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문의 드립니다

   조회 4535   추천 0    

안녕하세요

분당김동수입니다


에어컨 관련하여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천정형 에어컨으로 거실  포함 각방마다 1개씩 있는 구조이며

실외기는 1개입니다


관리사무소에서 하는 말이

에어컨을 1개를 사용하나 여러개를 사용하나

실외기가 하나이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만큼 많은 차이가 안 난다고 하네요


제 상식으로는 일을 한 만큼 전기가 소모되는 걸로 알고 있으며

물론 2개를 사용한다고 2배를 소모하는 구조는 아니겠지만

실외기가 돌아가는 부분에서 더 많이 소모되니깐

하여간 더 들어가는 것은 맞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잘 아시는 분들 의견 좀 부탁 드립니다


추가

실외기가 돌아가는 시간이

1개 일때보다 2개 일때가 더 많이 가동되니깐

많이 소모되지 않겠냐는 것이 제 생각이였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처버 2018-06
에어컨의 전력소모는 대부분 실외기가 담당하니까 관리사무소의 말이 맞긴 하죠
     
김준연 2018-06
+1

실내기가 차지하는 전력 소비량은 그렇게 큰 편이 아닙니다. 당연히 실내기도 전기를 쓰니 1개보다는 2개가 전기를 많이 쓰지만 2배 차이가 나거나 그에 가까운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닙니다.
          
분당김동수 2018-06
그래도 문 다 닫고 하나만 틀었습니다.
이선호 2018-06
멀티냐 싱글이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에어컨의 냉방효율이 어느정도 나오는가가 제일 중요합니다.
같은 공간을 냉방한다면 효율이 같다는 가정 하에 실외기가 적을수록 좋기는 합니다.
     
분당김동수 2018-06
간만에 실외기 주변 정리하였습니다.
김준유 2018-06
아파트에 설치하는 벽걸이와 스탠드형의 경우는 두대를 동시에 틀면 한대 틀때 기준 70% 정도로 출력을 떨굽니다...
두대 틀면 200이 아니라 140...
아파트 기본 간선 굵기가 문제가 되기에 떨어트리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소비전력을 확인안해봐서.. 정확하진 않지만.. 그럴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방에 에어컨이 있다는 건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거라.. 기본 용량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대를 돌리나 두대를 돌리나 생각한 만큼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배관도 메인관에서 가지치기를 해서 나가는 거라..
버스를 보면 한명타나 두명타나 정도의 차이... 좀 심하게 비유를 했나요?..

2010년도부터 거의 대부분의 아파트들이 시스템 에어컨을 설치합니다.. 옵션으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깔끔하고 그만큼 배전함에 차단기와 기본 용량이 확보되기에 더 안전합니다..

그 전 분당이나 일산등 신도시 아파트는 저렇게 쓰다가는 화재보험 빵빵하게 드셔야 합니다...

건조기와 인덕션까지 아주 대차게 설치해서 쓰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용감하면 무식하군.. 이란 표현을 씁니다..

전기는 순간에 갑니다.. 다들 전기화재 조심하세요.
     
분당김동수 2018-06
버스보다는 경차에 한명 타나 두명타나....
이정도로 생각하면 맞겠죠 ?
관리사무소의 말이 맞습니다. 실내기도 팬모터를 돌리기 때문에 차이가 나긴 하지만 그게 엄청나게 큰 차이는 아닙니다. 어차피 대부분의 전력은 실외기에서 소모합니다.
제온프로 2018-06
냉각 시켜야 하는 용량.. -열량 으로 보면..
방 2개를 냉각 시켜야 하는 양과
방 1개를 냉각 시켜야 하는 양이 다르듯이

당연 방 1개를 냉각시키는 것이 전기는 덜 사용 하겠지요...

3000칼로리와 1500 칼로리가 같다니....
무아 2018-06
실내기를 몇 개 돌리든
결론은 실외기의 가동시간 만큼 차이가 나겠죠.
실내기 가동 갯수가 실외기 가동시간에 영향을 준다면 영향을 준만큼.


QnA
제목Page 1620/5727
2014-05   5253500   정은준1
2015-12   1778467   백메가
2011-03   15051   원상현
2015-02   9086   모아레김호열
2020-11   3445   박문형
2016-04   6039   퍼싱글
2017-04   5668   무아
2013-10   8279   s김종화z
2019-08   8087   호박고구마
2020-11   2892   신은왜
2022-05   2657   song05
2017-04   3974   나파이강승훈
2013-10   7468   후리지아
2015-03   4262   Won낙연
2022-06   2431   블랙
2016-05   10595   나파이강승훈
2017-04   4746   Booraltak
2015-03   7333   이종현oph
2016-05   5804   이미존재하…
2011-05   6458   Nautilus
2019-09   3487   안개비
2015-03   5903   k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