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9810 |
25 |
2015-12
177981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4889 |
0 |
2014-05
5254889
1 정은준1
|
82620 |
초보-중급이 쓰기 좋은 실납의 조건이 뭘까요? (4) |
박문형 |
2021-10 |
2225 |
0 |
2021-10
2225
1 박문형
|
82619 |
MSSQL) 아래 이어..다른질문...디비내 테이블에 관한 모든정보를 한꺼번에 뽑는방법? (4) |
김건우 |
2009-11 |
10342 |
0 |
2009-11
10342
1 김건우
|
82618 |
컴터와 pc스피커 중간에 앰프? 라는거 두면 입력을 N가지 모드로 선택해서 출력하게 … (15) |
김건우 |
2014-08 |
5476 |
0 |
2014-08
5476
1 김건우
|
82617 |
온수 녹물 (8) |
회원K |
2015-12 |
4177 |
0 |
2015-12
4177
1 회원K
|
82616 |
시놀로지를 처분하고 자작나스를 이용할려 합니다. (19) |
Espial |
2019-03 |
4512 |
0 |
2019-03
4512
1 Espial
|
82615 |
하드디스크 고를 때 PMR 혹은 SMR 선호하는 게 있으신가 궁금합니다. (30) |
wguardian |
2020-05 |
6104 |
0 |
2020-05
6104
1 wguardian
|
82614 |
220V 전압이 잘 들어오고 있다는 것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나요? (7) |
무아 |
2013-01 |
7666 |
0 |
2013-01
7666
1 무아
|
82613 |
서버 케이스를 사려고 하는데요.... (7) |
서버유져 |
2013-01 |
5479 |
0 |
2013-01
5479
1 서버유져
|
82612 |
삼성 노트북 이상한 현상. (7) |
이선규 |
2019-03 |
4059 |
0 |
2019-03
4059
1 이선규
|
82611 |
NVIDIA vGPU Software License Server 구버전을 찾고있습니다. |
kino0924 |
2020-05 |
2728 |
0 |
2020-05
2728
1 kino0924
|
82610 |
레이져복합기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3) |
김건우 |
2015-12 |
4368 |
0 |
2015-12
4368
1 김건우
|
82609 |
아마존 킨들... 액정(보호유리) 수리 어디서 하나요? (3) |
blueMango |
2019-03 |
3905 |
0 |
2019-03
3905
1 blueMango
|
82608 |
장기간 사용안한 ISP 문제 |
inquisitive |
2018-01 |
3370 |
0 |
2018-01
3370
1 inquisitive
|
82607 |
현재 이것을 사용합니다. (2) |
테돌아이 |
2014-08 |
3607 |
0 |
2014-08
3607
1 테돌아이
|
82606 |
x99-f8 + e5-2670v3 오버클럭..질문입니다! (11) |
듀얼모드 |
2020-05 |
4831 |
0 |
2020-05
4831
1 듀얼모드
|
82605 |
공유기 질문드려요 (3) |
걸인신홍철 |
2014-08 |
8700 |
0 |
2014-08
8700
1 걸인신홍철
|
82604 |
비컴) 이거 이름 아시는분? (4) |
Nikon |
2014-08 |
3943 |
0 |
2014-08
3943
1 Nikon
|
82603 |
마소 Access 관련 질문입니다. (3) |
깨우친소 |
2018-01 |
3461 |
0 |
2018-01
3461
1 깨우친소
|
82602 |
ARM 의 TrustZone 에 대한 좋은 자료 있나요? (3) |
응무소주 |
2020-06 |
3386 |
0 |
2020-06
3386
1 응무소주
|
82601 |
중요자료 백업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7) |
박동섭 |
2009-12 |
9036 |
0 |
2009-12
9036
1 박동섭
|
그래도 닫아논 창문들은 냅두고 나갔다 오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생각 해 봐도 안쓸때는 끄는게 당연히 나을거 같은데, 왜 계속 켜 두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형광등처럼 처음에 전기를 많이 먹는것도 아니고 겨울철 디젤엔진처럼 예열을 해야 하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그런데, 전 밖에 나갈 때 에어컨 켜 두고 나간다는건 안비밀. ㅎ)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57427
밑에분 말씀대로 인버터가 꺼놓으나 켜놓으나 차이가 없다면 개인적인 생각으론 끄는쪽이 안심이 되긴합니다
한시간정도는 꺼놓은 상태로 문닫아놓은곳 가면 바깥보다는 쾌적해서 다시틀어도 전기소모가 얼마 안되지 싶습니다
인버터 에어컨과 IOT 전력 모니터링으로 재미있는 블로깅을 하시는 분인데, 이분의 결론은 2~3시간 껐다가 킬 정도면 안 끄는게 났다 (껐다카 켰을때 전기소모가 144% 컸음) 였는데, 제가 봤을때 에어컨을 끄고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두고 가셨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유지 되지 못하고 높아졌음으로 전기가 더 들었다는 것은 당연합니다. 결론적으로 창문을 열지 않고 그냥 에어컨만 껐다가 돌아와서 켰을때는 어떻게 다르냐인데, 요즘 인버터의 경우 전 RPM구간에서 비슷한 효율을 보여주고 있기에 큰 차이는 없을 거라는 것이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물론 돌아왔을때 집의 쾌적함을 생각한다거나, 개를 키운다거나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에는 에어컨을 켜두고 나가시는 것이 맞을 거 같고요.
일례로 파워서플라이 예를 들면, 200V 5A 를 가져가지만(1000Wh), 여러가지 회로 또는 변압을 거치는 과정에서 손실이 되어 실제 컴퓨터 부품들이 800W/h 만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효율은 80% 정도다.. 이런 것이 효율이 아닐런지요? 같은 80% 효율이지만 컴퓨터 부품들이 80와트만 소비한다고 치면, 파워서플라이에서는 100와트를 입력을 받고 있다던지요. 그러므로 전구간에서 비슷한 효율이라면, RPM에 따라 전력소비는 다를 수 밖에 없구요.
제가 처음에 하고자 하는 말은, 에어컨을 끄지 않으면 저RPM으로 오랫동안 켜져 있거나 에어컨에서 필요시 껐다가 다시 키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아예 껐다가 켰을 경우, 희망 온도로 다시 가기 위해서는 고RPM으로 오랫동안 돌아야 할 필요가 있어서 결론적으로 전기 요금에 큰 차이가 없을 거 같다 라는 거였습니다. :)
공학적으로 접근하면 열손실이 많은 공간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는 시간이 짧아서 압축기가 그만큼 자주 운전해야 하고
열손실이 적은 공간은 계속 틀어놔도 온도 상승 시간이 길어서 그만큼 적게 운전하면서 쾌적하게 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비가 클수록 최소운전 에너지 자체도 크므로(압축기는 최소 운전비가 5~100%에 가깝다고 쳐도 팬은 인버터가 아니라 다단제어죠..1~4단 처럼) 구입한 장비 용량에 따라 틀릴거구요..
결국 직접 계속 트는 것과 주기적으로 가동하는 것의 하루 동안의 전력소비량을 측정/비교하셔서 체득하시는 방법이나 네스트 온도조절기 같은 지능형 IOT 기기로 운전 최적화 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열손실이 많은 공간이라면..쾌적함과 전기세에 사이에서 타협 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