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 > 리눅스로 원격 데스크톱 설정시

   조회 8712   추천 0    

 안녕하세요

윈도우에서 - > 리눅스로 원격 데스크톱 설정시 굉장히 막막하네요.

SAMBA로 파일공유는 굉장히 쉽게 되는데 (사용자별 아이디 만들어 주고, 권한을 따로 설정해주고...파일 공유 자체는 잘 되고 있습니다)

관리를 위해 XRDP로 서버로 사용하는 리눅스의 화면을 보려니 잘 안되네요.

실력이랄것도 없이 덜떨어진 상태이다 보니, 막막합니다. 팀뷰어는 서버로 사용하는 리눅스에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어야 화면이 보이더군요.

윈도우10 원격데스크톱에서 리눅스 서버로 연결을 하면 검은 화면만 보입니다.

CentOS, Ubuntu 18.04 둘다 해 봐도 그렇네요. Xfce, Dns 설정을 아무리 만져봐도....


집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파일서버에는 윈도우 서버 2016 에센셜을 사용하고 있어서 굉장히 손쉽게 셋팅했는데...

마냥 윈도우에서 RDP 가 있어서 당연 리눅스에도 이런 기능이 SAMBA처럼 손쉽게 구현되어 있는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어렵네요.

혹시 리눅스의 SAMBA와 원격데스크톱을 기본적으로 익힐수 있는 책이라도 추천 받을수 있을까요?


지금 생각 중인 방법은

1. 집에서 쓰던 윈도우 2016 에센셜을 회사에서 사용하고, 집에서는 OpenMediaVault 같은 프리웨어를 사용한다.

2. 그냥 회사의 서버에 모니터를 달고 팀뷰어를 사용한다.

3. 윈도우 2016 에센셜을 하나 더 구입한다.


접속 사용자는 3명에서 많으면 5명입니다. 1번이 가장 무난한 방법일까요? 최대 사용자 수가 5명이라 CAL 정책에도 위반이 안되지 않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8-06
일단 전 리눅스 엔지니언 아닙니다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리눅스에서의 xrdp보단 vnc를 구축하시는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만...

근데 리눅스 쓰시다보면
결국 GUI가 아닌
CLI로 가게될것이기에
이참에 짬짬히 리눅스를 익혀 보시는것은 어떨런지...
기묘한생활 2018-06
당장 급한 부분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런데 리눅스를 좀 익히려고 하면 에초에 CentOS를 기준으로 잡고 배우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페도라, 우분투, 오픈수세..어느것이 가장 기초를 잡고 배우기에 좋을까요?
리눅스에서는 vnc 터미널을 쓰는게 일반적인것 같습니다. tigervnc-server 설치방법에 대해서 찾아보시면 손쉽게 설정이 가능하실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윈도우에서 vnc클라이언트로는 realvnc 클라이언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 워낙 다양해서 어느쪽이건 사용하시면 될것 같은데, 레드햇 계열 CentOS와 데비안 계열의 우분투가 전세계인들의 관심도가 높은것 같네요.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q=fedora,ubuntu,debian,centos,suse
DoubleSH 2018-06
vnc server 구축 구글링하면 수많은 블로그가 있습니다.

뷰어는 vnc viewer 추천드립니다.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


윈도우 rdp 통해서 리눅스 연결하려는건... 사실 vnc 를 rdp 로 연결해주는건데.. 전 못써먹겠더군요.

업무용이라면 centos 를 기반으로 시작하시면 어떨까 싶네요.
정희섭 2018-06
리눅스는 X 포워드 시키거나 VNC 씁니다.
웬만하면 VNC 쓰지요
하셀호프 2018-06
당장 급하시다면 비용을 들여 외주해 보시지요
여기서 도와달라고 하시면 아마 간단하게 하실 분들 계실 것입니다
급하면 공부 잘 않됩니다 힘들구요
봉봉이 2018-06
HDMI 더미 플러그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 모니터가 연결되면 보인다고 하시니


QnA
제목Page 1623/5728
2014-05   5256143   정은준1
2015-12   1781101   백메가
2018-06   4872   GodokNam
2018-06   4140   Dfens
2018-06   5998   Tulsa
2018-06   3731   스모모군
2018-06   4465   회상2
2018-06   3824   LSSAH
2018-06   4237   lhswin
2018-06   4499   장동건2014
2018-06   7377   장동건2014
2018-06   6449   킵고잉
2018-06   5281   Sakura24
2018-06   5461   user
2018-06   6250   정영철
2018-06   5670   악마라네
2018-06   6730   스모모군
2018-06   6053   파천황레일건
2018-06   5269   건약
2018-06   6626   s김종화z
2018-06   4005   7755
2018-06   3832   정은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