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저작권이나 특허권은 누구에게 있나요?

김영기   
   조회 4321   추천 0    

 


만일 어떤 국가 A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를 공식문자로 도입하려고 하면

한국의 동의나 승인, 계약 없이도 전격적으로 도입이 가능한 걸까요?


만일 절차가 필요하다면 한글에 대한 저작권이나 특허권? 여튼 권리는 어디에 있고

계약의 주체(당사자)는 누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한글은 어떤 다른 문자체계의 전파와 변형이 아니라

개발 연원이 (부정 불가능할 정도로) 극도로 명백한 자생/계획문자이므로 다른 문자들과도 경우가 다를듯한데

혹시 이에 대한 논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하셀호프 2018-07
한글은 다른 어느 글자와 다르기 때문에 예가 없습니다
우리가 예를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로는 글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 예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글을 인도네시아 특정 부족이 사용한다는 뉴스는 들어 알고 있구요
현재로서는 한국에 허가 정도 받아야 하는 것 같은데
아마도 형식적일 것이라 생각하고 사용하는데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문제를 제기하려면 국제 사법 재판소에 가야 할 것이고
어떤 절차로 어느 정도의 보상을 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글자는 어느 정도 문화적 무기에 가깝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도 우리말을 쓰지 못하게 하고 일본말을 쓰도록 강요했지요
말이 아닌 글자도 상당한 위력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보통 본국에서 글자 사용을 지원하게 됩니다
한동안 한글을 수출한다고 말들을 했었지요
현재 프랑스같은 나라는 자국에서 프랑스어 사용이 줄어 든다고
강제하는 법을 만들어서 시행중이라고도 합니다
말이나 글은 무시무시한 위력이 있는 문화 무기입니다
진영준 2018-07
특허료로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 동일 언어권이 늘어나는데에 대한 이익이 크기때문에 특허권이 있더라도 사용료 신청을 안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프리카에 글자만이라도 한글을 쓰는 나라가 있다면 우리나라 사람이 진출할 때 장점이 클겁니다. 특허료와는 비교가 안되겠죠

다만 특허가 일 개인이나 단체에 귀속된다면 당사자 이해에따라 청구될 스도 있겠지요
     
김영기 2018-07
이미 소멸인 이유는 개발(창제)이후 시간이 너무 많이(약 580년 경과) 지났기 때문인거겠지요?
진영준 2018-07
아.. 그러고 보니 un산하 언어관련(?) 기관에서 각 언어를 연구하는 표준 기록방식으로(음을 기록하는 방식이겠죠) 한글을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있네요. 물론 독점 기록방법은 아니겠죠
무아 2018-07
동북공정 처럼 아전인수 하는 것이 아니라면 뭐 큰 문제 없지않을까요?
나비z 2018-07
옛 한글에서 사라진 4자까지 쓰면

영어발음도 다 표기 할 수 있다던데..

정말 아쉽게 됐죠...
     
한제희 2018-07
경북지역과 제주도지역에 음가가 남아있읍니다...복원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발음하는 사람들도 있구요

고등학교 국어선생님이 제주도 사람이었는데
 중세국어 배울때 "아래아" 발음을 해주셨죠 다들 다른것은 인지하지만 발음하기는 어려웟읍니다 물론 연습하면 되죠...
          
무아 2018-07
경상남도 출신으로...
순경음 비읍 발음은 합니다. 추워라 를 경상도 사투리로 추버라 라고 하는데 이때 비읍이 순경음 비읍 발입니다.
ㅎ 발음을 ㅅ(ㅆ) 으로 하는 것도 고어 중에 있는 발음입니다. 혀->쌔, 형님->성님
우선 기억나는 것이 저건데...
고등학교 때 국어선생님이 중세국어 연구하려고 경상도쪽으로 터를 잡으셨던 기억이 납니다.
이분은 애들 말투만 들어도 어느지역에서 나고 어느지역에서 살고, 옮겨 살았는지 정확하게 맞추시더군요.
drachen 2018-07
훈민정음 28자로도 모든 음성을 기록하는건 불가능 합니다. 애초에 그럴려고 만든 것도 아니고요.

당연히 유엔이니 뭐시기에서 공용 기호로 쓴다 어쩌고 다 거짓말 입니다. 그런 용도로 나온건 국제 음성 기호이고 이건 160자가 넘습니다.

