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보드 조립 질문입니다~

   조회 4170   추천 0    

 그저

“크고 아름다운게 갖고싶어!”

라는 생각에 시피유가 2개 들어가는 pc를 만들어 보는것을 목표로 2cpu에 가입하였습니다.

(물론 기존 사용중 pc가 어떤이유에서 인지 고장난것도 이유겠지만요)


알못인 저의 입장에서도 찾아봄직한, 필요할수도 있는 것들을 장터에서 많이 다루고 있었고 이런 저런 물건들의 스펙시트를 마구 검색하다가 결론을 낸 부품입니다.


보드 s2600cp

시피유 e5-2670 * 2

메모리 10600r 8g * 8


까지는 결정을 하고 일부 주문을 해놓은 상황인데요..

여기서 질문이 시작됩니다.


월급중 용돈으로 사 모으는 쪽이라.. 최대한 이전 pc에서 썼던 부품들을 유용하는중인데.. 문제가 되는것은 파워입니다.


s2600cp보드에는 전원input이 세개가 있더군요

메인24핀, cpu별 보조8핀*2

출근전에 얼핏 본 느낌으로 기존 사용중이던 파워 (파워렉스 레전드) 에는 보조8핀이 4+4 형태로 있던데..


질문 1

4+4형태의 보조전원 케이블에 

4핀 보조전원을 8핀으로 바꾸어주는 케이블 두개를

각각 장착해서 사용이 가능할지.


질문 2

2개의 시피유를 장착하도록 되어있는 보드에 시피유 1개만 장착해도 정상작동 하는지.


이 사항이 궁금합니다.

보드의 용도가 다르니 필요한 전기도 다르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 서버용 파워를 (8핀 보조전원이 두개 나오면서 24핀 메인 전원도 있고, 그래픽카드용 pcie 보조전원도 최소 한개는 지원하는 파워) 찾으려고 했더니 다나와 같은곳에서는 찾기도 애매하고.. 하여 이곳에 질문글을 올려봅니다.


혹여나 부품의 조합법이나 고려사항이 조잡하거나 마구잡이 식이라고 생각이 드신다면 조언 마구마구 부탁드립니다. 새로운것을 해보는것이고 담배값 아껴 사는 부품들인데 부적절한 취급으로 날려먹으면 아깝지 않겠습니까.

뭔가 배우는게 있어야겠지요.


슬슬 날씨 풀린다는데 더위 대비 착실히 하시길 바랍니다z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제연 2018-07
1번도 되고 .. 2번도 됩니다..
1번은 바로 꼽는거 안됩니다.
보통 8핀은 pci-e 그래픽카드용 전원이라서 핀 배열이 틀립니다.
변환 젠더 따로 구입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전 변환젠더도 잘못 주문해서 .. 핀빼서 핀 배열 맞추고 쌩쑈했습니다.
     
pcie용 보조전원은 6+2로 되어있더라구요.
친절하게도 커넥터에 cpu라던가 pci라던가 써있어서 다행인것 같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1번을 4+4핀 ATX cpu 전원 케이블이라하고
2번을 4핀 molex 라 하면 8핀은 보드에 바로 꽂으시고
4pin molex to EPS(CPU) 8핀 젠더로 보드에 꼽으시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멀티레일 출력일경우 출력 암페어 계산을 잘하셔야합니다... 해당선의 awg 규격도 살피셔야 하구요
     
감사합니다. 본 메인보드와 완성품 형태로 유통된 서버나 웍스의 파워를 구해보는것도 나쁜 방법은 아니겠네요;;
퇴근후 우선 현재 갖고있는 psu의 커넥터들 종류부터 다시 봐야할듯 합니다.
박문형 2018-07
CPU에 8핀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만큼 전기가 많이 흐른다는 것입니다..(높은 전류)

그것을 4가닥으로 줄이면 CPU에 재대로 전기가 가지 않거나 전선에 열만 납니다..

그리고 원칙은 서버 보드니 서버용 파워를 사용해야 합니다..

