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디램리스에 관하여

Noname1   
   조회 11090   추천 0    

제가 알기로는

SSD는 디램리스와 디램캐시가있고


디램리스

- SSD 셀 안정성에 문제가있다

디램캐시

- SSD 자료 저장에 문제가있다


가 종합적인 답인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무아 2018-06
디램캐시.
저장중에 문제가 있다?
저장중에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문제가 있겠지만 그런 경우라면 다른 방식의 저장장치도 문제가 발생하니 비교할 바가 아닌듯 한데요?
송재훈 2018-06
하드디스크의 버퍼와 동일한 선에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그렇게 따지면 하드의 버퍼가 있는 모델을 사용할 때에도
갑자기 전원 끄는 경우 문제가 생겨야겠지요?

제 의견으로는
디램리스는 오히려 일종의 단가절약형 상품으로 보입니다.
장점이 될 수는 없습니다.
박문형 2018-06
SSD는 메모리셀들을 SSD콘트롤러가 RAID0 로 묶은 것이라고 보면 되며

SSD콘트롤러에 버퍼용인 캐쉬램을 붙인 것이 말씀하시는 디램캐시 SSD이며

버퍼용 캐쉬램이 없으면 디램리스 SSD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캐쉬메모리가 있는 제품을 더 고급으로 생각합니다..
NAND 기반 저장장치들은 보통 버퍼가 있습니다. (Optane 같은 3D XPoint 기반 SSD는 없다고 들었습니다) 이 버퍼 덕분에 높은 IOPS가 가능한 것이고요. 그리고 수명 향상에 도움이 되는 data merge도 버퍼 상에서 발생합니다. 이 버퍼가 DRAM이면 빠르고 좋은데, 갑작스런 전원 off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super capacitor 같은 보호 수단이 필요하고요. DRAM이 없다면 NAND 스토리지의 일부분을 SLC로 만들어서 버퍼로 사용합니다. DRAM의 경우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SLC라도 수명이 한정적인 것은 같기 때문에 우려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DRAM도 필요없고 super capacitor도 필요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DRAM캐쉬가 없더라도 버퍼가 없이는 고속전송이 불가능하죠. 별도의 DRAM이 아닌 NAND자체를 버퍼로 활용하는 것 뿐입니다. DRAM이 없어서 수명이 줄어들 가능성은 물론 있습니다. 왜냐면 SLC라도 DRAM처럼 반영구적인 건 아니니까요. 속도는 SATA3 대역정도는 충분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3376/5724
2015-12   1764391   백메가
2014-05   5238983   정은준1
2011-01   6846   강영식
2017-03   4181   원시인7
2018-06   4399   오랜지기
2020-10   2478   더이상오지마
2022-04   9311   김제연
2017-03   3794   신은왜
2019-08   4748   jore
2011-01   11055   쿵푸팬더
2023-12   1711   라이크유
2019-08   21987   통통9
2022-04   2613   정의석
2020-11   2208   일삼제로
2015-02   9136   여주이상돈
2019-08   5872   럭키가이
2023-12   2742   양념돼지
2013-10   6096   비즈보드
2017-03   7061   OFDM
2020-11   4779   Daso
2011-02   8353   원주멋진덩치
2024-01   2541   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