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서플라이 부품 갈면 품질은 보증할수 있나요?

   조회 6173   추천 0    

http://www.2cpu.co.kr/QnA/650678?&page=2

그제 한번 갈아볼라고 글을올리고 

http://www.2cpu.co.kr/freeboard_2011/900045

실행해서 역부족으로 실패했습니다만 이런 생각도 듭니다.

메이커에서는 완성품이 나오면 측정을 거쳐서 잘맞지않는 부분을 조정해서 출하할것이라고 보는데요.

캐패시터 같은 종류도 일반 캡에서 솔리드로 갈았을때 특성이 너무 달라서 발진이나 전압이 튈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일반 전압을 재는 정도야 개인이 할수도 있지만 부하를 걸고 스코프를 보면서 리플이 늘어났는지 발진하는지 유무는 거의 체크안하는것 같은데요.

문제가 있는경우 당장은 정상 동작을 하는것 같아도 잘못된 부품선정으로 다른 부품 특히 hdd 같은것이 서서히 망가지는 경우도 있지않을까요?

나중에 다시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한번 여쭤봅니다.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CMaster 2018-06
인핸스에 실망할게 아니고
잘만에 실망을 하셔야....
OEM방식이 아닌 ODM방식의 생산입니다....
40만원짜리와 3만원짜리가 같은 라인에서 생산 되는게
파워입니다.
잘만이 FSP에 OEM으로 생산안 녀석은 내구도 쓸만합니다....
문제는 역시 가격이겠지만요....
(600W 동급으로 보이는 두녀석의 가격이 잘만>FSP라는 함정...)
그리고 일반적인 컨덴서 교체는 동일 용량의 상급 제품으로 교체하는것이 주류이기 때문에
스코프 찍어가면서 테스트를 해야 할 필요가 없죠...
리플이나 노이즈에 손상 입는것보다 파워 나가면서 동반타격의 데미지가 더 큽니다.
어짜피 소모품인데 그렇게 걱정이 되시면 고가 앤드급 새파워로 교체해주시는게 정답이겠죠...
     
피망님 저모델은 2008년도 출시제품이라 자체개발한 모델일겁니다.
그때 당시 잘만 사장이 창투사출신 사장이라 제가 아는 지인이지요.
지금도 창투사 사장인건 안비밀입니다.ㅎㅎㅎ
          
PCMaster 2018-06
잘만이 자체 개발 제품이 있었나요???
하아....?????
OEM이랑 ODM만 있는줄 알았...
ㄷㄷㄷㄷ
파워가 하루이틀만에 만들어지는 제품이 아니데....
               
이때 당시 사장이 직원뽑을때 필기시험을 보면 문제항수가 400개 였지요.
대부분 다 못풀고 나오지만 사장은 인내심을 시험하는 거였던건 비밀입니다.
파워서플라이는 보통 스위칭 레귤레이터라 탄탈이나 솔리드캐패시터는 특성을 탑니다.
1/2파이FC이기때문에 회로를 이해해야 콘덴서를 결정할수 있지요. 그리고 저런부류는 
디핑기로 교체를 하는게 정설입니다. 어디세요? 콘덴서랑 같이 보내주시면 디핑기로
작업해드릴수 있습니다.
     
PCMaster 2018-06
제껄해주세요!!! 크크큿
          
디핑기를 하나 드릴까요?ㅎㅎㅎ
"자기에 일은 스스로 하자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어린이?"ㅎㅎㅎ
               
박문형 2018-06
디핑기 ==> 전기 폭탄
                    
형 작은건 전기 폭탄 아니에요.ㅎㅎㅎ
               
장동건2014 2018-06
엄청 전문가이시네요.
진작 알았다면 부품 구입해서 보내드렸을텐데...
전 좋은 인두기만 있으면 파워 부품은 가능할줄알고 dc인두기를 3대나 구입했습니다.
메인보드나 그래픽은 2~3중 기판이라 비전문가가 작업하긴 힘들어도 파워는 그런게  아니어서 가능할줄 알았는데 역시 전문가가 제대로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이번 파워는 어차피 무분한거라 늦었지만 다음에 같은 문제가 생기면 한번 맡겨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비용은 드리겠습니다.
이번 잘만 파워도 상당히 아끼던거라 비용을 들여서라도 고쳤으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제가 갖고 있는 물건은 모두 아껴쓰는 입장이라 뭐하나 소홀하게 다루지는 않습니다만..
                    
전문가는 무슨....
도그베이비나 카우베이비나 다 합니다.ㅎㅎ
박문형 2018-06
제조사에서도 모든 파워의 A/S를 스코프까지 찍어서 A/S하지는 않습니다..

