 되질 않아서요...
네이버쇼핑엔 터무니 없는 가격만 올라오고..
CPU 에 따라서 라인별로 BTO 모델이 5종 정도 되고요
즉 50여가지 제품중에서 원하시는 제품키를 잘 넣으셔야 검색 됩니다..^^;;
잠시 모델 셀렉만 도와드릴테니 전화주세요..^^
전번은 제 개인정보에 있습니다.
점심시간이라 실례가 될꺼 같네요..
괜찮은 시간 주시면 연락 드릴게요
지금 바로 괜찮으시면 지금 전화 드릴꺼고요~
(phpMyAdmin 페이지 열때마다 세월 네월..;;)
차선책으로 10대에 나눠서 작업을 시켰는데도 느리고 관리 하기도 힘들고 해서요..
라이젠에 삼성 960 ssd로 하니깐 속도는 따라오는데 안정성 때문에 뻗어버리네요..
누가 우분투 서버는 AMD에 깔아 쓰는거 아니라고 하긴 하더라고요.ㅠㅠ
cpu가 조금이라도 더 빨라야 남들보다 0.1초라도 더 빨리 주문을 넣고 빼고 할수가 있어서...
거래 활발할때는 코인원 한개만 한달 거래량 5천억씩 넘어가고 수익도 하루에 천만원 이상씩 나고해서..
장비에 돈 아끼면 결국 손해로 돌아오더라구요..오늘도 그렇고...
혹시 거래하시는 사이트나 업체 추천해 주고 싶은곳 없으신가요..
이중화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네요... 그렇게 해야 하는데 안한게 사실이긴 하니깐요ㅠ
다른 사람꺼 만들어 줄때는 바리바리 이중화 구성해 주는데
제꺼 할때는 귀찮아서.. 또는 그 시간에 알고리즘 하나라도 더 만들자 하는 안일한 생각에
이런 실수를 하게 되네요..
곧 서버렉도 하나 더 들여놔야 할꺼 같아요 ㅋㅋㅋㅋ
서버는 문제 발생시 해당 파트만 교체해주면 쉽게 고칠수 있습니다. 중고파트도 구하기 편하고요.
굳이 새거 살 필요 있나 싶네요
gen8 중고는 폭탄 떠안을수 있으니 패스~
gen9 중고로 지금 고려중입니다.
G8, G9 성능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에
G8을 물량으로 투입하는게 더 좋은 선택입니다.
장터에 G8 파시는 분들 많은데
중고 장비들 대부분이 어지간한 부하 걸어도 고장 안나고
고장나면 같은거로 교체하면서 쓰는게 최근 추세 입니다.
2CPU 장터의 중고는 쓰레기 폭탄은 없습니다.
G7도 G8 가격의 거의 1/3 가까이 하긴 하던데 어짜피 디스크는 새걸로 사야하니
G7이랑 G8은 가격차이는 별로 없고 성능 차이는 나는 상태가 되어버리고..
G8 물량으로 구입하는게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으로 도달하게 되어서
G8로 일단 먼저 한대 주문해 보았습니다.
서버렉 추가하고 G8을 쭉쭉 추가하는게 제일 나을꺼 같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이제 고래들이 gen9 풀때까진 gen8로 이쁘게 통일 해야겠습니다.ㅎㅎ
http://www.ezserver.co.kr/
견적을 요청하면 그런대로 가격은 다른데보담은 저렴한듯 합니다.
ds918+ 모델로 검색해보니, 셀러론으로 2147점대네요.
https://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Celeron+J3455+%40+1.50GHz
단순 계산으로 2147점 * 8대 = 17,176점
장터에 많이 나오는 E5-2670v1 dual cpu 가 18,256점으로 거의 비슷합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Xeon+E5-2670+%40+2.60GHz&id=1220&cpuCount=2
즉, 현재 CPU 성능이 너무 부족하네요.
장터에서 `E5-2670v1 dual cpu` 1대만 구입해서 돌려보시면, 성능 향상을 바로 경험하실 것 같네요.
중고장비니깐 실제 서비스엔 스페어로 1개 더 놔두고, 장애시 대체하면 되고요.
그런데 집안에 랙이 있다면, 랙 서버의 팬 소음도 고려해야해서, E5 급 워크스테이션이 적합하고요.
팬 소음은 일단 렉에 한번 앉혀 보고 경험해봐야 알꺼 같아요 ㅋㅋ
조언 감사합니다.
glances, htop 등의 명령으로 cpu, ram, io, network 등 어떤 서버 자원이 부족한지 확인해보시고요.
서버 자원 문제가 아니면.... 열심히 튜닝하시는 수 밖에... ^^;
여기서 더 느리면 c++이나 Go언어로 가야 하는데..
그건 귀찮은데.............................
음...설마 느릴란가요...?? 안 느리길 ..
젭알!!!!!!!! ㅋㅋㅋ
DB 메모리 설정 -> 쿼리/인덱스 튜닝 -> 프로그램 로직 개선 순서가 가성비 좋은 일반적인 접근 순서죠. ^^
메모리 설정은 한번 확인해 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ㅎㅎ
인덱스 키정도만 RDB 즉 마리아디비에 저장하고..
메인 대용량데이터는 몽고디비 나 레디스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