인도네시아 어디 부족 어쩌고도 모 대학교수의 사기극에 가깝습니다. 자기 연구에 이용하면서 그에 대한 원조를 제공하겠다고 우리나라 관공서를 끌어들였던거고 정부서도 1, 2년정도 지원하는 시늉하다가 돈 끊으니까 흐지부지 됬습니다.

솔로몬 제도에서 쓴다는 것도 우리나라 정부가 돈주니까 쓰겠다는 겁니다. 한글의 우수성 때문이 아니라, 공교육 정비를 위해서 돈이 필요하니 외국에서 지원을 받고 그 대가로 홍보 이미지를 제공하는 겁니다.
     
무아 2018-07
필요에 의해 쓰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 교수가 자기 연구를 위해 사기극 어쩌고 저쩌고. ??
당연한 것 아닌가요? 교수가 무슨 돈이 있어 연구를 합니까? 지원을 받아야지.


https://youtu.be/KSgj9UvaqO4


https://namu.wiki/w/%EC%B0%8C%EC%95%84%EC%B0%8C%EC%95%84%EC%96%B4
          
drachen 2018-07
찌아찌아족에게는 한글을 쓰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지원해준다고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한글이 우수해서 찌아찌아족이 쓰려고 한다고 언론에서 떠들고,
그 중간에서 자기가 속한 학회나 단체 이름팔고 연구 자금 받고 빠진건데... 그게 사기죠.

애초에 찌아찌아족은 언플하던 것처럼 그냥 미개 부족이 아니라, 인도네시아에서 우리나라의 군 규모의 지자체를 구성하는 수준의 소수 민족이었습니다.
그게 인도네시아의 지방자치제 도입에 따라서 해당 지자체에서 우리나라와의 경제 교류와 지원을 생각하고 나선 것이었고요.
그런 사정은 다 빼먹고 특정 교수와 학회가 주도한 것처럼 꾸며서 일을 벌이고 내팽겨쳤다가,
언론에서 다시 언급하니까 정부에서 숟가락 얹었다가 빠진 겁니다.

정작 지금 저기서 한글 가르치고 있는 우리나라 분은 정부가 2년 동안 지원할 때 참가했다가, 정부 지원 끊긴 뒤에도 남아서 민간 지원으로 버티고 계십니다.
찌아찌아족이야 그냥 한글이 쓸만하고(아예 한국어를 배워서 취업 등을 할 생각도 있으니..) 다른 대안보다는 낫다고 생각하니까 쓰는거죠.
교사 월급도 제대로 못 챙겨주는 수준의 민간 지원이지만 그거라도 해주는 다른 나라는 아예 없으니까요.

처음부터 단순히 한글이 우수해서 쓰는게 아니였다는 얘기 입니다.
               
무아 2018-07
동영상 내용중에 보면 된소리 같은 것들이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보다 한글을 사용해서 더 정확히 발음되니까 쓰겠죠.
당연히 로마자로 표기해서 발음하기 쉬우면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이고.
한글로 표기해서 발음하기 쉬우면 한글로 표기하는 거죠. 물론 여기에 한글이 로마자 보다 우수하다는 국뽕은 빼고 말입니다.
위에 사진짤에서도 보시다 시피 빠 라는 발음을 로마자로는 PA 라고 쓰고 있는데 절대로 빠로 소리나지 않죠. 그런데 저들은 PA 라고 쓰고 빠라고 읽습니다. 그런데 빠 라고 쓰고 빠라고 읽을 수 있으니 한글이 필요에 의해 쓰인 것이죠.
그리고 교수 사기건은 저도 상세한 내막은 모르기에 지원을 받은 거 아닌가 하고 쓴 것 입니다.
사기라고 정확하게 말씀하시는 것 보면 상세한 내막을 잘 알고계신 것 같습니다.


QnA
제목Page 1618/5730
2015-12   1791934   백메가
2014-05   5267004   정은준1
2018-07   3320   처버
2018-07   5695   호박고구마
2018-07   5150   서울사람
2018-07   3572   통신보안
2018-07   4072   중복닉넴
2018-07   4881   사랑하라
2018-07   3799   osthek83
2018-07   6886   행복하세
2018-07   9252   후리기
2018-07   6942   으라차차차
2018-07   4363   캔위드
2018-07   4423   꿈꾸는베빈야
2018-07   10485   Kairos
2018-07   5116   슬루프
2018-07   3406   미소찍사
2018-07   3248   버프엔지니…
2018-07   4645   고질라
2018-07   4094   김제연
2018-07   5974   김건우
2018-07   9712   의롭게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