단 제조사의 A/S룰에 따라 장시간 부하테스트는 할 수는 있겠죠..

제조사따라 다를 것이고요..



파워서플라이 부품 갈면 품질은 보증할수 있나요?  ---> 누가 품질 보증을 하나요??
     
보통 일렉트로닉 로드로 1시간정도 돌려보면 답은 나와요.^^
          
PCMaster 2018-06
1000W급이면 로더는 어느정도 급을 써야 하나요???
하나 사볼까 하다...
불날까봐 겁나서 담아만 놓고 입맛만 다시는중....
               
예전엔 하트전자에서 컴파워용을 팔아았는데 지금은 와트수가 높아서 못팔지요.
각각 채널별로 체크를 하는데 일렉트로닉로드는 1500W급은 써야 겠지요?
저같은 경우 만들수 있지만 귀찮아서 만약 누군가 이걸 개발하겠다고 하면
PCB아트워크만해서 쓸수 있을 정도는 기술지원해드릴수 있긴 합니다.
대신 저도 한대 주는 조건으로요.ㅎㅎㅎ
                    
박문형 2018-06
http://www.1watt.org/wattbbs/board.php?board=frontpage&command=skin_insert&exe=insert_iboard1_front

좀 망한(?) 사이트이지만 테스트는 잘했던 사이트

http://www.1watt.org/wattbbs/board.php?board=reviewdata&command=body&no=101&no=625

가끔 장비 그림이 나오는데 재대로 된 로더라면 외제 붕붕이 살만큼 돈을 투자해야..
블랙펄 2018-06
국내에서 구할수 있는 삼영nxh 제품 또는 삼화의 wb,mk 등급으로 싹 갈면됩니다. 전원부에 특화되있는 제품으로 아주 좋은 콘덴서입니다.
콘덴서 갈았다고 전원티고 발진하고 하드망가지고 그런거 없습니다. 그렇다면 다른부품이 손상되어  망가진 파워이고요.단 전해콘덴서만 교체하세요.
콘덴서마다 특징이 있지만 깊게 들어가면 아무것도 못합니다. 교체하려면 대형콘덴서도 같이 교체하는게 좋습니다.  메인보드도 콘덴서 교체하면 수명연장되는것처럼 똑같다고 생각하고, 소중하게 아끼는 제품이라면 해주는것이 맞습니다.  20년 된 카앰프도 전해콘덴서 교체로 아주 싱싱하게 듣고 있습니다.
     
임피던스 매칭이 되면 고주파음도 나오고 슈피리어스도 생깁니다. 그래서 인턱터랑 붙어 있는건 항상 주의해야 하죠.ㅎㅎㅎ
          
장동건2014 2018-06
와 정말 이것저것 고려하면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할만한게 아니군요.
인두기만 있으면 다된다고 생각했었는데...그래도 아날로그 시절엔 나름 가능했었던것 같은데..[물론 쉬운것도 아니었지만..]
장동건2014 2018-06
으악!! 잠시동안 이렇게 많은 리플이..
답변 주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제가 구형 파워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수명이 다하면 고쳐쓰면서 활용하려고 싸게나온 제품을 구입을 해뒀습니다.
저 잘만 파워도 5v 라인 전류도 세고[요즘건 30a 씩 나오는 모델이 거의 없더군요.] 제가 4p 단자를 꽤 많이 쓰는데 추가로 구입도 해둬서 오래쓰려고 한겁니다.[요즘은 4p도 몇개 없죠]
더군다나 미개봉을 구입해서 좋았는데 아쉽네요.
     
동격용량이면서 규격전압이상의 커패시터로 걍 갈아타도 됨.^^
          
박문형 2018-06
전해콘덴서를  캔타입 솔리드 콘덴서로 바꾸어도 보증이되느냐가 주 질문이자 관점입니다..
               
넵. 그런데 솔리드도 전해콘덴서만큼의 용량큰게 있다면 교체가능합니다. 파워앞단 커패시터는 아직도 전해를 쓰는 이유죠.
                    
형님 어떤건 자가공진합니다. 저런 라인에서 솔리드캐패시터나 탄탈은 않쓰는게 자가공진때문입니다.
일명 고주파음이라고도 하죠. SC717로 고정해주는게 정설입니다.^^
                         
땡큐~~♡♡
          
장동건2014 2018-06
오랫만이십니다. ups덕분에 걱정없이 컴라이프 하고있습니다.^^
박문형님 꼭 솔리드 솔리드로 교환했을때의 한정적인 질문은 아니었습니다.
               