잠깐 켜보는 것은 괜찮으나 오래 작업하면 파워나 보드에 무리가 가며 젠더 같은 것도 싸구려 쓰면 심하면 불납니다..



듀얼 CPU 보드라도 싱글 CPU 사용이 보통 가능하며 위치가 정해져 있으니 메뉴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네. 감사합니다
포도알 2018-07
저도 똑같은 고민을 했습니다. 우선 파워는 시소닉 포커스 750 제품인가 EPS(cpu8핀) 2개 기본지원합니다.
다른 젠더 사용하려고 찾아봤더니.. 좀 케이블 질도 나빠보이고 AWG표기도 없어서 그냥 고민할바에 좋은 파워는 오래쓰니 위 제품으로 구매했네요.
좀 더 찾아보면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 2cpu+램24+그래픽카드+하드등 다 사용하려고하니 750와트가 마지노선이더군요 ㅠㅠ..
아무튼 변환 케이블은 비추합니다... 그래도 변환 케이블을 사용하시겠다면 두꺼운 케이블로 자작하는게 더 안전해보입니다.
     
역시 파워를 제대로된걸로 구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 1번 ] 파워 8핀을 8핀+8핀으로 분배 해 주는 케이블이 있습니다.
위에 언급하신 E5-2670 모델을 사용하실 경우 TDP가 115W 입니다. 2개를 사용 할 경우 CPU만 230W를 먹습니다. 물론 풀로드시에 그렇다는 것이지만..
최소한의 파워 규격이 12V가 20A 이상되는 놈으로 사용하셔야하고 이경우에도 간당간당하긴 합니다.
[ 2번 ] CPU는 보드에 마킹된 CPU1에 하나만 장착 하셔도 됩니다. 인텔 서버보드의 경우 FRU, SDR 값에 아주 민감하여 CPU갯수나, 팬의 갯수등이 변경된 후 업데이트를 해 주지 않을 경우 후면 LED가 붉은색이 계속 점등되며 모든 팬이 최고 RPM으로 돌아 갑니다.
여기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비행기 이륙하는 소리를 경험 하십니다.
최종 조립 후 반드시 바이오스 & 펌웨어 패키지를 올리시고 FRU&SDR 업데이트 시 실제 장착된 팬의 위치를 기억 하셨다가 선택을 해 주셔야 편안한 사용이 가능 할것으로 보입니다.
https://downloadcenter.intel.com/ko/download/27786/-60x-efi-?product=61088
     
예 감사합니다.
파워문제는 다시 봐야할것같고, 말씀하신부분은 설치와 안정화시 참고하겠습니다.
Won낙연 2018-07
위에서 좋은댓글이 많았지만 그외 개인적으로 인텔 서버보드를 조립용으로 피하게되는 이유는...
1.파워케이블(24/8/8핀)꼿히는 위치가 조립에 불편합니다..
2.프론트판넬 케이블꼿는 위치도 보통의 케이스에 있는 케이블길이로는 부족한점이 일거리를 보태줍니다..
전용의 케이스라면 별문제이지만 이것저것 별도구매하며 조립하기엔 불편한점이 많습니다.
     
+1
하지만 젠더를 쓰거나 어거지로 끼워넣어서 되게했습니다...


QnA
제목Page 4009/5726
2015-12   1772033   백메가
2014-05   5246724   정은준1
2016-08   4186   냐옹이
2016-09   4186   이천풍
2020-09   4186   GPGPU
2019-05   4186   케네디
2018-06   4186   lhswin
2016-01   4186   오혜성
2014-04   4185   눈만김민종
2015-11   4185   천외천oo노…
2017-05   4185   EPKO
2016-10   4185   통신보안
2018-04   4185   삐돌이슬픔이
2015-07   4185   s김종화z
2017-03   4185   나파이강승훈
2016-11   4185   공돌이에요
2020-11   4185   hyunwoo3480
2018-04   4185   DoubleSH
2016-08   4185   오소리
2014-12   4185   누자베스
2016-05   4185   회원K
2019-01   4185   날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