박문형 2018-06
솔리드콘덴서에서 컴퓨터 파워 2차단에 들어갈 컨덴서는 대략 제품이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대략 3300uF 16V 이상급 제품이죠..

만일 그런게 꼭 필요하면 제조공장을 만든다던가 해야겠죠..

해외 유명 고급오디오 회사 몇몇은 TR을 자체 생산했듯이 말이죠..
                    
+1
                    
임샹햔 2018-06
OS콘 들어가는 파워 없지는 않는데
주로 조립용으로 쓰이는 것에 많은 것 같더군요..
대충 cap크기보니 470uf정도.. FET쪽과 가까운 쪽은 전해캐패시터로 몸빵시켰을 것 같긴 합니다.
박문형 2018-06
보통 컴퓨터용 파워는

인증 많이 받고

무겁고

비싼 제품이면

중간 이상은 갑니다..
     
요즘은 트랜스리스형 SMPS도 나와 무게가 가벼워 졌어요^^
          
장동건2014 2018-06
트랜스없이 어떻게 변압을 하는지 놀랍네요.
전원기술은 발전이 더딘줄알았는데..
               
않어려워요. 그냥 220V받아서 정류하고 평활하고 전압분배방식으로 분배해서 고속스위칭해서 트랜스로
다시 전압분배하고 평할하면 됩니다. 다 그런 방식이죠.^^
박문형 2018-06
컴퓨터용 파워에서 순수 트랜스쪽으로만 사용하는 파워는 아마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20-30여년 사이에 대만 /중국은 SMPS파워 제조의 최첨단을 달리지만 우리나라는 그런게 없습니다..

SMPS파워도 단위 사이즈(부피)에서 최대 낼 수 있는 파워 용량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기술의 한계이지요..
     
요즘은 쇼트키 다이오드랑 FET조합니다. 대부분 페어차일드에서 설계해준 레퍼런스 회로들이죠.ㅎㅎㅎ
     
맞아요. 전원부 제조업체들이 중국업체의 추월로 인해 고사직전이죠. 우리나라 유능한 기술자도 중국으로 넘어가서 거기서 자리잡고 있어 이제는 인력도 거의 없어지고 있습니다. 한번 제조량이 수십만개가 최소물량이라 가격경쟁력을 못 따라가지요. 그리고 약간 미달이나 수리한것도 자체국내시장서 소비처가 많지요. 수출물량이 끝나고 나면  그도면대로 또 추가생산하니 가격은 못따라 가겠더군요 ㅠㅠ
중국 무섭습니다. 기술은 낮아도 생산량이 크고 그러다가 보니 경험과 신기술 흡수로 우리나라보다 기술진전속도가 엄청 빨라 두렵습니다
          
장동건2014 2018-06
리플 너무 재밌습니다.^^
          
박문형 2018-06
중국/대만은 10년이상 한우물 파면 대체적으로 사회에서 인정해주나

우리나라는 나이 많다고 고대로 모가지 입니다..

나라의 정책이 전혀 다르니까요..
          
그게 아픔이 있는 얘기죠. 중국지사로 가족까지 다 데리고 중국에 들어간 가장을 현지에서 버렸으니
어떻게든 살아야 하기에 현지 업체로 넘어간 형들을 많이 봤습니다. 중국현지에서 버려진 엔지니어들의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죠.
저도 당해봤기에. 그맘 이해하죠.
장동건2014 2018-06
이번 질문한 내용을 스크랩 해둬야겠습니다.
이런 전문적인 답변은 투시퓨아니면 볼수없을것 같은데요. 정보의 수준이 정말 다르네요.
나름대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전문적인 지식을 많이 쌓았다고 생각했는데...[띠엄띠엄 점지식] 이건뭐 엄청난 내공 앞에 입이벌어지네요.
이렇게 수준높은 지식을 접할수 있으니 무분하는게 전혀 아쉽지않네요.
답변주신분들께 다시한번 감사 드립니다.


QnA
제목Page 1636/5730
2015-12   1791375   백메가
2014-05   5266464   정은준1
2023-10   3756   chotws
2010-10   8348   방o효o문
2017-02   11364   캔위드
2010-10   12374   로그아웃
2017-02   3981   메론
2018-05   6162   perls
2020-09   3510   김영기
2017-02   4485   Delight
2010-11   6399   박동섭
2017-03   4078   쿰척쿰척
2018-05   4766   닉이요다
2022-03   1359   Sakura24
2013-09   19221   윤치열
2016-03   4269   설영수
2016-03   4806   이루다
2019-07   3538   코쿠
2023-11   1499   밥알1김형근1
2013-09   15449   HEUo김용민
2016-03   4490   김건우
2010-12   10311   만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